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url:./treeAjax?siteMode=prod}

의주등록(儀註謄錄)

자료명 의주등록(儀註謄錄) 저자 예조(禮曹) 편(編)
자료명(이칭) 儀註謄錄 저자(이칭) 禮 曹 編 , 예조(조선) 편(禮曹(朝鮮) 編) , 禮曹
청구기호 K2-4786 MF번호 MF35-4075
유형분류 고서/등록 주제분류 국왕·왕실/의례/등록
수집분류 왕실/고서/한국본 자료제공처 장서각(SJ_JSG)
서지 장서각 장서각자료센터 디지털아카이브 전자도서관 해제 장서각 장서각자료센터
원문텍스트 이미지 장서각통합뷰어* 원문이미지 디지털아카이브 PDF

· 원문이미지

닫기

· PDF서비스

닫기

· 기본정보 해제 xml

닫기

일반사항

· 사부분류 사부
· 작성시기 [1728](영조 4년)
· 청구기호 K2-4786
· 마이크로필름 MF35-4075
· 기록시기 [1728年(英祖 4) 以後]
· 소장정보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작성주체 - 기관단체

역할 단체/기관명 담당자 구분
예조(禮曹) 편(編)

형태사항

· 크기(cm) 40.6 X 27.3
· 판본 필사본(筆寫本)
· 장정 선장(線裝)
· 수량 1책(冊)
· 판식 반곽(半郭) 31.8×21.0㎝
· 인장 禮曹之印

· 상세정보

닫기

내용

정의
1706년(숙종 32)부터 1728년(영조 4)까지 시행된 進賀 및 移御 의례 등의 절차를 수록한 등록이다.
서지사항
 총 1책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표지서명은 ‘儀註謄錄’이다. 연두색 표지의 線裝本으로, 표지는 근대에 재장된 것으로 추정된다. 표지의 좌측 상단에 표지서명이 기재되어 있으며, 앞 공격지에도 표지와 같은 내용이 기재되어 있다. 앞 공격지 이면에 목차가 기재되어 있다. 본문의 필사에 四周單邊 10행, 上下內向花紋魚尾, 판심제 하단에 ‘禮曹上’이 적힌 印札空冊紙를 사용하였다. 본문 중 문질러 지운 흔적이 있다. 본문의 단어에 직사각형으로 표시한 부분이 있으며, 광곽 상단을 이용하여 내용을 보충하기도 하였다. 본문 곳곳에 ‘禮曹之印’이 다수 날인되어 있다.
체제 및 내용
 표제는 ‘儀註謄錄’으로 표기되었고, 본문에 앞서 목록이 수록되었다. 내용은 進賀를 비롯해 移御, 국왕의 북한산성 친림, 존호를 올리거나 어진을 봉안하는 의식 등을 수록하였다. 마지막에 영조 초에 참고했을 것으로 추정되는 인조 대 獻馘儀 등을 수록하였다.
 진하와 관련해서는 1706년(숙종 32) 8월 27일 숙종의 즉위 30년을 기념하여 시행된 大殿進賀儀를 비롯하여 中宮殿進宴儀, 大殿進宴時王世子入參儀를 수록하였다. 이어 1714년 9월 18일에 內宴을 거행하는 방식을 논의한 進宴廳의 계사가 덧붙어 있다. 이 밖에도 1711년(숙종 37) 12월 초순 인원왕후 김씨가 병에서 회복된 것을 기념하여 시행한 陳賀頒敎時王世子百官權停例行禮儀, 中宮殿陳賀時王世子百官行禮儀 등도 수록하였다. 이와 관련해서는 1710년(숙종 36) 국왕의 未寧함으로 인하여 창덕궁에서 경덕궁(후일 경희궁)으로 이어할 때의 절차로, 국왕과 왕비의 출궁 절차를 규정한 移御慶德宮時出宮儀와 왕세자와 왕세자빈의 출궁 절차를 규정한 王世子移次慶德宮時出宮儀와 王世子嬪移次慶德宮時出宮儀 등도 수록하였다.
 북한산성 거둥과 관련해서는 1712년(숙종 38) 4월 앞서 완성된 북한산성의 시찰을 위해 국왕이 거둥할 때의 의식을 수록한 親臨北漢時出還宮儀, 親臨北漢出還宮時王世子祗送祗迎儀 등을 수록하였다. 존호를 올린 의식과 관련해서는 1713년(숙종 39) 숙종의 즉위 40년을 기념하여 왕세자와 종친 등이 국왕에게 존호를 올릴 때 시행된 의례로 定尊號百官上箋儀, 大殿上尊號冊寶儀, 中宮殿上尊號冊寶儀 등을 비롯하여 숙종의 원비인 인경왕후와 계비인 인현왕후에게 존호를 올리는 절차인 永昭殿上尊號冊寶儀, 敬寧殿上尊號冊寶儀 등 다수가 수록되었다.
 이들 외에도 1713년(숙종 39) 5월 숙종의 어진을 강화도 長寧殿에 봉안할 때의 절차인 御眞奉往長寧殿儀, 御眞奉往長寧殿時王世子祗送儀를 비롯하여 1717년(숙종 43) 8월 왕세자(후일의 경종)가 대리청정하면서 常參을 시행할 때의 절차인 王世子時敏堂常參儀와 1719년(숙종 45) 4월 국왕이 경덕궁 景賢堂에 친림하여 기로연을 베풀 때 절차인 親臨景賢堂賜耆老宴儀, 親臨景賢堂賜耆老宴時王世子入參儀 등이 수록되었다. 이 밖에도 본서에 영조 대에 작성되었을 것으로 판단되는 獻馘儀, 冬至使拜表權停例行禮儀, 會盟祭儀, 頒敎書儀, 功臣飮福儀, 進謝箋儀 등이 수록되었다. 이들 의례는 1728년(영조 4) 무신란 평정 이후 시행된 절차를 참고하기 위해 작성된 것으로 판단되는데, 헌괵의에 대하여 1624년(인조 2) 2월에 거행된 의주임을 명시하였다.
특성 및 가치
 본서에 수록된 의주는 1706년(숙종 32) 이후에 시행된 의례 절차로, 숙종 중반대 이후 각종 의례의 정비 과정을 확인할 수 있다. 숙종 대 중반 이후 시행된 각종 의례 행사와 함께 본서에 수록된 의주를 분석함으로써 각 의례의 의미를 추적할 수 있다.

집필자

이근호
범례
  • 인명
  • 관직명
  • 나라명
  • 건물명
  • 관청명
  • 지명
  • 연도
  • 문헌명
  • 기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