• {url:./treeAjax?siteMode=prod}

이준공실록(李埈公實錄)

자료명 이준공실록(李埈公實錄) 저자 궁내성도서료(宮內省圖書寮)(일(日)) 편(編), 소전치책(篠田治策)
자료명(이칭) 李埈公實錄 , 이준공실록(李埈公實錄) 저자(이칭) [編者未詳] , 編者未詳
청구기호 K2-5003 MF번호 MF35-6678
유형분류 고서/기타 주제분류 史部/傳記類/別傳/一般
수집분류 왕실/고서/한국본 자료제공처 장서각(SJ_JSG)
서지 장서각 디지털아카이브 전자도서관 해제 장서각
원문텍스트 이미지 장서각통합뷰어* 원문이미지 디지털아카이브 PDF

· 원문이미지

닫기

· PDF서비스

닫기

· 기본정보 해제 xml

닫기

일반사항

· 사부분류 사부
· 작성시기 1932
· 청구기호 K2-5003
· 마이크로필름 MF35-6678
· 기록시기 1932~1940年 筆寫
· 소장정보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작성주체 - 인물

역할 인명 설명 생몰년 신분
소전치책(篠田治策) 필(筆)

작성주체 - 기관단체

역할 단체/기관명 담당자 구분
궁내성도서료(宮內省圖書寮)(일(日)) 편(編)

형태사항

· 크기(cm) 26.8 X 19.2
· 판본 필사본(筆寫本)
· 장정 선장(線裝)
· 수량 불분권(不分卷) 2책(冊)
· 판식 반곽(半郭) 21.2×14.5㎝

· 상세정보

닫기

내용

정의
고종의 형 李載冕의 아들 李埈(1870~1917)의 생애를 정리한 실록으로, 일본 宮內省 圖書寮(현 궁내청 서릉부)에서 ‘李王公族實錄’의 하나로 편찬한 것이다.
서지사항
 표지서명과 권수제는 ‘李埈公實錄’이고, 표제는 四周雙邊인 제첨지에 인쇄하였다. 총 2책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표제 하단에 책차 ‘一·二’를 기재하였다. 표지는 민무늬의 황색이고, 백색 실을 사용하여 4침안의 線裝으로 장정하였다. 본문은 四周雙邊, 無魚尾, 有界, 주색의 李王職 전용 괘지에 필사하였다.
체제 및 내용
 일본 궁내성 도서료에서 고종 대 이후 조선 왕실의 공적 기록을 정리한 ‘李王公族實錄’의 편찬을 추진하여 1919~1923년에 『李太王實錄』·『李熹公實錄』·『李埈公實錄』 등을 완성하였다. 본서는 이 중에서 『李埈公實錄』을 필사한 것으로, 장서각 소장 『李太王實錄』(K2-4977)의 제1책 앞표지 안쪽의 필사기를 통해 篠田治策[시노다 지사쿠]李王職 장관으로 재직하던 1932~1940년에 필사한 것임을 알 수 있다(자세한 내용은 K2-4977의 해제 참조).
 본서는 총 2책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1책의 서두에 편찬 시 참고 자료를 정리한 「引用書目」과 전체 목차가 실려 있다. 「인용서목」에 따르면 왕실족보류, 官報, 통감부·총독부의 자료, 고종 대 『日省錄』과 『綸綍』, 이준의 관직 활동 기록 등이 본서의 편찬 자료로 이용되었다. 다음으로 본문은 총 13개의 장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제1책에 제1~9장, 제2책에 제10~13장의 내용이 수록되어 있다. 각 장의 제목 순서는 ① 總說, ② 誕生, ③ 冠婚·子女와 公妃의 事蹟, ④ 身位禮遇, ⑤ 敍勳, ⑥ 科擧·官職, ⑦ 留學·旅行, ⑧ 邸宅·財産, ⑨ 家廟祭祀, ⑩ 交際, ⑪ 文藝, ⑫ 薨去, ⑬ 雜載이다.
특성 및 가치
 일본 궁내성에서 편찬한 『李埈公實錄』의 내용을 확인할 수 있는 자료로, 일제강점기 조선 왕실에 대한 일본의 정책을 연구하는 데 중요한 가치를 갖는다.

참고문헌

정욱재, 「日本宮內廳所藏 ‘公族實錄’의 편찬과 특징-『李熹公實錄』·『李熹公實錄資料』·『李埈公實錄』·『李埈公實錄資料』를 중심으로」, 『韓國史學報』 64, 고려사학회, 2016.

집필자

강문식
범례
  • 인명
  • 관직명
  • 나라명
  • 건물명
  • 관청명
  • 지명
  • 연도
  • 문헌명
  • 기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