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url:./treeAjax?siteMode=prod}

이만오천분일지형도일람(二萬五千分一地形圖一覽)

자료명 이만오천분일지형도일람(二萬五千分一地形圖一覽) 저자 임시토지조사국(臨時土地調査局) 편(編)
자료명(이칭) 二萬五千分一地形圖一覽 저자(이칭) 臨時土地調査局 編
청구기호 K2-4573 MF번호 MF35-4085
유형분류 고서/기타 주제분류 史部/地理類/地圖
수집분류 왕실/고서/한국본 자료제공처 장서각(SJ_JSG)
서지 장서각 전자도서관 해제 장서각
원문텍스트 이미지 장서각통합뷰어* 원문이미지 PDF

· 원문이미지

닫기

· PDF서비스

닫기

· 기본정보 해제 xml

닫기

일반사항

· 사부분류 사부
· 작성시기 1919
· 청구기호 K2-4573
· 마이크로필름 MF35-4085
· 소장정보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작성주체 - 기관단체

역할 단체/기관명 담당자 구분
임시토지조사국(臨時土地調査局) 편(編)

형태사항

· 크기(cm) 36.8 X 21.8
· 판본 신연활자판(新鉛活字版)
· 장정 접포장(摺鋪裝)
· 수량 1포(鋪)
· 판식 절(折) 15.2×14.4㎝
· 인장 李王家圖書之章, 洋裝圖書分類

· 상세정보

닫기

내용

정의
1919년 임시토지조사국에 의해 발행된 1:25,000 지형도의 제작 현황을 담은 一覽圖이다.
서지사항
 본문 지도에 ‘二万五千分一地形圖一覽’으로 되어 있고, 표지서명은 ‘朝鮮總督府土地調査局 二萬五千分一地形圖一覽’이다. 표지 장황은 황색 종이에 斜格卍字 문양이 있는 것으로, 성인 손바닥만 한 크기이다. 표지서명은 사주쌍변의 검은색 테두리가 있는 흰색 제첨을 사용하였다. 지도를 가로 2절, 세로 1절로 접포식으로 접어놓았다. 본문 지도는 우리나라 全圖이고, 북쪽의 會寧을 시작으로 鏡城, 義州, 咸興, 元山, 平壤, 鎭南浦, 京城仁川, 大田, 大邱, 群山, 釜山馬山, 木浦 지역에 격자 표시를 하고 그 안에 원점이나 숫자를 적어 조사와 관련한 곳을 표시해놓았다. 상단에 ‘朝鮮總督府土地調査局’이 적혀 있고, 좌측 하단에 ‘臨時土地調査局’이 인쇄되어 있다. 지질은 두터운 양지로서, 앞면은 매끄럽고 뒷면은 배접지같이 표면이 껄끄럽다. 책수는 동일한 인쇄본이 A~I책까지 9장인데, 상단 ‘今回~’ 부분에 회차가 적혀 있어 순서를 확인할 수 있다. 회차는 1회는 B·G책, 2회는 A·D·E·I책, 4회는 F책, 7회는 H책, 15회는 C책이다. 인장은 ‘李王家圖書之章’, ‘洋裝圖書分類’를 날인하였다.
체제 및 내용
 일제는 측량기준점이 되는 삼각망을 구축하는 동시에 1914~1918년한반도의 1:50,000 지형도를 제작하였다. 이와 더불어 대상 지역을 더 세밀하게 나타내어 활용도를 높이고자 1:25,000 지형도를 제작하였다. 일제는 1:25,000 지형도로 한반도 전역을 제작하기에는 경비와 기술적인 측면에서 부담이 크다고 판단하고, 군사 및 정치·경제적으로 중요한 지역을 선정하여 선별적으로 제작하였다. 본 지도는 1:25,000 지형도 제작 지역을 한눈에 알아볼 수 있도록 제작한 것이다.
 본 지도는 도곽선 내부의 지도부와 도곽선 밖의 난외주기부로 나뉜다. 외도곽선은 크기가 38.5×23.5cm이고 그 안쪽에 인접하여 가는 실선이 함께 그려진 이중 실선이다. 이와 7mm 정도의 간격을 두고 내도곽선이 그려져 있다. 내·외도곽선 사이에 아무 기록이 없다. 지도 중앙 상단에 도엽명 ‘二萬五千分一地形圖一覽’이 적혀 있다. 하단 중앙에 ‘三百萬分一之尺’이라는 문자식 축척이 있고, 축척 막대가 있다.
 지도부를 살펴보면, 한반도에 1:25,000 지형도가 제작된 지역에 지역명이 적혀 있고 제작된 도엽이 방안으로 구분되어 표시되어 있다. 대상 지역과 도엽은 會寧 地方 9도엽, 鏡城 地方 10도엽, 義州 地方 9도엽, 咸興 地方 9도엽, 元山 地方 18도엽, 平壤 地方 9도엽, 鎭南浦 地方 4도엽, 京城仁川 地方 18도엽, 大田 地方 12도엽, 群山 地方 11도엽, 大邱 地方 9도엽, 釜山馬山 地方 21도엽, 木浦 地方 6도엽 등 총 13개 지방, 145도엽이다. 지도 좌측 상단에 도엽 방안의 발행과 송부 상황을 알리는 ‘旣發行ノ分’, ‘旣送附ノ分’, ‘今回送附ノ分’이 기재되어 있고, 그 옆에 아라비아 숫자는 별지 기재의 순호에 일치한다는 ‘但シアラビャ數字ハ別紙記載ノ順号ニ一致ス’가 적혀 있다. 備考에는 한 지방에 속하는 도엽의 배열 순서와 이에 따라 도엽에 이름과 호수를 붙인다는 내용, 즉 오른쪽 상단(1열 1행은 1호)에서 시작하여 아래로 번호를 붙이고 왼쪽 다음 열 상단에서 시작해서 아래에서 끝난다는 내용인 ‘本圖中細線ノ方眼ハ二万五千分一地形圖圖葉ヲ示スモノニシテ一地方ニ屬スル圖葉ニハ右肩ヨリ起リ下ニ進ミテ左腰ニ終ル所ノ番號ニ依リ例ヘハ大邱地方五號又ハ平壤地方二號ノ如ク番號ヲ附シ更ニ各圖葉ニ各號ヲ附スルモノナリ’가 주기되어 있다.
특성 및 가치
 일제가 군사 및 정치·경제적으로 중요하다고 판단한 지역과 제작된 여러 도엽의 순서와 번호 등을 한눈에 파악할 수 있다.

참고문헌

국토교통부 국토지리정보원, 『한국 지도학 발달사』, 진한엠앤비, 2015.
김종혁, 「상주박물관 소장 근대 지도의 자료 특성과 내용적 가치」, 『한국고지도연구』 7(1), 한국고지도연구학회, 2015.KCI
이용석, 「일제강점기에 제작된 근대 지형도의 성격과 활용」, 『생활문물연구』 7, 국립민속박물관, 2002.

집필자

김지영
범례
  • 인명
  • 관직명
  • 나라명
  • 건물명
  • 관청명
  • 지명
  • 연도
  • 문헌명
  • 기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