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url:./treeAjax?siteMode=prod}

이희공준공실기(李熹公埈公實記)

자료명 이희공준공실기(李熹公埈公實記) 저자 편자미상(編者未詳)
자료명(이칭) 이희공준공실기(李熹公埈公實記) , 李熹公埈公實記 저자(이칭) [編者未詳]
청구기호 K2-4985 MF번호 MF35-6675
유형분류 고서/기타 주제분류 史部/傳記類/叢傳
수집분류 왕실/고서/한국본 자료제공처 장서각(SJ_JSG)
서지 장서각 디지털아카이브 전자도서관 해제 장서각
원문텍스트 이미지 디지털아카이브 PDF

· PDF서비스

닫기

· 기본정보 해제 xml

닫기

일반사항

· 사부분류 사부
· 작성시기 1943
· 청구기호 K2-4985
· 마이크로필름 MF35-6675
· 소장정보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작성주체 - 인물

역할 인명 설명 생몰년 신분
편자미상(編者未詳)

형태사항

· 크기(cm) 21.5 X 15.4
· 판본 신연활자본(新鉛活字本)
· 장정 선장(線裝)
· 수량 불분권(不分卷) 1책(冊)

· 상세정보

닫기

내용

정의
일제강점기 李王職에서 흥선대원군의 아들인 李載冕과 손자인 李埈鎔의 생애를 편년체 형식으로 정리한 책이다.
서지사항
 표지서명은 ‘李熹公埈公實記’이고 표지에 직접 묵서하였다. 표지는 斜格卍字紋이 있는 미색이고, 백색 실을 사용하여 4침안의 선장으로 장정하였다. 본문은 판식이 없는 신연활자로 인쇄한 교정본이다. 본문 중간에 장방형의 ‘初校/校了/要校正’의 校正印을 날인하여 교정을 완료했음을 기록하였다. 후반부에 再校한 校正印을 날인하여 교정이 완료되었음을 기록하고 있다. 책수는 1冊 123張이고, 종이는 洋紙이다.
체제 및 내용
 본서는 일제강점기 이왕직에서 정리한 이재면이준용의 실기이다. 이재면흥선대원군 이하응여흥 민씨 사이에서 태어난 장남이다. 1910년 총리대신 이완용 등 8명과 함께 황족 대표로 어전회의에 참석하여 한일합병조약의 체결에 동의하였다. 곧이어 순종의 명에 의해 ‘李熹’로 개명하였으며, 일본 천황의 조칙에 의해 ‘李熹公’에 봉해졌다. 1912년 9월 9일 사망하여 그의 公位는 아들 이준용에게 세습되었다. 이준용이재면풍산홍씨 사이에서 태어났으며, 흥선대원군의 嫡孫이자 고종의 조카였다. 이재면 사망 이후 공위를 세습하면서 ‘李埈’으로 개명하고, ‘李埈公’으로 불리었다. 일본대한제국을 강제병합하면서 대한제국 황제 일가에게 왕가의 지위를 보장해주기로 하였다. 그 결과 王族과 公族의 개념이 생겨났고, 일제는 새로 편입된 왕공족을 황족의 예로 대우한다는 것을 대내외에 보여주기 위해 이왕가 왕공족에 대한 실록 편찬을 계획하였다. 일본인 아사미 린타로(淺見倫太郞)에 의해 1919년 6월 2일부터 시작된 왕공족 실록의 편찬 작업은 1923년 11월 30일에 마무리되었다. 1927년 이왕직에서도 별도로 실록을 편찬하기로 하였고, 1927년에 시작된 편찬 작업은 1935년에 마무리되었다. 이때 실록의 편찬을 주도한 인물은 경성제국대학 교수였던 오다 쇼고(小田省吾)였다. 이왕직오다 쇼고의 주도로 1942년 고종의 생애를 정리한 『德壽宮李太王實記』를 추가로 편찬하였고, 이듬해인 1943년에 『李熹公埈公實記』를 편찬하였다. 다만 문서의 중간에 수정과 삭제 흔적이 보이는 것으로 미뤄볼 때, 실기의 초고본으로 추정된다.
 본서는 이희공실기와 이준공실기로 구분되어 있다 이희공실기의 구성은 목차와 李熹公世系略設, 略系圖, 公族의 由來, 行實大要, 1845년(헌종 11)부터 1920년까지의 연대별 기사 등으로 이루어졌으며, 이준공실기는 行實大要와 1870년(고종 7)부터 1917년까지의 연대별 기사로 이루어졌다. 略系圖에는 元宗부터 시작된 이재면의 계보가 실려 있고, 행실대요에는 두 인물의 생애를 요약한 글이 실렸다. 본문의 내용은 일반적인 편년체 사료와 같이 연대와 월일을 적고, 기사의 내용을 적었다. 이재면의 경우는 1845년 7월 20일 한성부 중부 관인방 대사동의 본가에서 태어났다는 기사를 시작으로 1920년 10월 12일 경기도 양주군 화도면 창현리에 改葬하였다는 기사로 끝이 난다. 이준용의 기사도 형식은 같다.
특성 및 가치
 일제강점기 이왕직의 조선사 편찬에 대해 보여주는 자료이다. 본래 조선은 국왕을 대상으로만 실록을 편찬했기 때문에 왕족의 생애를 상세히 파악하는 데는 한계가 있었다. 본서는 이재면이준용의 생애에 대한 풍부한 정보를 담고 있다는 면에서 사료적 가치가 있다.

참고문헌

德壽宮李太王實記』(K2-4992)
정욱재, 「日本宮內廳所藏 ‘公族實錄’의 편찬과 특징-『李熹公實錄』·『李熹公實錄資料』·『李埈公實錄』·『李埈公實錄資料』를 중심으로」, 『한국사학보』 64, 고려사학회, 2016.KCI

집필자

임성수
범례
  • 인명
  • 관직명
  • 나라명
  • 건물명
  • 관청명
  • 지명
  • 연도
  • 문헌명
  • 기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