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url:./treeAjax?siteMode=prod}

도서원부(중국판)(圖書原簿(中國板))

자료명 도서원부(중국판)(圖書原簿(中國板)) 저자 이왕직(李王職) 편(編)
자료명(이칭) 圖書原簿: , 도서원부:(중국판)(圖書原簿:(中國板)) 저자(이칭) 李王職 編 , 이왕직(조선) 편(李王職(朝鮮) 編)
청구기호 K2-4961 MF번호 MF16-1427
유형분류 고서/기타 주제분류 史部/目錄類
수집분류 왕실/고서/한국본 자료제공처 장서각(SJ_JSG)
서지 장서각 디지털아카이브 전자도서관 해제 장서각
원문텍스트 이미지 장서각통합뷰어* 원문이미지 디지털아카이브 PDF

· 원문이미지

닫기

· PDF서비스

닫기

· 기본정보 해제 xml

닫기

일반사항

· 사부분류 사부
· 작성시기 [1920]
· 청구기호 K2-4961
· 마이크로필름 MF16-1427
· 소장정보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작성주체 - 기관단체

역할 단체/기관명 담당자 구분
이왕직(李王職) 편(編)

형태사항

· 크기(cm) 27.7 X 19.5
· 판본 필사본(筆寫本)
· 장정 선장(線裝)
· 수량 1책(冊)
· 판식 반곽(半郭) 23.2×15.3㎝

· 상세정보

닫기

내용

정의
1920년이왕직 도서실에서 작성한 中國本 목록이다.
서지사항
 표지 장황은 무늬가 없는 황색 종이에 ‘圖書原簿’가 필사되어 있으며, 그 아래쪽에 ‘支那板’이 필사되었다. 표지 다음 장에 원표지로 보이는 斜格卍字紋 회백색 종이 표지에, 四周雙邊 안에 ‘圖書原簿 支那板’이 필사된 제첨이 붙어 있다. 본문은 판하구에 ‘李王職’이 인쇄된 주색 이왕직용 괘지에 필사한 것으로, 판형은 四周雙邊, 有界, 10段, 10行字數不定, 上下向朱魚尾이다. 뒤표지 이면에 ‘西紀一九七三年十二月 藏書閣再裝’이 필사되었다.
체제 및 내용
 이왕직 도서실이왕직 서무과 산하에 있던 기관으로, 서무과는 제실도서의 보관과 관리 외에 도서 구입도 담당하고 있었다. 본 목록 또한 당시 도서 구입과 관련된 직접적인 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자료이다.
 목록은 經部, 史部, 子部, 集部, 類叢書部 등 5부로 나누고 그 아래에 類別로 또 세분화하여 작성하였다. 經史子集 외에 類叢書部를 추가하고 경부와 사부의 아래에 翼類를 설정한 것이 특이한 점이다.
 본문은 인쇄된 괘지에 작성하였는데, 起頭에 ‘部’와 ‘類’, ‘自第 列 第 架至第 列 第架’를 기재하여 분류와 현재 소장된 위치를 바로 확인할 수 있게 하였다. 그 아래에 番號, 書名, 冊數, 版種, 著作者(時代, 姓名, 字, 號), 出版時代, 備考 등 크게 7가지 항목으로 나누어 도서의 세부 사항을 기입하고 있다. 판종에 ‘木’, ‘活’, ‘石’이라고 기록하여 중국본의 판종을 목판본, 활자본, 석인본으로 구분하여 파악하고 있다. 또한 저작자에 대해서도 시대, 성명, 자, 호까지 기록하여 자세한 정보를 제공하였다. 비고에는 주로 간행처 또는 출판사를 기록하였고, 그 외에 귀중도서, 도서의 크기, 缺本 등 다양한 정보를 기재하였다. 특히 귀중도서는 ‘貴重圖書’라는 도장을 날인하여 표시하였다. 번호의 윗부분 書眉에 원형으로 된 ‘合’이라는 도장을 날인하였는데, 아마도 기재한 사실과 실물을 비교하여 동일한 경우에 표시한 것으로 보인다. 본서의 판심에 해당하는 部, 類, 쪽수를 표기해놓았다.
특성 및 가치
 본 자료는 1920년이왕직 도서실에서 작성한 중국본 목록으로 당시에 이왕직에서 이왕가 도서를 소장·관리하는 것 외에 구입도 담당하고 있었음을 보여주는 실제적인 자료이다. 또한 인쇄된 괘지에 분류와 소장처를 표시하고 서명, 책수, 판종, 저작자, 출판 연도, 비고 등을 기입하여 도서 기술방식의 발전적인 형태를 보여주고 있다.

집필자

이혜정
범례
  • 인명
  • 관직명
  • 나라명
  • 건물명
  • 관청명
  • 지명
  • 연도
  • 문헌명
  • 기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