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url:./treeAjax?siteMode=prod}

금속활자자양(金屬活字字樣)

자료명 금속활자자양(金屬活字字樣) 저자 편자미상(編者未詳)
자료명(이칭) 金屬活字字樣 저자(이칭) [編者未詳]
청구기호 K2-4976 MF번호 MF16-1428
유형분류 고서/기타 주제분류 史部/目錄類/活字
수집분류 왕실/고서/한국본 자료제공처 장서각(SJ_JSG)
서지 장서각 전자도서관 해제 장서각
원문텍스트 이미지 장서각통합뷰어* 원문이미지 PDF

· 원문이미지

닫기

· PDF서비스

닫기

· 기본정보 해제 xml

닫기

일반사항

· 사부분류 사부
· 작성시기 [1915]
· 청구기호 K2-4976
· 마이크로필름 MF16-1428
· 소장정보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작성주체 - 인물

역할 인명 설명 생몰년 신분
편자미상(編者未詳)

형태사항

· 크기(cm) 24.5 X 16.5
· 판본 신연활자본(新鉛活字本)
· 장정 선장(線裝)
· 수량 1책(冊)

· 상세정보

닫기

내용

정의
新鉛活字를 새로 주조한 뒤 그 字樣과 인쇄 상태를 파악하기 위해 시험적으로 간행한 책이다.
서지사항
 총 1책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표지서명은 ‘金屬活字〃樣’이다. 표지는 2개인데, 재장된 표지는 옅은 황색이며, 본 표지는 짙은 황색인 線裝本이다. 두 표지 모두 표지의 좌측 상단에 표지서명이 기재되어 있다. 표지서명은 본래 ‘金屬活字樣子’이었는데, 이 중 ‘字’와 ‘樣’ 사이에 ‘〃’ 표시를 하고, ‘子’를 지워서 표지서명을 수정한 것으로 보인다. 권말에 ‘昭和十一年(1936)十月一日/李王職庶務課’가 인쇄되어 있다. 재장된 뒤표지 이면에 ‘西紀一九七三年十二月/藏書閣再裝’이라는 글이 2행에 걸쳐 기재되어 있다. 판식에 無郭, 無絲欄, 無版心의 楮紙를 사용한 新鉛活字本이다. 각 장마다 25行24字의 활자가 찍혀 있는데, 여러 묶음으로 같은 글자끼리 모아 찍었다.
체제 및 내용
 본 서적은 기존의 다른 서적이 저작의 배포나 판매를 목적으로 간행한 경우와 달리, 처음 신연활자를 주조한 뒤 그 글자체의 모양이나 인쇄 상태의 농후한 정도를 파악하기 위한 목적으로 간행한 것으로 보인다. 신연활자는 조선에서 19세기 말에 등장했는데, 1880년(고종 17) 일본에서 崔智爀의 글씨를 바탕으로 주조되었고, 이 활자가 1883년(고종 20) 일본으로부터 도입되었다. 조선에서는 博文局을 설치하고 신연활자를 일본에서 도입하여 『漢城旬報』를 찍어 발행하였는데, 이로부터 우리나라의 공식적인 근대 인쇄가 시작되었다고 할 수 있다. 뒤이어 1884년(고종 21)廣印社의 인쇄소가 신연활자 인쇄 시설을 갖추고 책을 찍어내기 시작하여 점차 근대 인쇄가 확장되었다. 본 서적은 각 장마다 활자를 25행 24자로 배치하여, 600자씩 38장에 총 22,800자가 인쇄되어 있다. 이를 살펴보면 인쇄된 글자마다 동일 활자의 글자수에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다. ‘隼’, ‘陀’, ‘阜’, ‘鑰’, ‘霞’, ‘閃’ 등은 5자씩, ‘鏡’, ‘離’, ‘雙’, ‘陪’, ‘阿’, ‘陶’, ‘障’, ‘雪’, ‘雷’, ‘雨’ 등은 10자씩, ‘隔’, ‘鑑’, ‘陞’, ‘門’, ‘鎭’, ‘頭’ 등은 15자씩, ‘陽’, ‘難’, ‘防’, ‘閱’, ‘體’ 등은 20자씩, ‘長’, ‘開’, ‘非’, ‘錢’, ‘部’ 등은 30자씩 인쇄되었다. 이는 대개 사용 빈도에 따라 활자의 주조 수에 차등을 둔 것으로 추측된다. 그리고 그 가운데 ‘震’, ‘集’, ‘鵲’ 등은 일부가 희미하게 인쇄되어 있어 주조의 완성도가 미흡한 부분도 있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활자의 배열 순서는 대개 같은 部首별로 모아놓은 것으로 보이는데, 그렇지 않은 부분도 있다.
특성 및 가치
 본 서적을 통해 신연활자를 주조한 뒤에 활자의 인쇄 상태를 확인한 과정을 살펴볼 수 있다. 또한 주조된 활자 수에 차등을 둔 것을 통해 당시 각 글자의 사용 빈도를 알 수 있고, 전체 활자의 수량을 통해 신연활자 주조의 규모를 파악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서적은 근대 인쇄에서 신연활자의 일면을 살펴보는 데 유의미한 자료이다.

집필자

권석창
범례
  • 인명
  • 관직명
  • 나라명
  • 건물명
  • 관청명
  • 지명
  • 연도
  • 문헌명
  • 기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