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url:./treeAjax?siteMode=prod}

대둔형세도(大芚形勢圖)

자료명 대둔형세도(大芚形勢圖) 저자 김구(金構)
자료명(이칭) 大芚形勢圖(全羅南道) 저자(이칭) 金構(朝鮮) 作
청구기호 K2-4551 MF번호 MF35-4085
유형분류 고서/기타 주제분류 史部/地理類/地圖
수집분류 왕실/고서/한국본 자료제공처 장서각(SJ_JSG)
서지 장서각 전자도서관 해제 장서각
원문텍스트 이미지 장서각통합뷰어* 원문이미지 PDF

· 원문이미지

닫기

· PDF서비스

닫기

· 기본정보 해제 xml

닫기

일반사항

· 사부분류 사부
· 작성시기 사년미상(寫年未詳)
· 청구기호 K2-4551
· 마이크로필름 MF35-4085
· 소장정보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작성주체 - 인물

역할 인명 설명 생몰년 신분
김구(金構) 작(作)

형태사항

· 크기(cm) 115.8 X 76.7
· 판본 필사본(筆寫本)
· 장정 접포장(摺鋪裝)
· 수량 1포(鋪)
· 판식 절(折) 29.3×19.7㎝
· 인장 李王家圖書之章

· 상세정보

닫기

내용

정의
金構(1649~1704)가 전라도 해남현에 있는 대둔산 일대의 형세를 그린 지도이다.
서지사항
 본문 지도에 ‘大芚山頭輪寺宜築城處圖’로 되어 있고, 표지서명은 ‘大芚形勢圖’이다. 표지 장황은 황색 종이에 斜格卍字 문양이 있는 것이다. 장정은 전지 크기의 회화식 지도 한 장을 가로 3절, 세로 3절로 접어 摺鋪式으로 장황하였다. 채색은 특별한 색깔을 넣지 않고 검은색 단색으로 명도를 조절하였다. 지질은 두터운 저지를 사용하였다. 인장은 ‘李王家圖書之章’을 날인하였다.
체제 및 내용
 대둔산은 지금은 ‘두륜산’으로 부르고 있으며 산록에 대흥사가 있다. 『신증동국여지승람』에 ‘두륜산’이라는 지명이 등장하였으나 이후 여러 사료에서 ‘대둔산’으로 부르기도 하였다. 두륜산(703m)은 주봉인 迦蓮峰을 비롯하여 頭輪峰(630m) 등 8개의 봉우리로 능선을 이루며, 해남 일대의 해안 지역을 조망할 수 있는 요새처이다.
 지도의 위쪽을 남쪽으로 정치시키고 있다. 중앙에 두륜산 일대를 배치하고, 주변에 이곳에서 조망할 수 있는 관방 요새처와 도서 지방을 그렸다. 두륜산의 산지는 먹으로 선염하고, 바다는 옅은 청색으로 채색하였으며 수파묘로 묘사되어 있다. 해안 도서들의 산지는 일방 시점으로 묘사되었으나 두륜산의 산지는 대흥사를 중심으로 여러 시점으로 그려져 있다. 두륜산 산록의 6곳에 ‘大井’을 표시하고 이곳에서 발원한 물길이 대흥사를 지나 북쪽으로 흘러나가는 모습이 묘사되어 있다. 지도의 아래쪽에 묘사된 북쪽에는 해남진과 병영, 우수영과 함께 진도창이 그려져 있다. 남쪽에 고금진, 영암선창, 신지도, 고금진, 가리진성이 묘사되어 있으며, 동쪽에 강진현 서쪽에 진도 일대가 있다.
 대둔산의 우측에 ‘大芚山頭輪寺宜築城處圖’라는 기록이 있고 산지의 일부 계곡에 ‘作門處’라고 쓰여 있어, 이 지도는 대둔산에 축성을 건의하기 위해 제작된 지도임을 보여준다. 지도의 제작 시기는 김구의 생몰년과 지도의 화풍을 보아 17세기 후반에 만들어진 것으로 추정된다.
특성 및 가치
 본 지도는 제작 시기를 비교적 정확하게 추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성곽 축조를 건의하기 위해 제작되었다는 점에서 당시 해남 일대의 역사지리적인 내용을 밝힐 수 있는 유용한 자료이다.

참고문헌

김석태, 「범해각안의 두륜산 한시」, 『한국언어문학』 73, 2010.KCI
목정배 외, 『대흥사(대둔사)』, 대원사, 2005.
신대현, 『두륜산 대흥사』, 대한불교진흥원, 2011.

집필자

김기혁
범례
  • 인명
  • 관직명
  • 나라명
  • 건물명
  • 관청명
  • 지명
  • 연도
  • 문헌명
  • 기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