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url:./treeAjax?siteMode=prod}

각부부예산청구액(各府部豫算請求額)

자료명 각부부예산청구액(各府部豫算請求額) 저자 탁지부(度支部) 편(編)
자료명(이칭) 各府部豫算請求額 저자(이칭) 탁지부 편(度支部 編) , 度支部 編
청구기호 K2-4839 MF번호 MF16-1425
유형분류 고서/기타 주제분류 史部/政書類/度支
수집분류 왕실/고서/한국본 자료제공처 장서각(SJ_JSG)
서지 장서각 디지털아카이브 전자도서관 해제 장서각
원문텍스트 이미지 장서각통합뷰어* 원문이미지 디지털아카이브 PDF

· 원문이미지

닫기

· PDF서비스

닫기

· 기본정보 해제 xml

닫기

일반사항

· 사부분류 사부
· 작성시기 1906(광무 10년)
· 청구기호 K2-4839
· 마이크로필름 MF16-1425
· 소장정보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작성주체 - 기관단체

역할 단체/기관명 담당자 구분
탁지부(度支部) 편(編)

형태사항

· 크기(cm) 29.8 X 19.2
· 판본 필사본(筆寫本)
· 장정 선장(線裝)
· 수량 1책(冊)
· 판식 반곽(半郭) 20.4×13.7㎝

· 상세정보

닫기

내용

정의
1906년(광무 10)度支部가 국가의 1년 세입과 각 부별 예산액을 정리한 문서이다.
서지사항
 表題는 ‘各府部豫算請求額’, 內題는 ‘光武十年度(1906)各府部豫算請求額’이다. 不分卷 1冊(39張) 구성의 5침 線裝本으로, 표지는 문양이 없는 黃色 종이이며, 본문의 종이는 楮紙를 사용하였다. 표지 우측 상단에 ‘光武十年度(1906)’라고 묵서되어 있다. 판식은 四周雙邊, 有界, 上下向黑魚尾, 판심 상단에 ‘度支部’라고 인쇄된 형태의 朱色 印札空冊紙이며, 본문은 10行字數不定 小字雙行으로 된 筆寫本이다.
체제 및 내용
 본 문서의 작성 시기는 1906년(광무 10)이며, 국가 재정을 총괄하던 度支部에 의해 작성되었다. 본문의 내용은 크게 세입과 세출로 구분되어 있다. 또한 세출은 각 부별로 경상지출과 임시지출로 구분된다. 세입은 結稅, 戶稅, 各年未納, 港稅, 驛賭, 均稅, 船稅, 官報收入, 典舖稅, 贓贖錢, 年稅, 捕鯨稅, 煤庫稅 등으로 구성되었다.
 조선 후기에 세입이 결세, 호세, 균세, 선세 등으로 구성되었던 것에 비해 대한제국기에 부세의 종류가 매우 다양해졌음을 알 수 있다. 특히 항세나 포경세, 매고세, 관보 수입 등은 시대의 변화에 따라 신설된 세금으로서 주목되는 부분이다. 세입의 총액은 993만 4,486원이었다. 세출 예산은 皇室部, 耆老所 소관, 議政府 소관, 內部 소관, 外部 소관, 度支部 소관, 軍部 소관, 法部 소관, 學部 소관, 農部 소관, 中樞府 소관, 通信院 소관 등으로 구분하여 기록되어 있다. 각 부 아래에 소속된 세부 관청별로 예산 목록이 쓰여 있다. 지출 예산은 모두 576만 8,927원 57전 4리였다. 세입이 지출 총액에 비해 두 배 가까이 많은 모습을 볼 수 있는데, 이러한 재정 흑자 구조가 실제로 유지되었는지는 별도의 연구 과제이다.
 이 문서는 각 관청의 예산을 항목별로 상세하게 구분하였으므로 당시의 재정 구조를 파악하는 데 유용하다. 관청마다 약간의 차이는 있지만 대체로 봉급, 관청 운영비, 청사 수리비, 잡비, 여비, 피복비, 사업비 등으로 구분되었다. 당시 정부 각 부처에 고용되었던 외국인 고문관의 인건비를 조선인의 봉급과 구분하여 기재한 점도 주목된다. 또한 각 부별, 세부 관청별, 지출 항목별 총액도 구분해놓아 국가 재정의 분배 구조도 파악할 수 있다.
특성 및 가치
 대한제국기 정부 구조와 국가 예산 규모를 상세히 파악할 수 있는 자료이다.

집필자

임성수
범례
  • 인명
  • 관직명
  • 나라명
  • 건물명
  • 관청명
  • 지명
  • 연도
  • 문헌명
  • 기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