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url:./treeAjax?siteMode=prod}

흑룡강구도(黑龍江口圖)

자료명 흑룡강구도(黑龍江口圖) 저자 작자미상(作者未詳)
자료명(이칭) 黑龍江口圖: 저자(이칭) [作者未詳]
청구기호 K2-4631 MF번호 MF35-2913
유형분류 고서/기타 주제분류 史部/地理類/地圖
수집분류 왕실/고서/한국본 자료제공처 장서각(SJ_JSG)
서지 장서각 전자도서관 해제 장서각
원문텍스트 이미지 장서각통합뷰어* 원문이미지 PDF

· 원문이미지

닫기

· PDF서비스

닫기

· 기본정보 해제 xml

닫기

일반사항

· 사부분류 사부
· 작성시기 사년미상(寫年未詳)
· 청구기호 K2-4631
· 마이크로필름 MF35-2913
· 소장정보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작성주체 - 인물

역할 인명 설명 생몰년 신분
작자미상(作者未詳)

형태사항

· 크기(cm) 91.8 X 86.5
· 판본 필사본(筆寫本)
· 장정 접포장(摺鋪裝)
· 수량 1포(鋪)
· 판식 절(折) 39.7×27.1㎝
· 인장 李王家圖書之章

· 상세정보

닫기

내용

정의
1718년(康熙 57)에 제작한 28폭의 『皇輿全覽圖』를 저본으로 채색·필사한 흑룡강 일대의 지도이다.
서지사항
 표지 장황은 청색 종이에 연능화문이 있다. 종이로 된 제첨 위에 ‘黑龍江口圖’를 필사하였다. 가로 2절, 세로 3절로 된 접포식 장정이다. 사주단변 朱絲欄에 동서남북의 위도와 경도를 붉은색 선으로 표시하고 있다. 지도 상단에 ‘黑龍江口圖’라는 지도명이 필사되었다. 지도에 산천과 강계 등이 다르게 채색되어 식별이 용이하다. 지도 일부에 蟲害의 흔적이 있다. 지도명 위에 ‘李王家圖書之章’이 날인되었다.
체제 및 내용
 본 지도는 원도에 채색을 더한 점을 제외하면 지도의 내용이나 부호의 사용, 다른 표현 방법 등이 원도와 모두 일치한다.
 1폭 1책으로 구성되어 있다. 지도의 지리적 범위는 북위 48도에서 55도까지이며 경도는 북경을 기준으로 동 19도에서 32도까지이다. 지도의 오른쪽 상단 여백에 ‘黑龍江口圖’ 지도명과 ‘李王家圖書之章’이 겹쳐 찍혀 있다. 붉은색으로 굵은 도곽선을 그렸으며, 경위선은 아주 옅은 붉은색으로 그렸다. 도곽선 바깥쪽 네 면의 중앙에 한자로 東, 西, 南, 北을 적어 방위를 표시하였다. 또한 도곽선 외곽에 한자로 경위도를 기입해놓았다. 경도는 북경을 본초자오선으로 삼아 좌우로 ‘東一度, 西一度’로 표기하였다.
 지도의 부호는 기호식과 회화식이 모두 사용되고 있다. 장서각 소장의 『皇輿全覽圖』 계열의 各省地圖에서 사각형 부호는 府·州·縣을 표시하는데, 흑룡강구도는 하천 주변의 취락만 원으로 표시하고 있어 아직 좀 더 큰 행정단위가 설치되지 않았음을 보여준다.
 산과 하천은 회화식으로 표현하고 옆에 지명을 함께 표기하였다. 산은 초록색과 푸른색으로 산의 고도를 표현하였다. 이어지는 산세도 독립적인 산의 모양을 그려넣어 표현하고 있다. 하천은 검은색 실선으로 강의 흐름을 표시하고, 옅은 푸른색으로 물 색깔을 표현하였다. 침엽수의 모습을 빽빽하게 그려 이 지역의 풍부한 삼림 자원을 나타내고 있다.
 지도는 黑龍江의 상류 부분과 烏蘇里江이 합류되는 지점을 상세히 그리고 있다. 烏蘇里江興開湖에서 발원하며 많은 지류를 모아 북쪽으로 흐르다가 하바로프스크 부근에서 흑룡강과 합류한다. 흑룡강이 남서에서 북동 방향으로 흐르는 모습과 氣寧河, 法亭河흑룡강의 지류 모습도 잘 그려져 있다. 흑룡강구 동쪽에 사할린섬이 휘어지기는 했지만 온전하게 그려져 있다. 사할린섬청대에 ‘庫頁島’라고 불렸는데, 지도에 섬의 이름은 표기되지 않았다. 『흑룡강구도』에 사할린섬이 포함된 것은 1689년(강희 28) 러시아가 네르친스크조약을 체결하면서 사할린섬을 포함한 黑龍江烏蘇里江 유역을 의 영토에 속하는 것으로 합의한 때부터이다. 하지만 이후 1858년1860년에 각각 아이훈조약과 북경조약으로 청조러시아사할린섬을 할양하게 된다. 1905년 포츠머스조약을 통해 일본은 북위 50도 이남의 사할린 영토를 넘겨받고, 이후 몇 차례의 과정을 거쳐 사할린 전역을 통치하게 된다. 이후 1945년 소련사할린 전역을 점령하고, 일본은 북위 50도 이남의 통치권을 포기하게 되었다.
특성 및 가치
 본 지도는 청조가 쇠약해지기 전 중국 동북 지역의 강역을 표현한 지도로, 19세기 말 러시아에 영토를 할양한 후의 지도와 서로 비교함으로써 중국 동북의 영토 변화를 연구하고 이 일대의 역사지리와 지명 변화를 이해하는 데 매우 중요한 자료이다.

참고문헌

皇輿全覽圖』(북경대학교 소장본)
李孝聰, 『歐洲收藏部分中文古地圖敍錄』, 國際文化出版公司, 1996.
藏書閣圖書韓國本解題-地理類 3』,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2006.
崔恒昇, 『中國古今地理通名滙釋』, 黃山書事. 2003.

집필자

이명희
범례
  • 인명
  • 관직명
  • 나라명
  • 건물명
  • 관청명
  • 지명
  • 연도
  • 문헌명
  • 기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