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url:./treeAjax?siteMode=prod}

의주등록(儀註謄錄)

자료명 의주등록(儀註謄錄) 저자 예조(禮曹) 편(編)
자료명(이칭) 儀註謄錄 저자(이칭) 예조(조선) 편(禮曹(朝鮮) 編) , 禮曹 編 , 禮曹
청구기호 K2-4790 MF번호 MF35-4076
유형분류 고서/등록 주제분류 국왕·왕실/의례/등록
수집분류 왕실/고서/한국본 자료제공처 장서각(SJ_JSG)
서지 장서각 장서각자료센터 디지털아카이브 전자도서관 해제 장서각 장서각자료센터
원문텍스트 장서각자료센터 이미지 장서각통합뷰어* 원문이미지 디지털아카이브 PDF

· 원문이미지

닫기

· PDF서비스

닫기

· 기본정보 해제 xml

닫기

일반사항

· 사부분류 사부
· 작성시기 [1677](숙종 3년)
· 청구기호 K2-4790
· 마이크로필름 MF35-4076
· 소장정보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작성주체 - 기관단체

역할 단체/기관명 담당자 구분
예조(禮曹) 편(編)

형태사항

· 크기(cm) 41.2 X 26.8
· 판본 필사본(筆寫本)
· 장정 선장(線裝)
· 수량 1책(冊)
· 판식 반곽(半郭) 32.0×21.0㎝
· 인장 禮曹稽制課

· 상세정보

닫기

내용

정의
1651년(효종 2)부터 1677년(숙종 3)까지 文廟와 南別殿에서 행하는 酌獻禮와 국왕의 移御 의식 등의 절차를 모아 수록한 등록이다.
서지사항
 表題는 ‘儀註謄錄’이다. 不分卷 1冊(87張) 구성의 5침 線裝本으로, 표지는 문양이 없는 黃色 종이이며, 본문의 종이는 楮紙를 사용하였다. 表題 아래에 ‘十三’이라고 책차가 표기되어 본서가 零本임을 알 수 있다. 표지 이면에 목차 형식으로 ‘文廟酌獻禮, 春塘臺, 南別殿移還安, 文廟酌獻禮, 移御’라고 묵서하여 본서의 내용을 표시하였다. 판식은 四周單邊, 有界, 上下內向花紋魚尾, 판심 하단에 ‘禮曹上’이라고 인쇄된 형태의 印札空冊紙이며, 본문은 10行字數不定 小字雙行으로 된 筆寫本이다. 본문 각 장마다 정방형의 ‘禮曹稽制課’를 날인하였다.
체제 및 내용
 표제는 ‘儀註謄錄 十三’으로 표기되어 있다. 시기적으로 1651년(효종 3)에 거행된 移御慶德宮出宮儀를 시작으로 1677년(숙종 3)에 거행된 文廟 酌獻禮까지를 수록하였다. 내용은 문묘와 南別殿 등에서 행하는 작헌례와 관련된 의주를 수록하고, 계속해서 移御와 관련된 의주를 수록하였다. 문묘에서 행한 작헌례와 관련하여 1653년(효종 4), 1661년(현종 2), 1677년(숙종 3) 때의 의주를 수록하였는데, 文廟酌獻禮儀, 文廟酌獻禮時出還宮儀, 文廟酌獻禮時王世子隨駕出還宮儀, 文廟酌獻禮時入參行禮儀 등이다. 동시에 작헌례 뒤에 행해진 문·무과에 대한 文科試取儀, 武科試取儀, 文武科放榜儀 등을 수록하였다. 이어 국왕의 어진이 보관된 南別殿과 관련하여 1658년(효종 9) 4월 酌獻禮와 1677년(숙종 3) 중수를 위한 移還安 및 酌獻禮 때의 의주인 南別殿酌獻禮儀, 南別殿移安儀, 南別殿還安儀, 重建後南別殿酌獻禮儀 등을 수록하였다.
 移御와 관련하여 1651년(효종 2) 12월 27일 국왕이 창덕궁에서 경덕궁으로 이어할 때의 의주인 移御慶德宮出宮儀, 移御慶德宮時王大妃殿出宮儀와 다음해 還御 때의 의주인 還御昌德宮出宮儀, 還御昌德宮時王大妃殿出宮儀, 還御時王妃殿出宮儀, 還御昌德宮時王世子出宮儀 등이 수록되었다. 이 밖에도 1659년(현종 즉위)1662년(현종 3) 2월, 1666년(현종 7) 8월과 9월, 1671년(현종 12) 1월과 4월, 1673년(현종 14) 7월과 다음해 5월, 1675년(숙종 1) 5월과 11월의 이어와 환어 절차 등을 수록하였다.
특성 및 가치
 조선 후기 실제 현장에서 적용된 의주를 수록하고 있는 점에서 주목된다. 특히 상당수의 移御 및 還御 관련 의주를 수록하고 있는데, 이를 통해 조선 후기 궁궐 운영에 대해서도 파악할 수 있는 자료이다.

참고문헌

이근호, 「조선후기 국왕의 移御와 도시 운영」, 『서울학연구』 67, 서울시립대학교 서울학연구소, 2017.KCI

집필자

이근호
범례
  • 인명
  • 관직명
  • 나라명
  • 건물명
  • 관청명
  • 지명
  • 연도
  • 문헌명
  • 기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