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url:./treeAjax?siteMode=prod}

선원록봉안형지안(璿源錄奉安形止案)

자료명 선원록봉안형지안(璿源錄奉安形止案) 저자 종부시(宗簿寺) 편(編)
자료명(이칭) 선원록봉[안형지안](璿源錄奉[安形止案]) , 璿源錄奉[安形止案] 저자(이칭) 宗簿寺 編 , 종부시 편(宗簿寺 編)
청구기호 K2-4903 MF번호 MF35-4082
유형분류 고서/기타 주제분류 史部/政書類/其他/璿源存案
수집분류 왕실/고서/한국본 자료제공처 장서각(SJ_JSG)
서지 장서각 디지털아카이브 전자도서관 해제 장서각
원문텍스트 디지털아카이브 이미지 장서각통합뷰어* 원문이미지 디지털아카이브 PDF

· 원문이미지

닫기

· PDF서비스

닫기

· 기본정보 해제 xml

닫기

일반사항

· 사부분류 사부
· 작성시기 1660(현종 1년)
· 청구기호 K2-4903
· 마이크로필름 MF35-4082
· 소장정보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작성주체 - 기관단체

역할 단체/기관명 담당자 구분
종부사(宗簿寺) 편(編)

형태사항

· 크기(cm) 39.0 X 26.4
· 판본 필사본(筆寫本)
· 장정 선장(線裝)
· 수량 1책(冊)
· 판식 반곽(半郭) 30.0×24.7㎝
· 인장 茂朱赤裳山史庫所藏 朝鮮總督府寄贈本, 奉使之印, 李王家圖書之章

· 상세정보

닫기

내용

정의
1660년(현종 1) 12월 2일 종부시 직장 李興稷적상산성 선원각에 선원록을 봉안한 사안에 대한 형지안이다.
서지사항
 본문 첫 장의 서명은 ‘順治十七年(1660)十二月初二日 全南道茂朱赤裳山城’이고, 표지서명은 ‘赤裳山城形止案’이다. 표지 장황은 민무늬 황색 종이를 사용하였고, 얇은 주황색 실로 선장해놓았다. 앞표지 우측에 ‘庚子式年’이 적혀 있고 관인이 찍혀 있다. 본문의 판식은 10행의 烏絲欄을 직접 그은 것으로 무어미이다. 본문의 글씨는 楷書로 적어놓았다. 책수는 본문 7장에 공지 2장이 더 있는 1책이다. 인장은 본문 첫 면에 ‘李王家圖書之章’, ‘茂朱赤裳山史庫所藏 朝鮮總督府寄贈本’을 날인하였고, 본문의 펼친 면마다 ‘奉使之印’을 3과씩 날인해놓았다.
체제 및 내용
 선원록형지안의 내용은 ‘形止+선원록 목록+座目’으로 구성되어 있다. ‘형지’는 선원록 봉안을 비롯해 포쇄와 선원각 修改 등 해당 사안의 전말에 대해 기록한 것이다. 이 부분에 국왕에게 사안에 대해 보고하거나 요청하는 啓辭와 담당자를 임명하는 差定, 적상산성 선원각에 도착하기까지의 일정을 기록하였다.
 선원록 봉안사행이 적상산성에 도착할 때까지 통과하는 지역의 관원들은 都差使員과 奉安差使員, 夫馬差使員, 道路差使員 등이 되어 陪行하였다. 1660년 11월 17일에 종부시 직장 이흥직이 선원록을 봉안하기 위해 辭朝하고 출발하였다. 이날 경기도차사원 고양군수 沈檍과 봉안차사원 교하현감 趙從耘, 부마겸도로차사원 중림찰방 李奎明 등이 배행하여 11월 19일 忠洪道 稷山 경계에 도착하였다. 11월 23일 전 전라남도 여산 경계에 도착하고, 11월 29일 무주현에 도착하여 숙박하고, 이튿날인 11월 30일에 선원각으로 나아갔다.
 무주현용담현 현령을 겸임한 金嚮과 陪行差使員이 함께 숙배한 후에 선원각 외부와 내부를 점검하였다. 선원각에 봉안했던 궤를 大別館으로 옮겨놓고 선원록을 주야로 포쇄하였다. 선원각 내부의 仰壁과 廣窓을 각 읍 色吏 등에게 분장하여 수리하게 한 후에 선원록을 본래대로 봉안하였다. 이번에 새로 봉안할 庚子式年(1660년)에 작성한 宗親錄과 類附錄 각 1권씩을 宇字 궤에 추가하였다. 또한 『仁祖大王本錄』과 『孝宗大王本錄』, 『當代錄』 각 1권씩을 黃字 궤에 추가하였다. 『列聖御帖』은 黑漆 小樻에 넣고 봉안낭청이 ‘臣謹封’을 적고 着署하였다.
 선원록 목록은 『太祖大王宗親錄』 1권에서부터 『경자식년유부록』까지 천자문의 순서로 매긴 地·玄·黃·宇字 궤에 봉안한 내역을 수록하였다. 어첩 외에 선원록은 모두 68권이 봉안되었다. 형지안 궤에는 이때의 庚子형지안을 포함하여 모두 8권이 수장되었다. 선원록형지안은 2권을 작성하여 한 권은 선원각 형지안 궤에 보관하고 한 권은 선원록청으로 가져갔다. 형지안의 권말에 사고참봉과 봉안차사원 익산군수, 배행낭청이 着名한 座目이 수록되었다.
특성 및 가치
 보통 식년에 수정한 선원록은 해를 넘겨 봉안하는 사례가 많다. 본 형지안은 경자식년1660년에 수정한 『종친록』과 『유부록』을 당해 12월 적상산성 선원각에 봉안한 사례로서 의미가 있다.

참고문헌

조계영, 「조선후기 선원각의 왕실 기록물 보존체계」, 『조선시대사학보』 55, 조선시대사학회, 2010.KCI

집필자

조계영
범례
  • 인명
  • 관직명
  • 나라명
  • 건물명
  • 관청명
  • 지명
  • 연도
  • 문헌명
  • 기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