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url:./treeAjax?siteMode=prod}

포항지형도(浦項地形圖)

자료명 포항지형도(浦項地形圖) 저자 육지측량부(陸地測量部) 편(編)
자료명(이칭) 浦項地形圖: 저자(이칭) 陸地測量部 編
청구기호 K2-4593 MF번호 MF35-4084
유형분류 고서/기타 주제분류 史部/地理類/地圖
수집분류 왕실/고서/한국본 자료제공처 장서각(SJ_JSG)
서지 장서각 전자도서관 해제 장서각
원문텍스트 이미지 장서각통합뷰어* 원문이미지 PDF

· 원문이미지

닫기

· PDF서비스

닫기

· 기본정보 해제 xml

닫기

일반사항

· 사부분류 사부
· 작성시기 1917
· 청구기호 K2-4593
· 마이크로필름 MF35-4084
· 소장정보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작성주체 - 기관단체

역할 단체/기관명 담당자 구분
육지측량부(陸地測量部) 편(編)

형태사항

· 크기(cm) 48.1 X 38.9
· 판본 신연활자판(新鉛活字版)
· 장정 접포장(摺鋪裝)
· 수량 1포(鋪)
· 판식 절(折) 14.3×15.2㎝
· 인장 李王家圖書之章, 洋裝圖書分類

· 상세정보

닫기

내용

정의
1917년 육지측량부에 의해 발행된 포항 지역의 1:10,000 지형도이다.
서지사항
 표지 장황은 백색 종이에 斜格卍字 문양이 있으며, 흰 종이 제첨 위에 四周雙邊의 광곽을 그리고 ‘慶尙北道 延日郡 浦項’을 필사하였다. 표지 우측 상단에 ‘浦項 延日郡’을 필사하였다. 가로 3절, 세로 2절로 된 접포식 장정이다. 사주쌍변의 광곽에 컬러 인쇄된 지도이며, 광곽의 상단 중앙에 ‘浦項’이, 광곽의 왼쪽에 ‘大正六年測圖同年製版’, ‘大正六年十二月二十五日印刷同十二月二十八日發行’, ‘著作權所有者 朝鮮總督府’, ‘印刷兼發行者 陸地測量部’가 순서대로 인쇄되어 있다. 그 왼쪽 하단에 ‘定價金拾八錢’이 인쇄되어 있다. 광곽의 하단부 좌우에 부호가 기록되어 있고, 중앙에 ‘縮尺一萬分一’이 인쇄되어 있다. 광곽의 오른쪽 하단부에 ‘高程ハ米突ヲ以テ示ス’가 인쇄되어 있다. 지도에 ‘李王家圖書之章’과 ‘洋裝圖書分類’의 인장이 날인되어 있다.
체제 및 내용
 일제는 측량기준점이 되는 삼각망을 구축하는 동시에 1914~1918년한반도의 1:50,000 지형도를 제작하였다. 그 후 군사상 중요 지구와 주요 도시 등을 합해 총 63도엽을 1:10,000 지형도로 제작하였고, 본 지도는 그중 한 도엽이다.
 본 지도는 도곽선 내부의 지도부와 도곽선 밖의 난외주기부로 나뉜다. 외도곽선은 크기가 48.8×39.2cm이고 그 안쪽에 인접하여 가는 실선이 함께 그려진 이중 실선이다. 이와 7mm 정도의 간격을 두고 내도곽선이 그려져 있다. 내·외도곽선 사이에 철도·도로의 경유지나 도달지, 경위도, 등고선의 고도가 주기되어 있다. 지도 중앙 상단에 도엽명 ‘浦項’이 적혀 있다. 하단 중앙에 ‘縮尺一萬分一’이라는 문자식 축척이 있고, 그 아래에 미터법과 里町法을 병용한 축척 막대가 있다. 좌측에 세로로 제작 연도 및 판권 관련 사항인 ‘大正六年測圖同年製版’, ‘大正六年十二月二十五日印刷同十二月二十八日發行’, ‘著作權所有者 朝鮮總督府’, ‘印刷兼發行者 陸地測量部’ 등과 지도 가격 ‘定價金拾八錢’이 기입되어 있다. 하단의 축척 막대 좌·우측에 범례가 있다. 우측 하단에 고도와 거리는 미터법으로 표시한다는 ‘高程ハ米突ヲ以テ示ス’가 적혀 있다.
 지도부를 살펴보면, 지형도는 지표의 높낮이를 등고선으로 표시하고 산지·하천·해안선 등과 식생이나 토지 이용 상황·취락·교통로(도로 및 철도)·주요 건물·행정구역 경계선 등을 표현하고 있다. 행정구역상 연일군 浦項面·兄山面·大松面이 대상이며, 浦項洞이 중심이다. 이 지역은 일제가 본격적으로 도시 계획을 추진하기 전인 1910년 정도부터 일본인 거류지가 형성되었다. 조선경편철도주식회사1917년 經便鐵道線(지금의 동해선)을 착공하였다. 지도가 만들어질 당시 철도가 놓이는 중이었으며, 지도가 만들어진 후 1918년 11월 1일 포항역이 개장하였다. 철도 개설과 더불어 포항이 배후 지역인 경북 내륙에서 상품 작물을 집산하여 수송하기 위한 항구로 급성장하게 된다. 이 지역은 근대적인 도시 계획이 실시된 곳으로, 도로가 직선 및 격자 형태를 이루고 있다. 시가지가 붉은색으로 그려져 있고 마을이 해안선을 따라 발달되어 있다. 포항동에는 일제식 지명(南濱町, 山下町, 大正町)과 근대 시설물(郵便局, 農工銀行支店) 등이 기재되어 있다. 등고선은 25m마다 計曲線이 그려져 있고 主曲線은 5m 간격이다. 포항동 배후에 竹林山(74.6m), 神后山(72.2m) 등 대체로 100m 내외의 구릉성 산지가 분포해 있다. 서쪽의 산지에서 발원하여 동해로 흐르는 하천에 소규모로 농지가 발달되어 있고, 이들과 해안이 만나는 지점에 마을이 들어서 있다. 남쪽의 兄山江과 지류 주변에 습지가 잘 발달되어 있고, 충적지는 농경지로 이용되고 있다. 남쪽의 형산강포항동 사이에 迎日水利組合權槪地가 있다.
특성 및 가치
 일제의 근대 도시 계획에 의해 형성된 시가지 및 도로망 형태 등을 통해 포항 지역의 지형 및 경관 변화, 도시 발달 과정을 세밀하게 살펴볼 수 있다. 특히 포항일본과의 지리적 근접성, 천연적 항만 조건, 어종의 풍부성 등의 요인 때문에 일제강점기에 어항 도시의 선두주자로 나섰음을 알 수 있다.

참고문헌

국토교통부 국토지리정보원, 『한국 지도학 발달사』, 진한엠앤비, 2015.
김종혁, 「상주박물관 소장 근대 지도의 자료 특성과 내용적 가치」, 『한국고지도연구』 7(1), 한국고지도연구학회, 2015.KCI
박선영, 「藏書閣 所藏 韓國 近代 地形圖 考察」, 성신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6.
이용석, 「일제강점기에 제작된 근대 지형도의 성격과 활용」, 『생활문물연구』 7, 국립민속박물관, 2002.
최성원, 「일제강점기 포항의 도시화 과정」, 『경주사학』 38, 경주사학회, 2013.KCI

집필자

김지영
범례
  • 인명
  • 관직명
  • 나라명
  • 건물명
  • 관청명
  • 지명
  • 연도
  • 문헌명
  • 기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