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url:./treeAjax?siteMode=prod}

북도릉전지(北道陵殿誌)

자료명 북도릉전지(北道陵殿誌) 저자 함경감영(咸鏡監營) 간(刊), 위창조(魏昌祖)
자료명(이칭) 北道陵殿誌 저자(이칭) 魏昌祖(朝鮮) 編
청구기호 K2-4429 MF번호 MF16-313
유형분류 고서/기타 주제분류 史部/地理類/古蹟/陵·園·墓
수집분류 왕실/고서/한국본 자료제공처 장서각(SJ_JSG)
서지 장서각 전자도서관 해제 장서각 전자도서관
원문텍스트 이미지 장서각통합뷰어* 원문이미지 PDF

· 원문이미지

닫기

· PDF서비스

닫기

· 기본정보 해제 xml

닫기

일반사항

· 사부분류 사부
· 작성시기 1758(영조 34년)
· 청구기호 K2-4429
· 마이크로필름 MF16-313
· 소장정보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작성주체 - 인물

역할 인명 설명 생몰년 신분
위창조(魏昌祖) 편(編)

작성주체 - 기관단체

역할 단체/기관명 담당자 구분
함경감영(咸鏡監營) 간(刊)

형태사항

· 크기(cm) 34.5 X 22.4
· 판본 목판본(木版本)
· 장정 선장(線裝)
· 수량 8권(卷) 3책(冊)
· 판식 반곽(半郭) 23.7×16.5㎝

· 상세정보

닫기

내용

정의
1758년(영조 34) 수정 증보하여 필사한 『북도능전지』를 원본으로 戶曹參議 魏昌祖가 왕명에 따라 印刊한 것이다.
서지사항
 총 3책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표제와 권수제, 판심제, 서근제는 모두 ‘北道陵殿誌’이다. 황색 표지의 線裝本으로, 斜格卍字 문양이 있다. 표지의 좌측 상단에 표제가, 우측 상단에는 목차가, 총 책수 표시 부분에는 ‘共三’이라는 글이 기재되어 있다. 본문의 판식은 두 가지인데, 御製序文은 四周雙邊, 有界, 上下內向三葉花紋魚尾이고 行字數는 5行 10字이며, 그외 凡例 등은 같은 형식의 8행 19자 木板本이다. 본문 중 한글로 판각된 부분이 나타난다. 서문의 작성자인 魏昌祖(1703~1759)의 생몰년과 제3책 권말의 ‘戊寅仲冬咸營開刊’이라는 刊記를 통해 1758년(영조 34)에 간행되었음을 알 수 있다.
체제 및 내용
 목판본의 맨 마지막 면에 ‘戊寅中冬咸營開刊’이라 하여 1758년 음력 11월에 함경감영에서 간행하였다는 刊記가 있다. 이는 위창조가 편찬한 것을 바탕으로 영조의 명에 의해 홍문관에서 교정하여 함경감영에 내려 보내 간인하게 한 것이다.
 필사본 『北道陵殿誌』(K2-4432)가 8권 2책으로 구성된 반면, 목판본은 8권 3책으로 구성되었다. 필사본 『북도능전지』와 비교할 때, 본 목판본은 책수만 다를 뿐 모든 내용이 일치한다.
 책별 수록 내용 중 대개 권4까지는 능에 관한 기록이며, 그 이후는 전과궁에 대한 기록이다. 제1책은 권1~3까지로 권1에 肅廟御製, 英祖御製, 德陵·附舊德陵·安陵·神道碑, 권2에 智陵·淑陵 신도비, 권3에 義陵·純陵 신도비에 대한 기록이다. 제2책은 권4~5까지로 권4에 定陵·和陵 神道碑(附舊碑文), 四至記碑가 수록되었고, 권5에 濬源殿에 대한 내용이 수록되었다. 제3책은 권6~8까지로 권6에 慶興殿, 권7에 함흥본궁, 권8에 영흥본궁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어 1734년 英祖御筆 別諭碑와 1741년 北民에 頒示한 御製別諭가 실려 있고, 권미에는 위창조1747년 『北路陵 殿志』의 권수에 실었던 舊識가 붙어 있다.
 현재 장서각에 소장된 8권 3책의 『北道陵殿誌』 중 3종(K2-4429, K2-4430, K2-4431)은 같은 목판본으로 권수와 책수도 동일하지만, 冊衣와 印章에서 다음과 같은 차이를 보인다. 먼저 K2-4429는 황색 바탕에 만자문 책의이며, 표지 위에 내부 편차를 알 수 있도록 제1책에는 御製序부터 범례, 목차와 권1~3에 해당하는 덕릉, 안릉, 지릉, 숙릉, 의릉, 순릉까지 차례로 2단으로 묵서하였고, 제2책에는 권4~5에 해당하는 정릉, 화릉, 준원전을, 제3책에는 권6~8에 해당하는 경흥전, 함흥본궁, 영흥본궁을 차례로 묵서하였다. 각 책 권수에 인장은 없고, 책의 하단에 ‘府上’이라 쓰여 있다. K2-4430의 책의는 황색 바탕에 草紋이고, 표지에 편차 묵서는 없으며, 책의 편차는 K2-4429와 일치한다. 각 책의 권수에는 ‘李王家圖書之章’과 ‘赤裳山史庫所藏 朝鮮總督府寄贈本’이라는 인장이 각각 찍혀 있어 적상산사고에 소장되었던 것임을 알 수 있다.
 함경도 감영에서 제작된 목판본 『북도능전지』는 조선 후기 조선 왕조 창업자의 사적 및 태조 先系에 대한 조선 후기 관심의 일단을 엿볼 수 있으며, 이후 읍지 편찬에도 참고자료로 활용되었을 것으로 보인다. 1747년 편찬된 『북로능전지』와 1758년 편찬된 필사본 및 목판본 『북도능전지』의 편차 구성은 오른쪽 표와 같다.
 
北道(路)陵殿志』의 체제 및 편차
권차 北路陵殿志(1책) 권차 北道陵殿誌 2책
필사본
책수
3책
목판본
책수
北路陵殿志序(魏昌祖 識) 御製 北道陵殿誌序(魏昌祖 奉敎書) 1책
1책
北路陵殿志 凡例 8條 北道陵殿誌 凡例 17條
北路陵殿志 目錄 北道陵殿誌 目錄
1권 肅廟御製詩(幷序), 德陵(咸興), 安陵
附 舊德陵(慶興), 舊安陵, 智陵(安邊), 淑陵(文川), 義陵(咸興), 純陵, 定陵(咸興), 和陵, 神道碑, 四至記碑(附舊碑文)
1권 肅廟御製詩(卽八陵三殿詩 幷小序), 北道陵殿誌 首錄(英祖御製作銘幷序), 德陵(咸興), 安陵 附 舊德陵(慶興 斡東) 舊安陵
2권 智陵(安邊), 淑陵(文川)
3권 義陵(咸興), 純陵
4권 定陵(咸興), 和陵, 神道碑(附舊碑文), 四至記碑 2책
2권 濬源殿(永興)
遺蹟: 誕生基, 王生島, 樗亭, 德峙, 雲嶺, 道昌寺, 安養寺, 釋王寺
 
慶興殿(咸興)
遺蹟: 讀書堂, 土宇基, 馳馬臺
 
咸興本宮
遺蹟: 祭星壇, 擊毬亭
 
永興本宮
遺蹟: 附舊基, 龍堂(慶源), 亦島(慶興) 當宇御筆別諭碑
5권 濬源殿(永興)
遺蹟: 誕生基(附舊里碑), 樗亭, 龍興江(並本府)
2책
6권 慶興殿(咸興)
遺蹟: 讀書堂(附記蹟碑), 土宇基, 馳馬臺(附八駿馬), 德山洞, 咸關嶺, 兎兒洞(並本府)
附: 舊基, 龍堂(慶源), 斡東(在慶興府北今爲異域), 亦田(德源), 亦島(慶興), 松頭里(咸興), 黑石里(永興)
3책
7권 本宮(咸興)
遺蹟: 手植松, 咸興坪, 祭星壇, 擊毬亭(並本府, 附九逵擅藝)
8권 本宮(永興)
遺蹟: 王生島(本府), 湧珠里, 安養寺(並德源), 鶴浦橋, 釋王寺(幷安邊, 附事蹟碑), 留王峯(亦在德源)
當宇御筆別諭碑
辛酉冬 頒示北民御製別諭
丁卯(魏昌祖)舊識
특성 및 가치
 본서와 같이 木版 印刊된 『北道陵殿誌』는 장서각 소장의 『北路陵殿誌』(K2-4430~4433)가 더 있다. 이 밖에 충남대학교 도서관에 1부, 프랑스 동양언어문화학교에 1부가 전하며, 규장각에 총 6부(奎1278, 1294, 1305, 2794, 3554, 3642)가 전한다.
 북도 능전과 관련된 기록으로는 장서각 소장 『北八陵殿誌及懸板』 謄寫本 1책을 들 수 있다. 1935년에서 1939년 사이 李王職에서 『북도능전지』 중 지릉, 정릉, 화릉, 순릉, 숙릉준원전, 경흥궁의 능전지와 관련된 현판을 謄書한 것으로 『북도능전지』 8권 중 권2, 권3의 일부, 권4, 권5, 권8만 옮겨 적었다.

참고문헌

정은주, 「『北道陵殿誌』와 《北道(各)陵殿圖形》 연구」, 『한국문화』 67, 규장각한국학연구원, 2014.KCI

집필자

정은주
범례
  • 인명
  • 관직명
  • 나라명
  • 건물명
  • 관청명
  • 지명
  • 연도
  • 문헌명
  • 기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