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url:./treeAjax?siteMode=prod}

친향의궤(親享儀軌)

자료명 친향의궤(親享儀軌) 저자 예조(禮曹) 편(編)
자료명(이칭) 1850년 친향의례(親享儀禮) , 친향의례(親享儀禮) , 親享儀禮 저자(이칭) 예조 , 예조(조선) 편(禮曹(朝鮮) 編) , [禮曹 編]
청구기호 K2-4832 MF번호 MF35-4081
유형분류 고서/주해집 주제분류 史部/政書類/典禮
수집분류 왕실/고서/한국본 자료제공처 장서각(SJ_JSG)
서지 장서각 장서각기록유산 디지털아카이브 전자도서관 해제 장서각
원문텍스트 이미지 장서각통합뷰어* 원문이미지 장서각기록유산 디지털아카이브 PDF

· 원문이미지

닫기

· PDF서비스

닫기

· 기본정보 해제 xml

닫기

일반사항

· 사부분류 사부
· 서비스분류 종묘자료
· 작성시기 사년미상(寫年未詳)
· 청구기호 K2-4832
· 마이크로필름 MF35-4081
· 소장정보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작성주체 - 기관단체

역할 단체/기관명 담당자 구분
예조(禮曹) 편(編)

형태사항

· 크기(cm) 40.3 X 26.2
· 판본 필사본(筆寫本)
· 장정 선장(線裝)
· 수량 1책(冊)
· 판식 반곽(半郭) 35.3×21.1㎝

· 상세정보

닫기

내용

정의
조선 후기에 시행된 각종 국가 祭享에서 국왕이 親祭하는 의주를 정리한 책이다.
서지사항
 表題는 ‘親享儀軌’이다. 不分卷 1冊(54張) 구성의 5침 線裝本으로, 표지는 문양이 없는 黃色 종이이며, 본문의 종이는 楮紙를 사용하였다. 권수를 비롯하여 본문 일부가 결락된 상태로, 欄上에 간혹 본문에 대한 부연 설명이 묵서되어 있다. 판식은 四周單邊, 有界, 上下內向黑魚尾의 印札空冊紙이며, 본문은 10行字數不定 小字雙行으로 된 筆寫本이다.
체제 및 내용
 본서에 필사자나 필사 연대가 밝혀져 있지 않지만, 일부 의주는 실록이나 『承政院日記』 등의 기사를 볼 때 경종·영조 대에 마련된 것으로 보인다. 즉 ‘親享先農祈雨時王世弟行亞獻儀’는 『承政院日記』 1723년(경종 3) 5월 17일 기사 중 선농단 기우제에서 왕세제가 아헌하는 의주를 마련하자고 한 예조의 건의 내용과 일치하며, ‘親享雩祀壇祈雨儀-己未五月二十九日’은 『영조실록』 1739년(영조 15) 5월 29일 기사 중에 영조가 우사단에서 親祭한 사실과 부합된다. 또 본서에 국상 중이던 乙巳 7월과 辛亥 5월의 ‘社稷祈雨親祭時出還宮儀’가 실려 있는데, 『영조실록』에서 확인한 결과 경종의 국상 중이던 1725년(을사년) 7월 21일과 경종宣懿王后의 喪中이던 1731년(신해년) 5월 22일에 사직 기우제가 친제로 거행되었다. 이러한 점들을 고려할 때, 본서는 영조 대 이후에 필사된 것으로 추정된다.
 본서 첫 면에 卷首題나 의주 제목 없이 의주의 내용이 중간부터 기록되어 있어 앞부분에 결락이 있음을 알 수 있다. 본서에 결락 없이 내용이 모두 수록된 친향 의주는 12건인데, 첫 번째의 ‘親享宗廟時出還宮儀’를 제외하면 모두 기우제에 관한 의주라는 점이 특징이다. 12건의 의주 제목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① 親享宗廟時出還宮儀-望廟望殿禮儀 附, ② 社稷祈雨親祭儀, ③ 社稷祈雨親祭時出還宮儀, ④ 社稷親祭時王世子祗迎祗送儀, ⑤ 社稷祈雨親祭時出還宮儀-乙巳七月 辛亥五月 國恤三年內, ⑥ 親享雩祀壇祈雨儀-己未五月二十九日, ⑦ 親享雩祀壇祈雨時出還宮儀, ⑧ 親享先農祈雨儀, ⑨ 親享先農祈雨時王世弟行亞獻儀, ⑩ 親祭祈雨嶽海瀆諸山川儀, ⑪ 親祭祈雨嶽海瀆諸山川時出還宮儀, ⑫ 親享風雲雷雨山川祈雨儀.
특성 및 가치
 조선 후기 국가 제사의 親享 의례를 파악하는 데 도움이 되는 자료이다.

참고문헌

景宗實錄
承政院日記
英祖實錄

집필자

강문식
범례
  • 인명
  • 관직명
  • 나라명
  • 건물명
  • 관청명
  • 지명
  • 연도
  • 문헌명
  • 기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