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url:./treeAjax?siteMode=prod}

경기부충청도(京畿附忠淸道)

자료명 경기부충청도(京畿附忠淸道) 저자 작자미상(作者未詳)
자료명(이칭) 京畿附忠淸道 저자(이칭) [作者未詳]
청구기호 K2-4539 MF번호 MF35-4083
유형분류 고서/기타 주제분류 史部/地理類/地圖
수집분류 왕실/고서/한국본 자료제공처 장서각(SJ_JSG)
서지 장서각 전자도서관 해제 장서각
원문텍스트 이미지 장서각통합뷰어* 원문이미지 PDF

· 원문이미지

닫기

· PDF서비스

닫기

· 기본정보 해제 xml

닫기

일반사항

· 사부분류 사부
· 작성시기 사년미상(寫年未詳)
· 청구기호 K2-4539
· 마이크로필름 MF35-4083
· 소장정보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 가치정보 귀중본

작성주체 - 인물

역할 인명 설명 생몰년 신분
작자미상(作者未詳)

형태사항

· 크기(cm) 103.0 X 63.0
· 판본 필사본(筆寫本)
· 장정 접포장(摺鋪裝)
· 수량 1포(鋪)
· 판식 절(折) 26.0×16.2㎝
· 인장 李王家圖書之章

· 상세정보

닫기

내용

정의
18세기에 鄭尙驥(1678~1752)가 제작한 『동국지도』의 「팔도분도」를 모사하여 만든 경기도충청도의 지도이다.
서지사항
 표지서명은 흰색 제첨에 ‘京畿地圖附忠淸道’가 적혀 있고, 본문의 지도 우측 상단에 붉은색 테두리를 하고 ‘京畿附忠淸道’를 적어놓았다. 표지 장황은 민무늬의 청록색 비단을 붙여놓았다. 검은색, 녹색, 주황색, 노란색, 분홍색 등의 채색을 사용한 옛 지도이다. 전지 크기의 가로와 세로를 3절씩 접어서 摺鋪式으로 장정하였다. 지질은 보통의 저지로 보이며, 현재는 훼손으로 인해 배접을 해놓은 상태이다. 인장은 ‘李王家圖書之章’이 날인되어 있다.
체제 및 내용
 본 지도의 원형인 『동국지도』는 백리척의 축척을 사용하여 지리 정보를 정확하고 상세하게 묘사하였을 뿐만 아니라, 이전 지도에 비해 북방 강역의 윤곽을 정확하게 묘사하였다는 점에서 조선의 지도 발달사에서 중요한 위치를 점하고 있다. 도별도는 면적이 넓은 함경도를 남도·북도로 나누고 상대적으로 면적이 작은 경기도충청도를 합하여, 전국을 8장의 도별도로 그렸다. 이 지도는 경기도충청도를 함께 그린 『동국지도』에 가까운 형태이나 도로, 수로 등이 거의 그려져 있지 않다.
 산지는 녹색으로 채색된 연맥식으로 그려져 있다. 경기도 검단산 등 일부 산지에 봉수대가 붉은색으로 그려져 있으나 봉수망은 표현되어 있지 않다. 하천은 강원도에서 발원한 북한강남한강이 서쪽으로 흘러 용진(지금의 양수리 일대)에서 합류하여 서해로 유입하는 모습과, 전라도에서 발원한 금강충청도로 흘러 들어와 공주부여를 거쳐 서천 일대에서 서해로 유입하는 모습이 잘 그려져 있다. 서해안의 바다는 청색으로 채색되어 있으며, 강화도교동도, 충청도태안반도를 비롯한 섬과 해안선이 실제 모습과 유사하게 그려져 있다.
 군현 읍치의 채색은 도별로 차이를 두고 있다. 경기도의 경우 황색으로 채색되어 있으며, 한양은 굵은 적색의 테두리에 여장을 묘사하였다. 개성의 경우에도 읍치에 여장이 그려져 있다. 충청도의 읍치는 분홍색으로 채색하여 경기도와 구분하였다. 청주목공주목, 병영과 수영에 여장을 표현하였다. 공주에 감영 표시를 하였으며, 이곳을 중심으로 도로가 적색 실선으로 그려져 있다. 충청도 군현 지명에 ‘尼山’(1776년 ‘尼城’으로 개칭)이 기재된 것으로 보아 1776년 이전의 상황을 그린 지도로 추정된다.
특성 및 가치
 본 지도는 18세기 후반 『동국지도』의 모사 과정에서 나타나는 지도의 변형 내용과 함께 당시 경기도충청도의 역사지리를 파악할 수 있는 유용한 자료이다.

참고문헌

동북아역사재단 편, 『국토의 표상』, 2012.
오상학, 「정상기의 『동국지도』에 관한 연구-제작 과정과 사본들의 계보를 중심으로」, 『지리학논총』 24, 1994.
이기봉, 「정상기의 『동국지도』 원본 계통의 필사본」, 『정상기의 『동국지도』 해설』, 규장각 한국학중앙연구원, 2006.

집필자

김기혁
범례
  • 인명
  • 관직명
  • 나라명
  • 건물명
  • 관청명
  • 지명
  • 연도
  • 문헌명
  • 기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