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url:./treeAjax?siteMode=prod}

전내비품촌법개요(殿內備品寸法槪要)

자료명 전내비품촌법개요(殿內備品寸法槪要) 저자 이왕직(李王職) 편(編)
자료명(이칭) 殿內備品寸法槪要 저자(이칭) 李王職 編 , 이왕직(조선) 편(李王職(朝鮮) 編)
청구기호 K2-4805 MF번호 MF16-1419
유형분류 고서/기타 주제분류 史部/政書類/典禮
수집분류 왕실/고서/한국본 자료제공처 장서각(SJ_JSG)
서지 장서각 디지털아카이브 전자도서관 해제 장서각
원문텍스트 이미지 장서각통합뷰어* 원문이미지 디지털아카이브 PDF

· 원문이미지

닫기

· PDF서비스

닫기

· 기본정보 해제 xml

닫기

일반사항

· 사부분류 사부
· 작성시기 1931
· 청구기호 K2-4805
· 마이크로필름 MF16-1419
· 소장정보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작성주체 - 기관단체

역할 단체/기관명 담당자 구분
이왕직(李王職) 편(編)

형태사항

· 크기(cm) 27.1 X 18.7
· 판본 필사본(筆寫本)
· 장정 선장(線裝)
· 수량 1책(冊)
· 판식 반곽(半郭) 20.0×15.1㎝

· 상세정보

닫기

내용

정의
1931년 宗廟永寧殿에 설비된 물품과 소장 비품 상황을 정리한 문서이다.
서지사항
 表題는 ‘殿內備品寸法槪要’, 卷首題는 ‘宗廟永寧殿殿內設備品寸法’이다. 不分卷 1冊(52張) 구성의 五針線裝本으로, 표지는 문양이 없는 黃色 종이이며, 본문의 종이는 洋紙를 사용하였다. 표지 우측 상단에 ‘宗廟 永寧殿’, 面紙에 ‘昭和六年(1931)調査件’, ‘宗廟 永寧殿’, ‘殿內備品寸法槪要’라고 묵서되어 있다. 판식은 四周雙邊, 有界, 上下向黑魚尾, 판심 하단에 ‘李王職’이라고 인쇄된 형태의 朱色 印札空冊紙이며, 본문은 5段, 13行字數不定 小字雙行으로 된 筆寫本이다.
체제 및 내용
 1931년 당시 종묘영녕전 내에 소장된 비품의 상황을 조사하고 이를 정리하여 수록한 것으로, 李王職에서 작성하였다. 표제에 ‘昭和六年調査件’이라 명시되었다. 종묘에 대해 먼저 서술하고, 이어 영녕전 소장 비품을 수록하였다. 기록은 5단으로 구성하여 먼저 ‘宗廟第○室’이라는 형식으로 각 실을 명시하고, 하단에 비품명과 높이, 길이, 가림막으로 이용된 巾의 규모를 서술하였다.
 종묘의 神欌을 시작으로 神榻, 椅子, 冊欌, 寶欌, 祭床, 上排席, 下排席, 神褥, 黃木隔墻, 內面帳, 左右翼帳, 中面帳, 仰帳, 外面帳, 內珠簾, 隔簾, 踏掌, 蓋耭, 龍蓋, 鳳蓋, 龍扇, 鳳扇, 灌池桶, 祝板, 香爐, 香盒, 外唐家, 殿內拜席, 雉尾菷, 地衣, 外珠簾, 樽所床 등의 순서로 서술하였다. 제1실부터 제19실까지 각 물품의 소장 상황을 수록하고, 이어 다음 물품을 조사하여 수록하였다. 의자와 같은 경우는 각 실별로 大王位, 王后位, 皇帝位, 皇后位 등으로 나누어 서술하였다. 영녕전종묘와 동일한 형식으로 서술하고 있는데, 제1실부터 제15실까지 한 물품을 설명하고 이어 다른 물품을 서술하는 방식이다. 영녕전의 비품은 종묘에 비해 寶欌이 없다.
특성 및 가치
 1931년 종묘영녕전의 실태를 구체적으로 파악할 수 있는 자료이다. 종묘영녕전의 비품에 대하여 장서각 소장의 1909년에 편찬된 『宗廟永寧殿設備保管品簿』(K2-3232)와 1922년에 편찬된 『宗廟永寧殿物品現在表』(K2-3231)가 있으며, 본서와 이들 도서를 비교해보면 종묘영녕전의 변화상을 확인할 수 있다.

집필자

이근호
범례
  • 인명
  • 관직명
  • 나라명
  • 건물명
  • 관청명
  • 지명
  • 연도
  • 문헌명
  • 기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