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url:./treeAjax?siteMode=prod}

각읍전평봉미봉책(各邑錢坪捧未捧冊)

자료명 각읍전평봉미봉책(各邑錢坪捧未捧冊) 저자 편자미상(編者未詳)
자료명(이칭) 各邑錢坪捧未捧冊 저자(이칭) [編者未詳]
청구기호 K2-4840 MF번호 MF16-1425
유형분류 고서/기타 주제분류 史部/政書類/度支
수집분류 왕실/고서/한국본 자료제공처 장서각(SJ_JSG)
서지 장서각 디지털아카이브 전자도서관 해제 장서각
원문텍스트 이미지 장서각통합뷰어* 원문이미지 디지털아카이브 PDF

· 원문이미지

닫기

· PDF서비스

닫기

· 기본정보 해제 xml

닫기

일반사항

· 사부분류 사부
· 작성시기 1890(고종 27년)
· 청구기호 K2-4840
· 마이크로필름 MF16-1425
· 소장정보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작성주체 - 인물

역할 인명 설명 생몰년 신분
편자미상(編者未詳)

형태사항

· 크기(cm) 26.5 X 18.0
· 판본 필사본(筆寫本)
· 장정 선장(線裝)
· 수량 1책(冊)

· 상세정보

닫기

내용

정의
1890년(고종 27) 7월 5일에 각 읍에서 거두지 못한 비용을 정리한 문서이다.
서지사항
 表題와 內題는 ‘各邑錢坪捧未捧冊’, 卷首題는 ‘庚寅(1890)七月初五日各邑未收抄出冊’이다. 不分卷 1冊(10張) 구성의 5침 線裝本으로, 표지는 문양이 없는 黃色 종이이며, 본문의 종이는 楮紙를 사용하였다. 판식이 없는 筆寫本으로, 본문은 行字數가 일정하지 않고 小字雙行이다. 표지 이면에 ‘西紀一九七三年十二月藏書閣再裝’이라는 스탬프를 날인하여 본서가 1973년에 改裝되었음을 알 수 있다.
체제 및 내용
 본 문서의 작성 시기는 1890년(고종 27)이며, 본문에 계미년(1883년, 고종 20)부터 기축년(1889년, 고종 26)까지 연도별로 미수액이 기록되어 있다. 문서에 포함된 지역은 東萊府, 箕營, 永興, 文川, 載寧, 梁山, 金海, 振威, 陽城, 南海 등 10개 지역이다. 미수액은 세목별로도 구분되어 있다. 세목에 동래부의 詳代錢과 蘆稅錢, 기영의 例貿蔘價와 遼軍木代錢, 영흥·문천의 鹽盆稅錢, 재령의 別結錢, 양산의 노세전, 김해의 노세전, 진위·양성의 洑收稅錢, 진위의 보수세전, 양성의 보수세전, 남해의 登臺垌稅錢 등이 포함되었다. 세목의 종류로 볼 때 나름의 조사 기준이 있었던 것으로 보이지만, 본 문서에 모든 종류의 미납 세목이 포함되지는 않은 듯하며 상세하지 않다. 또 세목에 중앙 기관에 납부하는 세금과 지방 기관에 납부하는 세금이 모두 포함된 것이 특징이다. 시기별 세목에는 다시 미수금의 세부적인 사항이 요약되어 있다. 예컨대 동래 상대전 계미조는 883냥 8푼이 진휼 비용으로 쓰였으며, 노세전 계미조의 경우 內別庫에서 받을 91냥 2전 6푼이 미납되었다. 기영 예무삼가의 경우 계미조는 호조에 납부해야 할 45,000냥, 갑신조는 기영에 납부할 5,554냥 2전 6푼과 30,000냥이 미납되었다. 지역별 특성에 따라 세금의 종류와 납부처, 미납 원인이 다르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당시 국가 재정을 구성하던 전세나 대동세가 아닌 遼軍木, 洑稅와 같이 특정 지역에서 거두는 세금의 미납 기록만이 기록된 것으로 보아 당시 특별한 조사 목적이 있었던 것으로 보이지만, 이 문서에서는 파악할 수 없다.
특성 및 가치
 고종 연간 지역별 부세의 종류와 특징, 미납 세금의 관리 방식을 파악할 수 있는 자료이다.

집필자

임성수
범례
  • 인명
  • 관직명
  • 나라명
  • 건물명
  • 관청명
  • 지명
  • 연도
  • 문헌명
  • 기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