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url:./treeAjax?siteMode=prod}

흥법사진공대사탑비첩(興法寺眞空大師塔碑帖)

자료명 흥법사진공대사탑비첩(興法寺眞空大師塔碑帖) 저자 최광윤(崔光胤)
자료명(이칭) 興法寺眞空大師塔碑帖 저자(이칭) 崔光胤(高麗)奉敎集 , 최광윤(고려) 봉교집(崔光胤(高麗) 奉敎集)
청구기호 K2-4936 MF번호 MF35-4083
유형분류 고서/기타 주제분류 史部/金石類/碑文
수집분류 왕실/고서/한국본 자료제공처 장서각(SJ_JSG)
서지 장서각 디지털아카이브 전자도서관 해제 장서각
원문텍스트 이미지 장서각통합뷰어* 원문이미지 디지털아카이브 PDF

· 원문이미지

닫기

· PDF서비스

닫기

· 기본정보 해제 xml

닫기

일반사항

· 사부분류 사부
· 작성시기 탁년미상(拓年未詳)
· 청구기호 K2-4936
· 마이크로필름 MF35-4083
· 소장정보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작성주체 - 인물

역할 인명 설명 생몰년 신분
최광윤(崔光胤)(고려(高麗)) 봉교집(奉敎集)

형태사항

· 크기(cm) 35.0 X 22.0
· 판본 탁인본(拓印本)
· 장정 첩장(帖裝)
· 수량 1첩(帖)
· 인장 三山主人, 李王家圖書之章

· 상세정보

닫기

내용

정의
940년(고려 태조 23) 흥법사에 건립된 眞空大師 忠湛(869~940)의 塔碑를 拓本한 첩이다.
서지사항
 표지 장황은 문양이 없는 황색 비단에 제첨지가 있으며 그 위에 ‘興法寺碑帖’을 필사하였다. 제첨 하단에 ‘增’이 필사되어 있다. 표지 하단에 ‘興法寺碑帖一冊’이 필사된 첨지가 붙어 있다. 본문은 음각으로 본문은 34面, 5行7字씩 잘라 붙여 첩으로 만들었다. 병풍식으로 절첩한 책의 표지와 書背를 하나의 종이로 덮어 싸고 글자가 적히지 않은 뒷면을 풀로 붙여 제본한 선풍장 형태이다. 제1면에 ‘高麗大師忠湛贊碑[興法寺碑] 全’이 필사된 첨지, 제37면에 ‘秘祭太卿表政名右鄒一高枚而’가 필사되고 ‘三山主人’의 인기가 날인된 첨지가 있다. 제2면에 ‘李王家圖書之章’이 날인되어 있다.
체제 및 내용
 본서에는 표제와 비문을 탁본한 내용이 수록되어 있다. 이 탑비는 강원도 원주시 흥법사 터에 있는 신라 말 고려 초의 선사 진공대사 충담의 것이다. 그는 869년(경문왕 9)에 태어났는데, 속성은 金氏이고, 선조는 신라의 귀족이었다. 일반적으로 비를 건립하는 데 몇 년씩 소요되는 것과 달리 대사가 입적한 바로 그해인 940년에 신속하게 건립되었다.
 비문은 고려 태조가 짓고 문신 崔光胤당나라 太宗의 행서 글씨를 집자하여 새겼다. 전면에 진공대사의 생애가 기술되어 있다. 진공대사신라 귀족 가문에서 태어나 출가하여 계율을 배우던 중 입당하여 圓淨의 법을 수학하고 돌아왔다. 이후 태조로부터 王師의 예우를 받았고, 태조의 명으로 흥법사에 주석하다가 입적하였다.
 陰記에는 대사가 태조에게 올린 表와 태조가 대사에게 내린 글이 나란히 실려 있다. 맨끝에 상좌 장로 등의 제자 및 낭중 시랑 등의 직명과 내말의 관등을 가진 在家弟子가 열거되어 있다.
특성 및 가치
 본서는 신라 말 고려 초 왕사였던 진공대사의 생애와 그의 흥법사상을 알 수 있는 귀한 자료이다. 불교 국가였던 고려에서 왕이 직접 승려에게 ‘진공대사’의 시호를 내려준 사실과 사찰을 중심으로 행해진 고려의 불교정책도 파악할 수 있다.

참고문헌

이지관, 『校勘譯註 歷代高僧碑文』-高麗篇 1, 伽山文庫, 1994.
임세권, 『한국금석문집성 18: 고려 2 비문 2』, 한국국학진흥원, 2014.
한국역사연구회, 『譯註 羅末麗初金石文』 上·下, 혜안, 1996.

집필자

김동근
범례
  • 인명
  • 관직명
  • 나라명
  • 건물명
  • 관청명
  • 지명
  • 연도
  • 문헌명
  • 기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