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url:./treeAjax?siteMode=prod}

여지전도(輿地全圖)

자료명 여지전도(輿地全圖) 저자 작자미상(作者未詳)
자료명(이칭) 輿地全圖 저자(이칭) [作者未詳]
청구기호 K2-4563 MF번호 MF35-4085
유형분류 고서/기타 주제분류 史部/地理類/地圖
수집분류 왕실/고서/한국본 자료제공처 장서각(SJ_JSG)
서지 장서각 전자도서관 해제 장서각
원문텍스트 이미지 장서각통합뷰어* 원문이미지 PDF

· 원문이미지

닫기

· PDF서비스

닫기

· 기본정보 해제 xml

닫기

일반사항

· 사부분류 사부
· 작성시기 편년미상(編年未詳)
· 청구기호 K2-4563
· 마이크로필름 MF35-4085
· 소장정보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작성주체 - 인물

역할 인명 설명 생몰년 신분
작자미상(作者未詳)

형태사항

· 크기(cm) 85.3 X 59.0
· 판본 목판본(木版本)
· 장정 접포장(摺鋪裝)
· 수량 1포(鋪)
· 판식 절(折) 23.4×16.1㎝

· 상세정보

닫기

내용

정의
19세기 조선에서 제작된 목판본 세계지도이다.
서지사항
 본문 지도와 표지서명이 ‘與地全圖’로 되어 있다. 표지 장황은 황색 종이에 斜格卍字 문양이 있는 것으로, 성인 손바닥 두 개 정도의 크기이다. 표지서명은 사주쌍변의 검은색 테두리가 있는 흰색 제첨을 사용하였다. 목판으로 찍은 지도 한 장을 가로 3절, 세로 3절의 접포식으로 접어놓았다. 지질은 표면이 매끄러운 두터운 저지를 사용하였다.
체제 및 내용
 1첩 8절로 된 낱장 형식의 지도이며 가채되어 있지 않다. 상하 3단으로 구성되어 있다. 지도의 상단에 표제인 「輿墬全圖」가 가로로 쓰여 있다. 표제에 쓰인 ‘墬’는 ‘地’ 자의 古字이다. 그 아래 단에 중국 북경으로부터 세계 각 지역의 거리가 기록되어 있으며, 좌우측에 북경을 중심으로 하여 측정된 위도와 경도가 쓰여 있다. 조선의 경우 한양의 경위도와 이를 중심으로 한 대구, 원주, 전주, 함흥, 해주, 평양부의 경위도가 있다. 경위도 수치는 1791년(정조 15)에 편찬된 『國朝曆象考』의 기록과 동일하여 지도가 이 시기 이후에 만들어졌음을 보여준다. 지도가 그려진 제3단의 윗부분에 건륭 연간에 신강과 서역에 있던 각 府의 명칭과 거리가 기록되어 있다.
 지도에 표현된 지리적인 범위는 아시아, 유럽, 아프리카오세아니아 대륙이며, 남·북아메리카는 묘사되어 있지 않다. 대륙을 둘러싼 바다에 ‘大西洋’과 ‘大東洋’, ‘小西洋’, ‘小南洋’ 등의 해양 지명이 기재되어 있다. 유럽에 ‘黑海’가 내륙에 그려져 있으며, 카스피해로 추정되는 내해는 ‘裏海’로 적혀 있다. 각 대륙에 당시의 국가 지명들이 상세히 기록되어 있다. 유럽이탈리아는 ‘意大里亞’로, 이스라엘 일대는 ‘如德亞’로 지명이 쓰여 있는데, 이들 이름은 대부분 1602년중국에서 제작된 마테오 리치의 『곤여만국전도』의 표기와 일치한다.
 동아시아 중국의 경우, 각 성들과 주요 도시들의 지명이 수록되어 있다. 북쪽에 고비사막이 묘사되어 있으며 만리장성이 흑색 실선으로 그려져 있다. 황하는 서쪽의 ‘靑海’ 일대에서 발원하여 동쪽으로 흐르는 모습이 그려져 있으며, 장강의 경우 중류에 동정호가 묘사되어 있다. 조선의 모습은 실제보다 남북으로 길게 묘사되어 있으나 해안선의 모습은 지금과 유사하다. 팔도 지명 대신 영남, 호남, 호서, 관동, 관북, 관서 등 지방 이름이 기재되어 있다. 일본의 경우, 해안선의 모습이 실제와 다를 뿐만 아니라 지명도 매우 소략하다. 일본의 동쪽 바다에 ‘大東洋’이 기재되어 있다.
 崔漢綺(1803~1879)가 1834년에 제작한 『地球前後圖』가 평사도법을 이용하여 구대륙을 半球圖에 표현한 데 반해, 이 지도는 경위선이 직각으로 교차하는 원통도법을 사용하였다. 『大東地志』의 내용과 일치하는 부분이 많아서 지도 제작자가 고산자 김정호일 것으로 추정되기도 한다. 제작 시기와 관련하여 중국徐繼畬(1795~1873)가 1848년에 편찬한 『瀛環志略』의 「皇淸一統輿地全圖」의 내용과 일부 일치하는 점이 있어 이 시기 이후에 제작한 것으로 보인다.
특성 및 가치
 동일한 지도가 성신여대박물관서울역사박물관에도 소장되어 있어 당시 조선 사회에 적지 않게 보급되었음을 보여준다. 본 지도는 조선인들이 인식하였던 세계 지리의 내용과 수준을 가늠할 수 있게 해주는 유용한 자료이다.

참고문헌

김기혁, 「마테오리치의 곤여만국전도 연구 1」, 『지리학논총』 45, 서울대학교 국토문제연구소, 2005.
김기혁, 「『곤여만국전도』(1602)의 해양 지명에 표현된 세계의 표상 연구」, 『문화역사지리』 24(2), 2012.KCI
오상학, 「목판본 『여지전도』의 특징과 지리사상사적 의의」, 『한국지도학회지』 1(1), 2001.

집필자

김기혁
범례
  • 인명
  • 관직명
  • 나라명
  • 건물명
  • 관청명
  • 지명
  • 연도
  • 문헌명
  • 기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