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url:./treeAjax?siteMode=prod}

도안(군관명부)(都案(軍官名簿))

자료명 도안(군관명부)(都案(軍官名簿)) 저자 군부(軍部) 편(編)
자료명(이칭) 都案(軍官名簿) 저자(이칭) 軍部 編 , 군부(조선) 편(軍部(朝鮮) 編)
청구기호 K2-4701 MF번호 MF35-4073
유형분류 고서/기타 주제분류 史部/傳記類/叢傳
수집분류 왕실/고서/한국본 자료제공처 장서각(SJ_JSG)
서지 장서각 디지털아카이브 전자도서관 해제 장서각 전자도서관
원문텍스트 이미지 장서각통합뷰어* 원문이미지 디지털아카이브 PDF

· 원문이미지

닫기

· PDF서비스

닫기

· 기본정보 해제 xml

닫기

일반사항

· 사부분류 사부
· 작성시기 1895(고종 32년)
· 청구기호 K2-4701
· 마이크로필름 MF35-4073
· 소장정보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작성주체 - 기관단체

역할 단체/기관명 담당자 구분
군부(軍部) 편(編)

형태사항

· 크기(cm) 38.9 X 21.0
· 판본 필사본(筆寫本)
· 장정 첩장(帖裝)
· 수량 2첩(帖)

· 상세정보

닫기

내용

정의
1895년(고종 32) 서울 지역의 군관과 군병의 명단과 인적 사항을 정리한 문서이다.
서지사항
 표제는 ‘都案’이다. 서명은 표제를 근거로 하였다. 현재 표지 장황은 무늬가 없는 빛바랜 황색 표지이다. 표제가 미색 첨지 위에 필사되었는데, 상태로 보아 현대에 와서 필사된 것으로 보인다. 2첩의 절첩본이다. 2-1첩은 표제 하단에 ‘軍官名簿’라고 기재되어 있다. 2-2첩의 표제 하단에 ‘大破’라고 기재되어 있어 많이 손상된 상태임을 알 수 있다. 본문의 판식은 어미가 없는 묵색 인찰공책지에 첨지를 붙이고 내용을 필사하는 방식으로 작성되었다. 일반적인 미색 첨지를 붙여서 내용을 기재하기도 하였지만, 대체로 붉은색으로 ‘年’, ‘父’, ‘係’, ‘住’, ‘保’라고 인쇄된 것에 각각 해당 내용을 묵서한 후 본문에 붙인 것으로 보인다.
체제 및 내용
 본 문서는 1895년(고종 32) 서울 지역의 軍案이다. 모두 2帖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표제는 1첩의 경우 ‘都案(軍官名簿)’이며, 2첩은 ‘都案(大破)’이다. 문서의 작성 시기는 군관들의 임명 시기에 을미년 5월의 내용이 기록되어 있는 것으로 보아 1895년 5월 이후라는 사실을 알 수 있다. 그런데 聯隊長副領으로 명성황후 시해 사건 때 광화문을 지키다가 피살당한 洪啟薰이라는 인물이 기록되어 있는 것으로 볼 때 늦어도 을미사변이 일어나기 전인 1895년 8월 이전에 작성되었음을 알 수 있다.
 문서의 작성 양식은 계급에 따라 차이가 있다. 지휘관급 군관의 경우 직급과 성명, 임명 일자, 이전 직급이 순서대로 기재되어 있으며, 正校 이하 군관과 일반 군병은 소속 부대, 계급, 성명, 나이와 출생 연도, 族名, 아버지 성명, 거주 지역, 抄定된 연월일, 保人 이름 순으로 기재되었다. 직급별 인원수는 지휘관급 군관은 聯隊長副領 1명, 大隊長參領 1명, 副官副尉 1명, 旗官參尉 1명, 餉官正尉 1명, 中隊長正尉 2명, 小隊長副尉 3명, 小隊長參尉 3명, 正校 2명, 大隊書記副校 2명, 炊事掛副校 1명, 喇叺長參校 1명, 會計書記副校 2명이며, 第一中一小隊는 副校 2명, 參校 2명, 上等兵 9명, 兵卒 58명으로 구성되었다.
 군병의 소속은 北部·西部·南部·東部·中部·高揚·楊洲·慶州 등이고, 주소지는 三淸洞·司圃洞·樓閣洞·龍頭里·靑坡·慕華館·紫門洞·壯洞·苧洞·圓洞·廟洞·翼洞·治洞·倉川·諫洞·訓練院內·貞洞·梅洞·大平洞·寺洞·南貞峴·龍洞 ·玄石里·公洞·西學峴·社洞·藥洞·南松峴·靑石洞·松井洞·彰義門外·禁府後洞·黃士峴·興仁之門外·玉洞·崇禮門內·律官·花洞·景慕宮前·蓮洞 ·惠敬橋·弼雲臺·後洞·履洞·扈洞·保民洞·南門內·六曹前·蛤洞·松亭洞·武橋·安洞·薺洞·里門洞·角亭·魚橋·阿峴·九學亭·校洞·孝橋·塔洞·西江·典洞·春洞·馬場里·魚靑橋·西學洞·內資洞 등으로 서울 지역 전역에 퍼져 있었다. 문서의 2첩에는 1첩과 달리 오직 군병만이 기재되어 있으며, 사이사이 결락된 부분이 많다.
특성 및 가치
 본 문서는 1895년(고종 32) 명성황후가 시해된 을미사변 직전 서울의 군사 편제를 살펴볼 수 있는 중요한 자료이다. 또한 19세기 말 조선의 군병 파악 방식과 군제 운영을 연구하는 데 있어서도 활용 가치가 높다.

집필자

임성수
범례
  • 인명
  • 관직명
  • 나라명
  • 건물명
  • 관청명
  • 지명
  • 연도
  • 문헌명
  • 기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