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url:./treeAjax?siteMode=prod}

인릉천봉시지문(仁陵遷奉時誌文)

자료명 인릉천봉시지문(仁陵遷奉時誌文) 저자 종백부(宗伯府) 편(編)
자료명(이칭) 인릉천봉시지문 부식(仁陵遷奉時誌文 附識) , 仁陵遷奉時誌文 附識 저자(이칭) 宗伯府編 , 이공(李玜)|미상|미상 , 종백부 편(宗伯府 編)
청구기호 K2-4950 MF번호 MF35-4083
유형분류 고서/금석문 주제분류 교육·문화/예술/금석문
수집분류 왕실/고서/한국본 자료제공처 장서각(SJ_JSG)
서지 장서각 장서각자료센터 디지털아카이브 전자도서관 해제 장서각 장서각자료센터
원문텍스트 장서각자료센터 이미지 장서각통합뷰어* 원문이미지 디지털아카이브 PDF

· 원문이미지

닫기

· PDF서비스

닫기

· 기본정보 해제 xml

닫기

일반사항

· 사부분류 사부
· 작성시기 1855(철종 6년)
· 청구기호 K2-4950
· 마이크로필름 MF35-4083
· 소장정보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작성주체 - 기관단체

역할 단체/기관명 담당자 구분
종백부(宗伯府) 편(編)

형태사항

· 크기(cm) 35.3 X 26.2
· 판본 척인본(拓印本)
· 장정 선풍장(旋風裝)
· 수량 1첩(帖)

· 상세정보

닫기

내용

정의
조선 제23대 국왕 純祖純元王后仁陵이 현재 위치로 遷陵되며 덧붙은 지문의 탁본첩이다.
서지사항
 표제 장황은 무늬가 있는 검은색 종이 표지에 흰색 종이 제첨이 붙어 있다. 제첨은 근래에 인쇄된 것으로, 四周單邊 안에 점선으로 된 사각형이 있으며, 그 안에 서명이 있다. 『冊子總錄』(K2-5147), 『中國版叢書目錄』(K2-5156)과 제첨 양식이 동일하다. 본문은 음각으로 총 4면이다. 한 면에 10行18字로 되어 있으며, 충식의 흔적이 있다. 병풍식으로 절첩한 책의 표지와 書背를 하나의 종이로 덮어 싸고 글자가 적히지 않은 뒷면을 풀로 붙여 제본한 선풍장 형태이다.
체제 및 내용
 1834년 순조가 승하한 경기도 파주仁祖 長陵 옆에 안장되었다. 순조의 뒤를 이어 손자 憲宗이 즉위했으나 후사를 남기지 못하고 붕어하자 순조의 비 순원왕후강화도에 있던 恩彦君의 손자인 李元範으로 왕위를 계승하게 하였다. 즉 철종순조의 아들 자격으로 왕위에 올랐다. 1855년(철종 6) 철종인릉綏陵, 徽慶園(순조의 생모 유빈 박씨의 무덤)의 遷奉을 결정하였다. 이에 여러 지역을 奉審하여 太宗 獻陵의 오른편 언덕에 새로이 인릉을 조성하게 하였다. 이때 지문을 개수해야 할 필요가 있었다. 이에 철종顯宗孝宗 寧陵을 遷陵하며 옛 지문을 埋安한 것을 따르도록 하고, 다만 1834년 이후의 일은 추록하는 것으로 결정하였다.
 본 탁본첩은 이때 만들어진 『仁陵遷奉時誌文附識』를 탁본한 것이다. 『仁陵遷奉時誌文附識』에 인릉의 천릉 사실에 대해 간략하게 밝히고 그간 있었던 일 등을 기록하여 기존에 매안된 능지의 부록으로 삼았다.
특성 및 가치
 조선의 왕릉에는 피장자의 가계와 생전 업적 등에 대해 적은 陵誌를 매안하였다. 陵表에는 간략한 이력을 陰記에 작성했지만, 능지에는 비교적 자세한 내용을 서술하며 찬미하였다. 왕릉의 천릉이 이루어진 경우 새롭게 능지를 마련해야 하나, 인릉과 같이 추록의 내용을 따로 제작하기도 하였다. 본 탁본첩은 천릉된 왕릉에 어떠한 형태로 능지의 내용이 추가되었는지 밝히고 있으며, 실물을 확인하기 힘든 능지의 형태를 보여주는 중요한 자료이다.

참고문헌

承政院日記
哲宗實錄

집필자

김충현
범례
  • 인명
  • 관직명
  • 나라명
  • 건물명
  • 관청명
  • 지명
  • 연도
  • 문헌명
  • 기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