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url:./treeAjax?siteMode=prod}

호광전도(湖廣全圖)

자료명 호광전도(湖廣全圖) 저자 작자미상(作者未詳)
자료명(이칭) 湖廣全圖: 저자(이칭) [作者未詳]
청구기호 K2-4626 MF번호 MF35-2913
유형분류 고서/기타 주제분류 史部/地理類/地圖
수집분류 왕실/고서/한국본 자료제공처 장서각(SJ_JSG)
서지 장서각 전자도서관 해제 장서각
원문텍스트 이미지 장서각통합뷰어* 원문이미지 PDF

· 원문이미지

닫기

· PDF서비스

닫기

· 기본정보 해제 xml

닫기

일반사항

· 사부분류 사부
· 작성시기 사년미상(寫年未詳)
· 청구기호 K2-4626
· 마이크로필름 MF35-2913
· 소장정보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작성주체 - 인물

역할 인명 설명 생몰년 신분
작자미상(作者未詳)

형태사항

· 크기(cm) 103.0 X 84.7
· 판본 필사본(筆寫本)
· 장정 접포(摺鋪)
· 수량 1포(鋪)
· 판식 절(折) 39.8×27.0㎝
· 인장 李王家圖書之章

· 상세정보

닫기

내용

정의
1718년(강희 57)에 제작한 28의 『皇輿全覽圖』를 저본으로 19세기 후반에 채색·필사한 호광성의 지도이다.
서지사항
 표지 장황은 청색 종이에 연능화문이 있다. 종이로 된 제첨 위에 ‘湖廣全圖’를 필사하였다. 가로 2절, 세로 3절로 된 접포식 장정이다. 표지 우측 상단에 편목을 ‘鄖陽府’, ‘永州府’ 등의 지명으로 나누어 기록하였다. 사주단변 朱絲欄에 동서남북의 위도와 경도를 붉은색 선으로 표시하고 있다. 지도 우측 상단에 ‘湖廣全圖’라는 지도명이 필사되었다. 지도에 산천과 강계 및 府·縣 등이 다르게 채색되어 식별이 용이하다. 지도 일부에 蟲害의 흔적이 있으므로 저지를 배접하여 보수하였다. 지도 우측 상단에 ‘李王家圖書之章’이 날인되었다.
체제 및 내용
 본 『湖廣全圖』는 1폭 1책으로 구성된 접이식 채색 지도로, 푸른색 표지에 해당 省의 이름과 이에 속하는 府의 이름을 적었다. 鄖陽府, 襄陽府, 德安府, 安陸府, #(彑/粉/大)陵府, 荊州府, 武昌府, 黃州府, 岳州府, 尙德府, 長沙府, 辰州府, 寶慶府, 衡州府, 永州府 등 15개 府의 이름이 있다. 그중 #(彑/粉/大)陵府는 글자가 복잡하여 본래 ‘#(彑/粉/大)’의 ‘廾’를 ‘大’로 잘못 적은 것으로 보인다. 彛陵府는 곧 夷陵府로 추정되며 현재 湖北省 宜昌 지역이다. 옹정 말년에 夷陵州에서 宜昌府로 승격시킨 것인데, 이 지도에 ‘#(彑/粉/大)陵府’로 적혀 있다.
 지도가 포함하는 범위는 북위 25도에서 33도 사이이며, 경도는 북경을 기준으로 서 1도에서 8도까지이다. 장서각 소장의 1718년 제작된 『皇輿全覽圖』 계통의 다른 각성지도들과 마찬가지로, 1718년 원도에 채색을 더해 모사한 것이다. 원도에 채색을 더한 점을 제외하면 지도의 내용이나 부호의 사용, 다른 표현 방법 등이 원도와 모두 일치한다.
 지도의 오른쪽 상단에 ‘湖廣全圖’라는 지도명과 ‘李王家圖書之章’의 직인이 겹쳐 찍혀 있다.
 붉은색으로 굵게 도곽선을 그렸으며, 경위선은 붉은색으로 아주 가늘게 표시하고 있다. 도곽선 바깥쪽 네 면의 중앙에 한자로 東, 西, 南, 北을 적어 방위를 표시했다. 또한 도곽선 외곽에 한자로 경위도를 기입해놓았다. 경도는 북경을 본초자오선으로 삼아 좌우로 ‘東一度, 西一度’로 표기하였다. 주위 다른 성과의 경계는 검은 점선으로 표시하였다. 지도의 부호는 기호식과 회화식이 모두 사용되고 있다. 일반 행정단위는 각각 붉은색 사각형, 마름모꼴, 원으로 나누어 표시하고 있다. 산과 하천, 호소 등은 회화식으로 표현하였으며, 옆에 해당 지명을 함께 표기하였다. 산은 초록색을 산 아래, 푸른색을 산 정상 부분으로 나누어 표현하였고, 산맥의 경우에도 산을 이어지지 않게 독립적으로 표현하였다. 하천은 검은색 실선으로 강의 흐름을 표시하고 옅은 푸른색으로 물 색깔을 표현하였다.
 사각형으로 부·주·현을 표시하는데, 행정등급의 고하와 부호 크기는 관련이 없다. 마름모꼴을 사용하여 衛를 표시하였다. 衛와 所는 명대에 군사 요충지에 설치한 것으로 이 건국되면서 혁파되기 시작하였는데, 지도의 원도가 완성되는 강희 연간에는 해안과 내륙의 군사 요충지에 일부가 여전히 남아 있었다. 衛와 所가 완전히 혁파된 것은 雍正 이후의 일이다. 원은 작은 행정단위나 주요 지형지물을 표시하였다. 주로 所, 村, 鎭 등의 지명을 표시하고 있다.
 장강이 지도의 중심부를 서에서 동으로 가로지르고 있다. 湖南湖北洞庭湖를 기준으로 나뉜다. 洞庭湖의 남쪽은 湖南, 洞庭湖의 북쪽은 湖北이다. 두 지명은 원나라 때 각각 현재의 湖南 지역에 嶺北湖南道, 호북 지역에 江南湖北道를 설치한 데서 유래한다. 이후 명나라 때 湖南湖北을 합쳐 湖廣省이라는 하나의 행정단위가 되었다가,  강희 이후 다시 호남호북으로 분리되어 오늘에 이르고 있다.
 지도에서 호광성은 서쪽으로 四川省貴州省, 남쪽으로 廣西省廣東省, 동쪽으로 江西省, 북쪽으로 河南省陝西省과 접한다. 長江호광성의 가운데를 서에서 동으로 흐르는 것으로 묘사되어 있으며, 洞庭湖를 중심으로 많은 습지가 묘사되어 있다. 長江三峽을 지나 호광성에 들어오면서 곡류 현상이 심해지고 지류가 많아진다. 최대 지류인 漢水가 북서쪽에서 남동쪽으로 흘러 무한에서 장강과 합류하는 형태가 자세히 표현되어 있다. 주변에 수많은 호소가 산재하고, 장강한수 사이에 무수한 수로가 종횡으로 묘사되어 있다. 호수마다 이름이 기재되어 있는데, 이 호수들이 장강과 서로 연결되어 홍수 방지에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洞庭湖는 과거 중국 제일의 호수였으나 토사가 유입되면서 鄱陽湖에 그 자리를 내어주었다. 원래 ‘雲夢大澤’이라고 부르는 큰 호수가 이 일대를 덮고 있었는데, 여러 하천의 퇴적 작용에 의해 광대한 호광평야와 크고 작은 무수한 沼澤群이 형성되었다. 동정호도 그 과정에서 생겨났다. 湘江, 資水, 沅江 등의 물을 집수하여 岳陽 북동쪽의 城陵磯를 지나 장강으로 배수된다. 풍부한 수량으로 선박의 왕래가 빈번하여 연안에 常德, 益陽, 長沙, 岳陽 등의 도시가 번성하였다.
특성 및 가치
 호광성호북호남으로 분리되기 이전의 상황을 묘사한 지도로, 청 초기 해당 지역의 인문·자연지리를 연구하는 데 유용한 자료이다. 또한 당시 동정호를 중심으로 한 湖南, 湖北 지방의 역사지리뿐 아니라 하천망의 변화 등 중국의 지도 발달 과정을 파악하는 데 매우 귀중한 자료이다.

참고문헌

皇輿全覽圖』(북경대학교 소장본)
李孝聰, 『歐洲收藏部分中文古地圖敍錄』, 國際文化出版公司, 1996.
藏書閣圖書韓國本解題-地理類 3』,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2006.
崔恒昇, 『中國古今地理通名滙釋』, 黃山書事, 2003.

집필자

이명희
범례
  • 인명
  • 관직명
  • 나라명
  • 건물명
  • 관청명
  • 지명
  • 연도
  • 문헌명
  • 기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