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url:./treeAjax?siteMode=prod}

이태왕실록(李太王實錄)

자료명 이태왕실록(李太王實錄) 저자 궁내성도서료(宮內省圖書寮) 편(編), 소전치책(篠田治策)
자료명(이칭) 李太王實錄 , 이태왕실록(李太王實錄) 저자(이칭) [編者未詳] , 편자미상(編者未詳)
청구기호 K2-4977 MF번호 MF35-6674
유형분류 고서/기타 주제분류 史部/編年類
수집분류 왕실/고서/한국본 자료제공처 장서각(SJ_JSG)
서지 장서각 디지털아카이브 전자도서관 해제 장서각
원문텍스트 이미지 장서각통합뷰어* 원문이미지 디지털아카이브 PDF

· 원문이미지

닫기

· PDF서비스

닫기

· 기본정보 해제 xml

닫기

일반사항

· 사부분류 사부
· 작성시기 1932
· 청구기호 K2-4977
· 마이크로필름 MF35-6674
· 기록시기 1932~1940年 筆寫
· 소장정보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작성주체 - 인물

역할 인명 설명 생몰년 신분
소전치책(篠田治策) 필(筆)

작성주체 - 기관단체

역할 단체/기관명 담당자 구분
궁내성도서료(宮內省圖書寮) 편(編)

형태사항

· 크기(cm) 27.2 X 19.4
· 판본 필사본(筆寫本)
· 장정 선장(線裝)
· 수량 4책(冊)(전(全) 5책(冊))
· 판식 반곽(半郭) 21.4×15.2㎝
· 인장 篠田

· 상세정보

닫기

내용

정의
고종의 생애와 재위 시의 활동을 정리한 실록으로, 일본 宮內省 圖書寮(현 궁내청 서릉부)에서 편찬하였다.
서지사항
 표지 장황은 무늬 없는 노란 종이에 四周雙邊의 흰색 제첨이 있으며, 서명을 필사하였다. 책차는 ‘一’, ‘二’, ‘四’, ‘五’이다. 본문은 주색 이왕직 괘지에 필사한 것으로, 판형은 四周雙邊, 有界, 12行字數不定이다. 上魚尾가 있는 위치에 붉은색 동그라미가 인쇄되어 있으며, 張次가 필사되어 있다. 판하구에 ‘李王職’이 인쇄되어 있다. 제1책의 앞표지 이면에 李王職 長官 시노다 지사쿠(篠田治策)의 기록이 첨부되어 있으며, ‘篠田’ 인장이 날인되어 있다. 앞표지 하단에 ‘韓68 258’이 필사된 첨지가 붙어 있다.
체제 및 내용
 일본1910년 조선을 강제병합한 후 조선 왕실을 ‘李王公家’로 명명하고 李王職을 설치하여 왕실 사무를 담당하게 하였다. 그리고 궁내성 도서료에서 고종 대 이후 왕실의 공적 기록을 정리하여 ‘李王公族實錄’을 편찬하도록 했는데, 그 결과 1919~1923년에 『李太王實錄』·『李熹公實錄』·『李埈公實錄』 등이 완성되었다. 본서는 이 중 『李太王實錄』을 필사한 것으로, 제1책의 앞표지 안쪽에 ‘본서 『李太王實錄』과 『李熹公實錄』·『李埈公實錄』 등은 궁내성 도서료 소장본을 등사한 것’이라는 기록이 있고, 李王職 長官 篠田治策의 서명이 있다. 이를 통해 본서는 篠田治策이왕직 장관으로 재직하던 1932~1940년에 필사한 것임을 알 수 있다.
 본서는 제1책의 서두에 전체 목차가 있고, 이어 본서 편찬에 사용된 자료의 목록인 「引用書目」이 실려 있다. 이에 따르면 왕실족보류, 官報, 법전, 문집, 일본공사관·통감부·총독부의 자료, 각종 儀軌, 『哲宗實錄』, 고종 대 『日省錄』과 『綸綍』, 『通文館志』 등의 官署志, 『國朝寶鑑』, 『昌德宮全圖』 등 궁궐 자료, 일본 육군성에서 편찬한 『近代朝鮮資料』 등이 본서 편찬의 자료로 이용되었다.
 목차에 따르면 『李太王實錄』의 본문은 총 17개의 장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장은 다시 節과 款으로 나뉘어 있다. 17개 장의 제목은 다음과 같다. ① 總說(世系·事蹟大綱), ② 誕生·冠禮, ③ 敎育·講對, ④ 子女妃嬪, ⑤ 身位(稱號·徽號), ⑥ 敍勳優遇, ⑦ 殿邸營造移御, ⑧ 外國交際, ⑨ 國內政治, ⑩ 祭祀, ⑪ 尊崇封爵, ⑫ 進宴·入耆社, ⑬ 影幀系譜日記寶印의 修改, ⑭ 喪制, ⑮ 文藝, ⑯ 服喪薨去, ⑰ 雜載. 또 부록으로 경복궁의 殿閣 배치도, 고종의 능인 洪陵의 배치도, 「李太王譜略」 등이 실려 있다. 기존 연구에 따르면 일본 궁내청 소장 『李太王實錄』은 모두 6책인데, 본 필사본은 이 중에서 제1·2·4·5책만 남아 있는 영본이다. 제1책에는 목차와 인용 서목, 제1장의 1절부터 3절 2관까지, 제2책에는 제1장의 3절 3관부터 1장 끝까지, 제4책에는 제8장, 제5책에는 제9~14장의 내용이 실려 있다.
특성 및 가치
 일본 궁내성에서 편찬한 『李太王實錄』의 내용을 확인할 수 있는 자료로, 일제강점기 조선 왕실에 대한 일본의 정책을 연구하는 데 중요한 가치를 갖는다.

참고문헌

정욱재, 「日本宮內廳所藏 ‘公族實錄’의 편찬과 특징-『李熹公實錄』·『李熹公實錄資料』·『李埈公實錄』·『李埈公實錄資料』를 중심으로」, 『韓國史學報』 64, 고려사학회, 2016.
정욱재, 「日本 宮內廳 所藏 『李太王實錄』·『李太王實錄資料』의 체재와 특징」, 『韓國史學報』 69, 고려사학회, 2017.

집필자

강문식
범례
  • 인명
  • 관직명
  • 나라명
  • 건물명
  • 관청명
  • 지명
  • 연도
  • 문헌명
  • 기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