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url:./treeAjax?siteMode=prod}

상장등록(喪葬謄錄)

자료명 상장등록(喪葬謄錄) 저자 예조(禮曹) 편(編)
자료명(이칭) 喪葬謄錄 저자(이칭) 예조 , 禮 曹 編 , 예조(조선) 편(禮曹(朝鮮) 編)
청구기호 K2-4776 MF번호 MF35-4075
유형분류 고서/등록 주제분류 국왕·왕실/의례/등록
수집분류 왕실/고서/한국본 자료제공처 장서각(SJ_JSG)
서지 장서각 장서각자료센터 디지털아카이브 전자도서관 해제 장서각 장서각자료센터
원문텍스트 이미지 장서각통합뷰어* 원문이미지 디지털아카이브 PDF

· 원문이미지

닫기

· PDF서비스

닫기

· 기본정보 해제 xml

닫기

일반사항

· 사부분류 사부
· 작성시기 1737(영조 13년)
· 청구기호 K2-4776
· 마이크로필름 MF35-4075
· 기록시기 1737~1744年(英祖 13~20)
· 소장정보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작성주체 - 기관단체

역할 단체/기관명 담당자 구분
예조(禮曹) 편(編)

형태사항

· 크기(cm) 41.0 X 26.0
· 판본 필사본(筆寫本)
· 장정 선장(線裝)
· 수량 불분권(不分卷) 1책(冊)(전(全) 3책(冊))
· 판식 반곽(半郭) 31.8×20.9㎝
· 인장 禮曹之印

· 상세정보

닫기

내용

정의
1737년(영조 13) 1월 2일부터 1744년(영조 20) 5월 27일까지 왕실의 종친과 외척·대신 등의 喪葬과 관련된 조정의 논의 내용과 弔祭致賻 기사들을 정리하여 편찬한 등록이다.
서지사항
 하나의 청구기호에 1책으로 구성되어 있으나, ‘總冊數表示’ 부분에 ‘共三’으로 기재되어 있는 것을 통해 비완질본임을 알 수 있다. 표지서명은 ‘喪葬謄錄’이다. 표지는 2개인데, 본 표지와 재장 표지 모두 황색인 線裝本으로, 본 표지에는 국화 문양의 능화문이 있다. 두 표지 모두 좌측에 표지서명과 ‘六’이라는 卷次가 기재되어 있는데, 본 표지는 우측 상단에 ‘丁巳’, ‘戊午’, ‘己未’, ‘庚申’, ‘辛酉’, ‘壬戌’, ‘癸亥’, ‘甲子’라는 간지가 기재되어 있다. 재장된 뒤표지 이면에 ‘西紀一九七二年四月/藏書閣再裝’이라는 글이 2행에 걸쳐 기재되어 있다. 본문의 필사에 四周單邊, 10行, 小黑口의 印札空冊紙를 사용하였다. 광곽 상단에 기록이 있다. 본문 가운데 잘못 기재한 부분을 문질러 지우고 수정하였다. 그리고 본문 중 일부 이름을 검게 칠한 부분도 있다. 본문에 얼룩이나 물에 젖어 내용이 번진 부분이 있으며 곳곳에 ‘禮曹之印’이 다수 날인되어 있다. ‘丁巳年’에서 ‘甲子年’까지의 내용을 담고 있는데, 본문 중 ‘丁巳正月初八日’ 기사에 ‘曺單子知中樞府事李眞望當日卒逝云’이라는 글이 있다. 이진망(1672~1737)의 몰년을 통해 추정할 때 본문의 내용이 1737년(영조 13)부터 1744년(영조 20)까지에 해당함을 알 수 있다. 이를 통해 1744년까지 작성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역시 비완질 본인 장서각 소장 동명의 책(K2-4775)이 있는데, 필사 용지나 표지 정보 등을 봤을 때 세트인 듯하다.
체제 및 내용
 본서는 표제가 ‘喪葬謄錄 六’으로 되어 있어서 전체 중 여섯 번째 책임을 알 수 있다. 書腦의 하단부에는 ‘共三’이라고 쓰여 있어서 표제의 책수 기록과 일치하지 않는데, 현재로서는 어느 쪽이 맞는지 확인하기 어렵다.
 본서의 기록 방식은 역시 장서각에 소장된 『喪葬謄錄』(K2-4775)과 같으며, 단지 상단 난외의 두주 내용이 『喪葬謄錄』(K2-4775)에 비해 좀 더 자세하다는 점만 다르다. 수록된 내용 역시 종친·외척·대신들의 사망 사실, 弔祭致賻의 승정원 보고와 국왕 전교, 종친·외척 사망 시 왕실의 喪葬儀禮에 관한 예조의 보고 등이 중심이라는 점에서 기본적으로 동일하다.
특성 및 가치
 조선 후기에 종친·대신의 사망 시 국가에서 취한 조치 및 관련된 상장의례 운영의 내용들을 구체적으로 파악하는 데 도움이 되는 자료이다.

집필자

강문식
범례
  • 인명
  • 관직명
  • 나라명
  • 건물명
  • 관청명
  • 지명
  • 연도
  • 문헌명
  • 기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