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url:./treeAjax?siteMode=prod}

추존시의궤(追尊時儀軌)

자료명 추존시의궤(追尊時儀軌) 저자 장례원(掌禮院) 편(編), 이덕현(李悳鉉)
자료명(이칭) 1908년 추숭시의궤(追崇時儀軌) , 追尊時儀軌 저자(이칭) 장례원 , 장례원(조선) 편,e이덕현사(掌禮院(朝鮮)編,e李悳鉉寫) , 掌禮院(朝鮮)編,
청구기호 K2-4830 MF번호 MF35-4080
유형분류 고서/의궤 주제분류 史部/政書類/典禮
수집분류 왕실/고서/한국본 자료제공처 장서각(SJ_JSG)
서지 장서각 장서각기록유산 디지털아카이브 전자도서관 해제 장서각 장서각기록유산
원문텍스트 디지털아카이브 이미지 장서각통합뷰어* 원문이미지 장서각기록유산 디지털아카이브 PDF

· 원문이미지

닫기

· PDF서비스

닫기

· 기본정보 해제 xml

닫기

일반사항

· 사부분류 사부
· 서비스분류 종묘자료
· 작성시기 1908(융희 2년)
· 청구기호 K2-4830
· 마이크로필름 MF35-4080
· 소장정보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작성주체 - 인물

역할 인명 설명 생몰년 신분
이덕현(李悳鉉) 사(寫)

작성주체 - 기관단체

역할 단체/기관명 담당자 구분
장례원(掌禮院) 편(編)

형태사항

· 크기(cm) 45.3 X 32.0
· 판본 필사본(筆寫本)
· 장정 철장(鐵裝)
· 수량 1책(冊)
· 판식 반곽(半郭) 30.7×24.7㎝
· 인장 貴重圖書

· 상세정보

닫기

내용

정의
1908년(융희 2) 음력 4~7월에 眞宗·憲宗·哲宗을 皇帝로, 각 왕후를 皇后로 追尊한 사실을 기록한 의궤이다.
서지사항
 表題는 ‘追尊儀軌’, 卷首題는 ‘追尊時儀軌’이다. 不分卷 1冊(130張) 구성의 5침 鐵裝本으로, 표지는 문양이 없는 朱色 비단이며, 菊花童으로 邊鐵하였다. 표제는 남색 테두리가 쳐진 제첨 위에 붓으로 묵서하였고, 본문의 종이는 壯紙를 사용하였다. 권수면에 ‘隆熙二年戊申(1908)四月日 冊寶造成所設于掌禮院’이라고 묵서되어 있다. 판식은 四周雙邊, 有界, 上下向二葉花紋魚尾의 朱色 印札空冊紙이며, 본문은 12行24字 小字雙行으로 된 筆寫本으로 국한문이 혼용되어 있다.
체제 및 내용
 1908년 4월 5일(양력 5월 4일)에 夏享大祭를 위해 종묘에 거둥한 순종1899년 太祖·莊祖·正祖·純祖·翼宗의 황제 추존 시 함께 추존하지 못한 진종·헌종·철종의 황제 추존을 발의하였다. 이에 따라 대신들의 議定을 거쳐 세 왕과 왕후를 황제와 황후로 추존하였는데, 진종은 ‘眞宗昭皇帝’, 진종孝純王后는 ‘昭皇后’, 헌종은 ‘憲宗成皇帝’, 헌종孝顯王后·孝定王后는 모두 ‘成皇后’, 철종은 ‘哲宗章皇帝’, 철종哲仁王后는 ‘章皇后’로 추존하였다.
 본서에는 서두에 세 왕과 왕후의 추존 내용이 간략히 정리되어 있고, 이어 전체 목차인 「목록」이 있다. 그 다음에 추존 과정을 날짜별로 정리한 「時日」, 추존을 주관한 관원의 명단인 「座目」, 순종의 추존 발의 및 세 왕의 帝號 議定 과정 등이 기록된 「筵說」, 추존과 관련한 宮內府의 보고 내용을 정리한 「宮內府奏本」, 추존 의식의 절차를 기록한 「儀註」가 차례로 실려 있다. 또 「玉冊文」에 추존 황제와 황후에게 올리는 冊文의 내용, 「寶式」에 추존 황제와 황후에게 올린 金寶의 印文과 篆文書寫官의 이름, 「封裏式」에 冊寶를 싸는 방법이 기록되어 있다. 이어 추존 의식에서 사용된 각종 물품에 대해 설명한 「圖說」, 冊寶를 종묘로 옮기는 행렬을 그림 없이 글로만 표시한 「班次圖」, 각종 물품의 제작에 투입된 물자 내역을 정리한 「回議案」과 「實入」, 물품 제작을 담당한 장인의 명단인 「工匠」, 冊寶 제작비 지급에 관한 내용을 담은 「照會」와 「宮內府來照」, 추존 관련 공문서의 내용을 정리한 「輪牒」·「通牒」, 추존 준비에 소요된 경비를 정리한 「財用」, 담당 관원 및 役員에게 시상한 내역인 「賞典」, 의궤 제작 과정을 기록한 「儀軌事例」 등이 수록되어 있다. 다음으로 추존 황제 능의 表石 조성을 담당한 表石所의 업무 내역을 정리한 「表石所儀軌」가 별도로 정리되어 있다. 의궤의 마지막 면에 본 의궤의 편찬을 담당한 관원의 직함과 署押이 실려 있다.
특성 및 가치
 대한제국의 마지막 추존 의례였던 진종·헌종·철종의 추존 과정을 상세히 정리한 의궤로, 대한제국기 황실 의례와 국가 재정을 연구하는 데 사료적 가치를 갖는다.

참고문헌

純宗實錄
이현진, 「대한제국의 선포와 종묘 제도의 변화-七廟의 구성과 황제 추존, 신주 改題를 중심으로-」, 『한국사상사학』 40, 한국사상사학회, 2012.KCI

집필자

강문식
범례
  • 인명
  • 관직명
  • 나라명
  • 건물명
  • 관청명
  • 지명
  • 연도
  • 문헌명
  • 기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