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url:./treeAjax?siteMode=prod}

의주등록(儀註謄錄)

자료명 의주등록(儀註謄錄) 저자 예조(禮曹) 편(編)
자료명(이칭) 儀註謄錄 저자(이칭) 예조(조선) 편(禮曹(朝鮮) 編) , 禮曺 編 , 禮曹
청구기호 K2-4789 MF번호 MF35-4076
유형분류 고서/등록 주제분류 국왕·왕실/의례/등록
수집분류 왕실/고서/한국본 자료제공처 장서각(SJ_JSG)
서지 장서각 장서각자료센터 디지털아카이브 전자도서관 해제 장서각 장서각자료센터
원문텍스트 이미지 장서각통합뷰어* 원문이미지 디지털아카이브 PDF

· 원문이미지

닫기

· PDF서비스

닫기

· 기본정보 해제 xml

닫기

일반사항

· 사부분류 사부
· 작성시기 [1677](숙종 3년)
· 청구기호 K2-4789
· 마이크로필름 MF35-4076
· 소장정보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작성주체 - 기관단체

역할 단체/기관명 담당자 구분
예조(禮曹) 편(編)

형태사항

· 크기(cm) 41.3 X 27.5
· 판본 필사본(筆寫本)
· 장정 선장(線裝)
· 수량 1책(冊)
· 판식 반곽(半郭) 32.0×20.5㎝
· 인장 禮曹之印

· 상세정보

닫기

내용

정의
1657년(효종 8)부터 1677년(숙종 3)까지 시행된 進宴 및 公主 吉禮 때의 儀註를 수록한 등록이다.
서지사항
 表題는 ‘儀註謄錄’이다. 不分卷 1冊(28張) 구성의 5침 線裝本으로, 표지는 문양이 없는 黃色 종이이며, 본문의 종이는 楮紙를 사용하였다. 表題 아래에 ‘十九’라고 책차가 표기되어 본서가 零本임을 알 수 있으며, 面紙에 ‘進宴公主吉禮’, ‘禮曹上’, ‘儀註謄錄 十九’라고 묵서되어 있다. 판식은 四周單邊, 有界, 上下內向花紋魚尾, 판심 하단에 ‘禮曹上’이라고 인쇄된 형태의 印札空冊紙이며, 본문은 10行字數不定 小字雙行으로 된 筆寫本이다. 본문 각 장마다 정방형의 ‘禮曹之印’을 날인하였다. 본문 중 ‘大王大妃殿進宴儀丁巳(1677)十一月十六日’, ‘王大妃殿進宴儀丁巳十一月十九日’이라는 기록이 『숙종실록』 숙종 3년 11월 16일과 19일에 萬壽殿通明殿에서 잔치를 열었다는 기록과 일치하므로 본서가 1677년경에 필사된 것임을 알 수 있다.
체제 및 내용
 표제는 ‘儀註謄錄 十九’로 표기되었다. 시기적으로 효종 대부터 숙종 대까지의 의주를 수록하였다. 내용적으로 進宴과 公主의 吉禮를 중심으로 수록하였다. 진연과 관련하여 1657년(효종 8) 12월 萬壽殿에서 국왕과 왕비가 대왕대비에게 올릴 때의 進宴儀, 1665년(현종 6)에 제정된 大王大妃殿進宴儀, 1677년(숙종 3) 11월 萬壽殿에서 대왕대비와 왕대비에서 올린 진연 절차를 정한 大王大妃殿進宴儀와 王大妃殿進宴儀 등을 수록하였다. 1665년에는 흉년 등으로 당해에 진연이 시행되지 않고 1666년(현종 7)에 미루어서 시행되었다. 이어서 ‘公主吉禮儀’라 하여 六禮인 納采와 納幣, 親迎, 同牢, 公主見舅姑, 公主見祠堂, 壻朝見의 순으로 公主 吉禮의 절차를 정하였다. 翁主 역시 이에 준한다고 기록하였다.
특성 및 가치
 조선 후기 각종 의례의 정비 과정을 살필 수 있는 자료로, 특히 실제 구현된 儀註라는 점에서 주목된다. 한편 후반부에 수록된 公主吉禮儀는 『國朝五禮儀』에 실린 王女下嫁儀와 비슷하다. 다만 그 공간적 구성이나 절차가 좀 더 세밀하여 의주의 변화 양상 등을 살필 수 있다.

집필자

이근호
범례
  • 인명
  • 관직명
  • 나라명
  • 건물명
  • 관청명
  • 지명
  • 연도
  • 문헌명
  • 기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