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url:./treeAjax?siteMode=prod}

국조속오례의서례(國朝續五禮儀序例)

자료명 국조속오례의서례(國朝續五禮儀序例) 저자 영조(英祖)
자료명(이칭) 국조속오례의서례(國祖續五禮儀序例) , 國祖續五禮儀序例 , 1744년 국조속오례의 서례(國朝續五禮儀序禮) 저자(이칭) 英祖(朝鮮王) 命編 , 영조 , 영조(조선왕,1694-1776) 명편(英祖(朝鮮王,1694-1776) 命編)
청구기호 K2-4760 MF번호 MF16-1419
유형분류 고서/주해집 주제분류 史部/政書類/典禮
수집분류 왕실/고서/한국본 자료제공처 장서각(SJ_JSG)
서지 장서각 장서각기록유산 디지털아카이브 전자도서관 해제 장서각
원문텍스트 이미지 장서각통합뷰어* 원문이미지 장서각기록유산 디지털아카이브 PDF

· 원문이미지

닫기
· K2-4760:01
· K2-4760:02

· PDF서비스

닫기

· 기본정보 해제 xml

닫기

일반사항

· 사부분류 사부
· 서비스분류 종묘자료
· 작성시기 1744(영조 20년)
· 청구기호 K2-4760
· 마이크로필름 MF16-1419
· 소장정보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작성주체 - 인물

역할 인명 설명 생몰년 신분
영조(英祖) 명편(命編)

형태사항

· 크기(cm) 37.0 X 24.0
· 판본 무신자복각판(戊申字覆刻版)
· 장정 선장(線裝)
· 수량 2권(卷) 1책(冊)(전(全) 5권(卷) 4책(冊))
· 판식 반곽(半郭) 23.0×17.0㎝
· 인장 奎章之寶

· 상세정보

닫기

내용

정의
1744년(영조 20)에 편찬된 『國朝續五禮儀』 중에서 序例(1권)와 考異(1권)가 수록된 제1책 부분이다.
서지사항
 총 4책이나 장서각은 한 청구기호에 同書 2部, 2책을 소장하고 있다. 冊次는 제1책이다. 표지서명은 ‘續五禮儀’, 권수제는 ‘國朝續五禮儀序例’이며, 판심제는 내용에 따라 ‘御製續五禮序’, ‘續五禮箋’ 등 다양하게 나타난다. 황색 표지의 線裝本으로, 斜格卍字 문양이 있다. 표지의 좌측 상단에 표지서명과 책차가 기재되어 있으며, A본의 표지 우측 상단에는 ‘序例’라는 글이 있다. 두 책 모두 총 책수 표시 부분의 ‘共四’라는 기록을 통해 본래 총 4책임을 알 수 있다. A본의 앞표지 이면에 ‘社稷齋室’, B본의 앞표지 이면에 ‘宗廟齋室’이라는 글이 있으며, B본의 서문 첫 장 우측 하단에 ‘五禮儀’라는 글이 적힌 띠지가 붙어 있다. 木板本으로 판식이 크게 두 가지로 나타나는데, 서문은 四周雙邊, 有界, 上下內向三葉花紋魚尾, 行字數는 5行11字이며, 본문은 四周單邊, 有界, 上下內向二葉花紋魚尾, 行字數는 10行17字이다. 본문 광곽 상단에 얼룩이 있다. 두 책 모두 서문 첫 장 중앙에 ‘奎章之寶’ 인장이 날인되어 있다. 간행 시기는 서문 말미의 ‘歲閼逢困敦仲春之月辛未/序/通政大夫禮曹參議知/製 敎臣尹汲奉/敎書’라는 글과 尹汲(1697~1770)의 생몰년을 통해 1744년(영조 20) 이후임을 알 수 있다.
체제 및 내용
 『國朝續五禮儀』 완질본은 序例 1권과 考異 1권(이상 제1책), 儀註 5권(제2~4책) 등 총 7권 4책인데, 본서는 序例·考異가 실린 제1책만 전하는 영본이다. 표제는 ‘續五禮儀’이며 우측 상단에 작은 글씨로 ‘序例’라고 쓰여 있다. 또 앞표지 안쪽에 ‘社稷齋室’이라고 쓰여 있는 것을 볼 때, 본서가 사직단에 분상되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본서의 내용을 보면, 먼저 1744년영조가 직접 지은 「御製續五禮儀序」와 李宗誠이 지은 「進國朝續五禮儀箋」이 실려 있으며, 이어 「國朝續五禮儀凡例」가 수록되어 있다. 그 다음으로 「國朝續五禮儀序例目錄」과 「國朝續五禮儀序例」가 나오는데, ‘序例’는 의주의 내용을 실행에 옮길 때 필요한 제반 규정과 관련 圖說들을 정리한 것이다. 「國朝續五禮儀序例」는 吉禮·嘉禮·軍禮·凶禮의 네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吉禮序例’에 辨祀·時日·祝板 등 10조목, ‘嘉禮序例’에 鹵簿·執事官·玉圭圖說·几杖圖說 등 9조목, ‘軍禮序例’에 大射圖說·露布圖說 등 4조목, ‘凶禮序例’에 國恤服制圖說(喪服圖說) 1조목이 실려 있다. 마지막으로 「國朝續五禮儀考異目錄」과 「國朝續五禮儀考異」가 수록되어 있다. 「國朝續五禮儀考異」는 성종 대에 편찬된 『國朝五禮儀』의 내용 중 당시에 시행되지 않거나 변경된 의례들을 정리한 것으로, ‘序例考異’·‘吉禮考異’·‘嘉禮考異’·‘軍禮考異’·‘凶禮考異’ 등 다섯 부분으로 나뉘어 있다.
특성 및 가치
 조선 후기 국가전례의 정비 과정과 의례 시행의 실상을 파악하는 데 도움이 되는 자료이다.

참고문헌

김문식, 「조선시대 국가전례서 편찬 양상」, 『장서각』 21, 한국학중앙연구원, 2009.KCI
박수정, 『영조대 『國朝續五禮儀』 편찬과 정치적 성격』,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7.

집필자

강문식
범례
  • 인명
  • 관직명
  • 나라명
  • 건물명
  • 관청명
  • 지명
  • 연도
  • 문헌명
  • 기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