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url:./treeAjax?siteMode=prod}

진주정씨충효록(晉州鄭氏忠孝錄)

자료명 진주정씨충효록(晉州鄭氏忠孝錄) 저자 정인학(鄭仁學)
자료명(이칭) 晉州鄭氏忠孝錄 저자(이칭) 정인학(조선) 편(鄭仁學(朝鮮) 編) , 鄭仁學(朝鮮) 編
청구기호 K2-467 MF번호 MF35-1080~1108
유형분류 고서/기타 주제분류 史部/傳記類/叢傳/一般
수집분류 왕실/고서/한국본 자료제공처 장서각(SJ_JSG)
서지 장서각 디지털아카이브 전자도서관 해제 장서각 디지털아카이브
원문텍스트 이미지 장서각통합뷰어* 원문이미지 PDF

· 원문이미지

닫기

· PDF서비스

닫기

· 기본정보 해제 xml

닫기

일반사항

· 사부분류 사부
· 작성시기 1885(고종 22년)
· 청구기호 K2-467
· 마이크로필름 MF35-1080~1108
· 소장정보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작성주체 - 인물

역할 인명 설명 생몰년 신분
정인학(鄭仁學) 편(編)

형태사항

· 크기(cm) 30.8 X 20.3
· 판본 목활자본(木活字本)
· 장정 선장(線裝)
· 수량 3권(卷) 3책(冊)
· 판식 반곽(半郭) 24.0×16.8cm
· 인장 李王家圖書之章

· 상세정보

닫기

내용

정의
1885년(고종 22)鄭仁學이 자신의 조상인 忠莊公 鄭苯狂奴子 鄭遠, 獨谷公 鄭名世의 묘도문자와 기타 관련 자료를 수집해 3책으로 엮은 문헌이다.
서지사항
印書體 木活字로 간행된 판본이다. 表紙書名과 版心題는 ‘晉州鄭氏忠孝錄’, 書根題는 ‘忠孝錄’이다. 靑色 卍字紋 표지에 黃絲로 粧䌙하였다. 표지 서명 하단에 冊次가 ‘天·地·人’으로 필사되어 있다. 書腦 하단에 ‘共三’이라는 기록이 있다. 제1면 우측 상단에는 ‘李王家圖書之章’이 날인되어 있다.
체제 및 내용
天·地·人 3책으로 구분되어 있다. 권1의 첫머리에 있는 吳羽常(1766~?)이 1819년(순조 19)에 지은 서문 「三世事蹟序」와 권2 말미에 실린 鄭斗欽(1832~1910)의 「事蹟跋」의 내용을 통해, 본서가 1885년(고종 22)정인학의 주도로 重刊되었음을 알 수 있다.
권1에 실린 「三世事蹟」은 「忠莊公事蹟」, 「狂奴子事蹟」, 「獨谷公事蹟」 세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다. 충장공鄭苯(?~1454)의 시호로, 1416년(태종 16) 문과에 급제해 이조참판평안도관찰사를 지냈으나 계유정난 이후 賜死되었다가 순조 연간 정려되고 不祧의 은전을 받았다. 광노자鄭遠(1425~?)의 호로, 부친 정분이 사사된 후 미친 체하며 長興에 은둔하여 생을 마쳤다. 독곡공鄭名世(1550~1592)의 호로 1579년(선조 12) 문과에 급제하였고,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해미현감으로 趙憲의 휘하로 들어가 진주성을 사수하다가 성이 함락되면서 죽임을 당하였다.
권1 말미에는 정분의 후손인 鄭名遠·鄭名振·鄭見龍·鄭賢輔·鄭胤晉·鄭仁謙의 생평 관련 기록이 있다. 권2에는 세 조상과 관련된 다양한 묘도문자와 제현들의 시가 있고, 말미에 정두흠의 「事蹟跋」이 실려 있다. 권3에는 「兩世文狀」이라는 제하에 「呈禮曹單子」, 「禮曹題辭」, 「擧條」, 「國朝寶鑑謄抄」, 「刑曹啓辭」, 「禮曹回啓」, 「嶺營題辭」 등이 수록되어 있다. 이는 영조정분을 復官하고 자손을 敍用하라고 下敎했을 때 정분의 직계 후손을 변별하는 과정에서 작성된 문서들이다.
특성 및 가치
정분·정원·정명세와 관련된 각종 정보를 한눈에 파악할 수 있고, 이들의 교유 관계를 짐작해 볼 수 있는 자료이다.

집필자

김채식
범례
  • 인명
  • 관직명
  • 나라명
  • 건물명
  • 관청명
  • 지명
  • 연도
  • 문헌명
  • 기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