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url:./treeAjax?siteMode=prod}

지나판도서목록イロハ색인(支那版圖書目錄イロハ索引)

자료명 지나판도서목록イロハ색인(支那版圖書目錄イロハ索引) 저자 이왕직(李王職) 편(編)
자료명(이칭) 지나판도서목록색인(支那版圖書目錄索引) , 支那版圖書目錄索引 저자(이칭) 李王職 編 , 이왕직(조선) 편(李王職(朝鮮) 編)
청구기호 K2-4973 MF번호 MF16-1428
유형분류 고서/기타 주제분류 史部/目錄類
수집분류 왕실/고서/한국본 자료제공처 장서각(SJ_JSG)
서지 장서각 디지털아카이브 전자도서관 해제 장서각
원문텍스트 이미지 장서각통합뷰어* 원문이미지 디지털아카이브 PDF

· 원문이미지

닫기

· PDF서비스

닫기

· 기본정보 해제 xml

닫기

일반사항

· 사부분류 사부
· 작성시기 1922
· 청구기호 K2-4973
· 마이크로필름 MF16-1428
· 소장정보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작성주체 - 기관단체

역할 단체/기관명 담당자 구분
이왕직(李王職) 편(編)

형태사항

· 크기(cm) 26.8 X 19.6
· 판본 필사본(筆寫本)
· 장정 선장(線裝)
· 수량 1책(冊)
· 판식 반곽(半郭) 20.6×15.1㎝

· 상세정보

닫기

내용

정의
1922년에 중국본 도서 목록을 일본어 이로하(イロハ)순으로 배열하여 쉽게 찾을 수 있게 만든 목록이다.
서지사항
 무늬 없는 황색 종이에 서명을 필사하였다. ‘支版圖書目錄イロハ索引’이라고 필사한 후에 ‘那’를 별도로 삽입하여 기록하였다. 뒤표지 이면에 ‘西紀一九 年 月藏書閣再裝’ 도장이 날인되어 있다. 도장 위에 ‘七三’, ‘十二’가 필사되어 있어 1973년 12월에 표지를 다시 개장한 사실을 알 수 있다. 再裝한 표지 다음에 서명이 필사된 제첨이 붙어 있는 斜格卍字紋 백색 종이 표지 1장이 있으며, 그 이면에 ‘大正十一年(1922)一月成’이라는 묵서가 있다. 본문은 총 49장으로 필사본이다. 판형은 四周雙邊, 朱絲欄, 4段, 13行字數不定, 上下向朱魚尾이며, 판하구에 ‘李王職’이 인쇄된 주색 인찰공책지에 필사되었다.
체제 및 내용
 이로하(イロハ)는 일본어 문자인 가나 47자를 배열한 노래이며, 한 자도 중복되지 않아서 음 이름으로 나열할 때 사용하는 문자 나열 방법이다. 『六書通』이나 『六一集』 등의 서적이 ロ部와 リ部에 공통적으로 기록되어 있어 일본어 발음, 조선어 발음 등 발음되는 방법에 따라 모두 기록해둔 것으로 보인다. 1922년(大正 11)에 작성된 것이므로 일본인 관리가 사용하기 쉽게 중국어 서명 색인을 만들어둔 것으로 추정된다. 이왕직 장서각에 소장하던 중국본을 중심으로 목록을 작성한 것으로 보인다.
 주색 인찰공책지를 상단과 하단으로 나누고, 상하단을 각각 書名과 丁數로 나누어 중국본 서명과 丁數를 기록하였다. 이로하순과는 다르게 발음상 동일한 경우인 イ·ヰ(이)와 オ·ヲ(오), エ·ヱ(에)의 경우는 함께 기록하여 총 44개의 발음으로 서명을 분류하고 있다. 서미와 서미의 판심 부분에 ‘イヰ之部’, ‘イヰ’와 같이 각 부를 표기하고 있다.
 イ·ヰ部는 14종, ロ部는 12종, ハ部는 29종, ニ部는 10종, ホ部는 19종, ヘ部는 3종, ト部는 38종, チ部는 10종, リ部는 28종, ヌ部는 0종, ル部는 1종, オ·ヲ는 10종, ワ는 6종, カ는 40종, ヨ는 6종, タ는 45종, レ는 14종, ソ는 41종, ツ는 4종, ネ部는 0종, ナ는 10종, ラ는 9종, ム는 1종, ウ는 2종, ノ는 3종, ク는 18종, ヤ는 5종, マ는 8종, ケ는 34종, フ는 14종, コ는 70종, エ·ヱ는 16종, テ는 10종, ア는 5종, サ는 43종, キ는 60종, ユ는 4종, メ는 13종, ミ는 12종, シ는 115종, ヒ는 8종, モ는 10종, セ는 63종, ス는 6종으로, 총 869종의 서적을 기록하였다.
특성 및 가치
 서명과 丁數만을 기록하고, 일본식과 조선식으로 서명 색인 기법을 도입하여 서명 검색이 용이하도록 색인 목록을 만든 점이 특징이라고 할 수 있다. 서명 배열 규칙은 丁數가 작은 수부터 큰 수의 순서로 배열하였는데, 간혹 그 순서가 맞지 않는 경우가 있어 색인이 만들어진 후에 첨가된 것으로 판단된다. 전체 서명을 완벽하게 반영하여 기록한 것이 아니라 첫 글자의 음을 기준으로 분류한 것으로, 표기와 배열, 검색의 편의성이 반영된 방식이라고 볼 수 있다.

집필자

이혜정
범례
  • 인명
  • 관직명
  • 나라명
  • 건물명
  • 관청명
  • 지명
  • 연도
  • 문헌명
  • 기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