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url:./treeAjax?siteMode=prod}

조선지형도(朝鮮地形圖)

자료명 조선지형도(朝鮮地形圖) 저자 육지측량부(陸地測量部) 편(編)
자료명(이칭) 朝鮮地形圖 저자(이칭) 陸地測量部 編
청구기호 K2-4579 MF번호 MF35-4086~4087
유형분류 고서/기타 주제분류 史部/地理類/地圖
수집분류 왕실/고서/한국본 자료제공처 장서각(SJ_JSG)
서지 장서각 전자도서관 해제 장서각
원문텍스트 이미지 장서각통합뷰어* 원문이미지 PDF

· 원문이미지

닫기

· PDF서비스

닫기

· 기본정보 해제 xml

닫기

일반사항

· 사부분류 사부
· 작성시기 [1912]
· 청구기호 K2-4579
· 마이크로필름 MF35-4086~4087
· 기록시기 [1912~1918年]
· 소장정보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작성주체 - 기관단체

역할 단체/기관명 담당자 구분
육지측량부(陸地測量部) 편(編)

형태사항

· 크기(cm) 36.8 X 42.3
· 판본 신연활자판(新鉛活字版)
· 장정 접포장(摺鋪裝)
· 수량 83포(鋪)
· 판식 절(折) 15.0×14.2㎝
· 인장 李王家圖書之章

· 상세정보

닫기

내용

정의
조선총독부 육지측량부에서 축척 1:50,000로 1912년부터 1918년 사이에 인쇄·발행하여 제작한, 한반도 전 지역에 해당되는 총 81개의 지형도이다.
서지사항
 총 81책인 조선 지도이다. 81-1책 함경북도雲柱城을 시작으로 81-81책 황해도 豊川까지이다. 표지 장황은 황색 종이에 斜格卍字 문양이 있는 것으로, 성인 손바닥만 한 크기이다. 표지는 간혹 흰색 종이를 사용한 것도 있다. 표지서명은 사주쌍변의 검은색 테두리가 있는 흰색 제첨을 사용하였다. 현대식으로 인쇄한 지도 한 장을 세로 3절, 가로 2절의 접포식으로 접은 후에 앞뒤로 조금 두꺼운 표지를 붙여놓았다. 저작권 소유자 및 인쇄·발행은 ‘陸地測量部’로 되어 있다. 지도는 50,000분의 1 축척본으로, 명치 45년 2월 10일에 인쇄하고, 2월 15일에 발행하였다. 지도의 상단에 ‘略圖(本圖ハ略測圖目算測圖等ノ輯成ニ係ルモノニシテ目下施行中ノ五万分一圖完成セハ廢止スヘキモノトス)’가 적혀 있고, 지도의 아래에는 ‘圖式ハ明治二十八年式地形圖圖式ニ準ス’가 적혀 있다. 81-2책과 81-3책만 대정 6년에 측도하고 1918년에 제판한 것이며, 나머지는 모두 略圖로서 대부분 검은색으로 등고선을 그려놓았다. 실측도에 사용된 색상은 검은색, 주황색, 파란색이다. 지질은 양지로서, 앞면은 매끄럽고 뒷면은 배접지같이 표면이 껄끄럽다. 인장은 지도마다 ‘李王家圖書之章’을 날인하였고, 실측도에는 ‘洋裝圖書分類’도 날인되어 있다.
체제 및 내용
 19세기 말부터 20세기 초 사이에 조선의 기본도로 사용된 지도는 일제강점기에 제작된 1:50,000 지형도라고 할 수 있다. 1:50,000 지형도는 세 시기에 순차적으로 제작되는데, 시기별로 내용이 조금씩 차이가 난다. 조선지형도를 시기별로 구분하면 제1차 지형도인 ‘略圖’, 제2차 지형도인 ‘地形圖’, 제3차 지형도인 ‘基本圖’ 세 가지로 나눌 수 있다.
 제1차 지형도는 한일강제병합 이전에 제작되었으며 ‘略圖’라 불린다. 또한 군사용으로 제작되었다고 해서 ‘軍用秘圖’라고도 불린다. 지도 제작 범위는 한반도 전역으로 도엽의 수는 총 445장이다. 제2차 지형도는 ‘地形圖’로 불리는데, 측량하여 얻은 데이터를 이용하여 略圖를 바탕으로 수정·보완하여 제작한 지형도이다. 지도 제작 범위는 한반도 남한 지역으로 도엽 수는 총 342장이다. 제3차 지형도는 ‘基本圖’로 불리는데, 정식 명칭은 ‘五萬分一地形圖’으로 삼각점 망이 완성되면서 그 결과에 기초하여 제작한 지형도이다. 이 지형도는 여러 번 수정하여 인쇄·발행하였다. 지도 제작 범위는 한반도 전역으로 도엽의 수는 총 722장이다.
 본 『조선지형도』(K2-4579)는 총 81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시기별로 구분하면 제1차 지형도가 79장, 제3차 지형도가 2장(성진, 용대동)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1차 지형도인 略圖에 해당하는 도엽이 상당수를 차지한다.
 각 지역별 도엽의 수는 길주 1, 성진 2, 갑산 13, 북청 6, 순흥 1, 대구 3, 철원 13, 광주 1, 충주 3, 공주 4, 전주 2, 흥양 2, 광주 1, 한성 10, 홍주 5, 나주 7, 해주 7장으로 총 81장이다. 이 중에 성진용대동 2장이 제3차 지형도에 해당하는 도엽이다. 그리고 영인본으로 간행된 『舊韓末韓半島地形圖 1:50,000』에 없는 略圖가 장서각본 『조선지형도』(K2-4579)에 4장이 있다. 영인본에 없는 도엽은 ‘闕嶺’, ‘北靑’, ‘興利洞’, ‘平浦’ 4장이다. 본 『조선지형도』(K2-4579)의 지역을 순서대로 정리하면 아래와 같다.
 
순서 지도명 표지서명 지도순번
81-1 雲柱城 咸鏡北道 吉州 雲州城 吉州13호
81-2 城津 咸鏡北道 城津郡 咸鏡南道 端川郡 城津 城津13호
81-3 龍臺洞 咸鏡南道 端川郡 咸鏡北道 城津郡 龍臺洞 城津14호
81-4 合水 咸鏡南道 甲山郡 合水 甲山1호
81-5 石浦 咸鏡南道 甲山郡 石浦 甲山2호
81-6 吾乙足 咸鏡南道 甲山郡 吾乙足 甲山3호
81-7 南雲嶺 咸鏡南道 甲山 南雲嶺 甲山5호
81-8 都倉 咸鏡南道 甲山郡 都倉 甲山7호
81-9 長坡 咸鏡南道 甲山郡 長坡 甲山8호
81-10 大門場 咸鏡南道 甲山郡 大門場 甲山9호
81-11 甲山 咸鏡南道 甲山郡 甲山 甲山10호
81-12 林魚水洞 咸鏡南道 甲山郡 林魚水洞 甲山11호
81-13 曹哥洞 咸鏡南道 甲山郡 曹哥洞 甲山12호
81-14 三水 咸鏡南道 三水 甲山13호
81-15 坪里 咸鏡南道 甲山郡 坪里 甲山15호
81-16 黃水院 咸鏡南道 甲山郡 黃水院 甲山16호
81-17 端川 咸鏡南道 端川 端川 北靑2호
81-18 關嶺 咸鏡南道 北靑郡 關嶺 北靑10호
81-19 北靑 咸鏡南道 北靑 北靑 北靑11호
81-20 張村浦 咸鏡南道 北靑郡 張村浦 北靑13호
81-21 興利洞 咸鏡南道 北靑 興利洞 北靑14호
81-22 平浦 咸鏡南道 北靑 平浦 北靑16호
81-23 新堂里 忠淸北道 順興 新堂里 順興15호
81-24 密陽 慶尙北道 密陽 密陽 大邱8호
81-25 新及 慶尙北道 大邱 新及 大邱12호
81-26 三嘉 慶尙北道 大邱 三嘉 大邱16호
81-27 松巨里 江原道 鐵原 松巨里 鐵原2호
81-28 文登 江原道 鐵原 文登 鐵原3호
81-29 淸平寺 江原道 鐵原 淸平寺 鐵原4호
81-30 昌道驛 江原道 鐵原 昌道驛 鐵原5호
81-31 金城 江原道 鐵原 金城 鐵原6호
81-32 四方巨里 江原道 鐵原 四方巨里 鐵原7호
81-33 狼川 江原道 鐵原 狼川 鐵原8호
81-34 土城 江原道 鐵原 土城 鐵原9호
81-35 平康 江原道 平康 平康 鐵原10호
81-36 金化 江原道 鐵原 金化 鐵原11호
81-37 芝浦 江原道 鐵原 芝浦 鐵原12호
81-38 玉洞 江原道 鐵原 玉洞 鐵原14호
81-39 永平 江原道 鐵原 永平 鐵原16호
81-40 楊州 京畿道 楊州郡 楊州 廣州14호
81-41 河潭 忠淸北道 忠州 河潭 忠州2호
81-42 忠州 忠淸北道 忠州 忠州3호
81-43 陰竹 忠淸北道 陰竹 忠州6호
81-44 松面場 慶尙北道 公州郡 松面場 公州1호
81-45 化寧場 慶尙南道 化寧場 公州2호
81-46 連山 忠淸北道 公州 連山 公州15호
81-47 礪山 忠淸南道 公州郡 礪山 公州16호
81-48 益山 全羅北道 益山郡 益山 全州13호
81-49 全州 全羅北道 全州 全州 全州14호
81-50 興陽 全羅南道 興陽 興陽 興陽9호
81-51 竹市場 全羅南道 興陽 竹市場 興陽13호
81-52 蓮葉山 京畿道 廣州 蓮葉山 廣州2호
81-53 果川 京畿道 果川郡 果川 漢城4호
81-54 通津邑內 京畿道 通津邑內 漢城6호
81-55 富平 京畿道 富平郡 富平 漢城7호
81-56 豊德 京畿道 黃海道 豊德 漢城9호
81-57 江華 京畿道 江華郡 江華 漢城10호
81-58 鼎足山城 京畿道 鼎足山城 漢城11호
81-59 龍流島 京畿道 漢城 龍流島 漢城12호
81-60 延安 黃海道 延安郡 延安 漢城13호
81-61 喬桐島 京畿道 黃海道 喬桐島 漢城14호
81-62 朱汶島 京畿道 黃海道 朱汶島 漢城15호
81-63 大興 忠淸南道 洪州郡 大興 洪州1호
81-64 定山 忠淸南道 洪州郡 定山 洪州2호
81-65 洪州 洪州略圖(忠淸南道) 洪州5호
81-66 保寧 忠淸南道 洪州郡 保寧 洪州6호
81-67 藍浦 忠淸南道 洪州郡 藍浦 洪州7호
81-68 保川場 全羅南道 羅州郡 保川場 羅州9호
81-69 望雲 全羅南道 望雲 羅州10호
81-70 務安 全羅南道 羅州郡 務安 羅州11호
81-71 木浦港 全羅南道 木浦港 羅州12호
81-72 落月島 全羅南道 落月島 羅州13호
81-73 智島 全羅南道 羅州郡 智島 羅州14호
81-74 智島南邊 全羅南道 智島南邊 羅州15호
81-75 鳳山 黃海道 鳳山 海州1호
81-76 石橋場 黃海道 海州郡 石橋場 海州3호
81-77 平江 黃海道 海州郡 平江 海州4호
81-78 黃州 平安南道 黃海道 海州郡 黃州 海州5호
81-79 載寧 黃海道 載寧郡 載寧 海州6호
81-80 文化 黃海道 海州郡 文化 海州10호
81-81 豊川 黃海道 豊川 海州14호
 
 각 81장 도엽의 지형도 형태는 거의 동일하다. 표지는 접포식으로 접힌 상태로 보관되어 있고, 표지의 좌측에 행정구역인 소속 道와 市郡 지명을 붙여놓았다. 우측에 주요 지도 내에 있는 지명을 적어놓았다.
 제1차 지형도는 공개용 지형도인 略圖와 보존용 지형도인 軍事機密圖의 두 가지 형태로 구분된다. 두 지도를 비교해보면 略圖에는 측도·제판일이 기재되어 있지 않고, 인쇄·발행일만 기재되어 있다. 略圖의 오른쪽 상단 측면에 ‘略圖’라고 기재되고 그 밑에 지형도의 정보가 표기되어 있다. 軍事機密圖는 측도·제판일이 기재되어 있고, 인쇄·발행일은 기재되어 있지 않다. 오른쪽 상단 측면에 ‘軍事機密’ 또는 ‘秘’라고 표기되어 있다. 또 다른 점으로 범례 표시의 유무가 있다. 略圖의 하단 좌측에는 범례가 있으나, 軍事機密圖에는 범례가 기재되어 있지 않다. 제1차 지형도의 채색은 흑색 단색으로 되어 있다.
특성 및 가치
 본 81장의 지형도는 한반도 전 지역을 현대적으로 실측하여 제작된 지도로, 본 지형도의 지리 정보들은 구한말의 인문·자연지리적으로 변화된 한반도 전 지역을 연구하는 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참고문헌

경인문화사, 『近世韓國五万分一地形圖』 上·下, 1998.
권동희, 『지형도읽기』, 한울아카데미, 1998.
남영우, 『舊韓末韓半島 1:5萬地形圖』, 성지문화사, 1996.
박선영, 「장서각 소장 한국 근대 지형도 고찰」, 성신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6.
이용석, 「일제강점기에 제작된 근대 지형도의 성격과 활용」, 『생활문물연구』 7, 2012.
淸水靖夫, 「日本統治機關作製にかかる朝鮮半島地形圖の槪要」, 『一萬分一朝鮮地形圖集成 解題』, 柏書房株式會社, 1986.

집필자

박선영
범례
  • 인명
  • 관직명
  • 나라명
  • 건물명
  • 관청명
  • 지명
  • 연도
  • 문헌명
  • 기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