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url:./treeAjax?siteMode=prod}

청안현읍지(淸安縣邑誌)

자료명 청안현읍지(淸安縣邑誌) 저자 청안현(淸安縣) 편(編)
자료명(이칭) 淸安縣邑誌(忠淸北道) 저자(이칭) 淸安郡(朝鮮) 編
청구기호 K2-4317 MF번호 MF35-249
유형분류 고서/기타 주제분류 史部/地理類/方志
수집분류 왕실/고서/한국본 자료제공처 장서각(SJ_JSG)
서지 장서각 전자도서관 해제 장서각 전자도서관
원문텍스트 이미지 장서각통합뷰어* 원문이미지 PDF

· 원문이미지

닫기

· PDF서비스

닫기

· 기본정보 해제 xml

닫기

일반사항

· 사부분류 사부
· 작성시기 사년미상(寫年未詳)
· 청구기호 K2-4317
· 마이크로필름 MF35-249
· 소장정보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 가치정보 귀중본

작성주체 - 기관단체

역할 단체/기관명 담당자 구분
청안현(淸安縣) 편(編)

형태사항

· 크기(cm) 28.8 X 26.9
· 판본 필사본(筆寫本)
· 장정 선장(線裝)
· 수량 1책(冊)
· 판식 반곽(半郭) 25.3×23.3㎝
· 인장 李王家圖書之章

· 상세정보

닫기

내용

정의
19세기 말 충청북도 淸安縣(현재의 충청북도 괴산군 청안면)의 제반 사항을 정리해놓은 읍지이다.
서지사항
 표제는 ‘淸安縣邑誌’이다. 표지 장황은 황색 종이에 斜格卍字 문양이 있고, 얇은 주황색 실을 사용하여 4침안으로 선장하였다. 본문의 판식은 10행의 괘선을 직접 그어 행당 19~21자에 맞추어 해서로 적어놓았다. 본문 맨 앞에는 채색한 지도 1장이 붙어 있다. 지질은 일반적인 楮紙를 사용하였다. 책수는 8장 1책이다. 본문 첫 장에 ‘李王家圖書之章’을 날인하였다.
체제 및 내용
 본서는 19세기 말 충청북도 청안현의 읍지이다. 읍지의 작성 연대는 확실하지 않지만, 문서의 체제와 내용을 비교해볼 때 1870년대 이후에 작성된 것으로 추정된다. 권두에 청안현의 지도가 실려 있으며, 이어서 목록이 정리되어 있다. 본문의 목록은 四界, 建置沿革, 郡名, 官員, 鎭管, 坊曲, 姓氏, 風俗, 山川, 土産, 學校, 祠廟, 館庫, 祠宇, 院齋, 驛院, 堤堰, 佛宇, 古跡, 題詠, 人物, 文科, 武科, 蔭官, 生進, 忠臣, 孝子, 烈女, 倉穀, 結摠, 戶摠, 軍摠 등으로 구성되었다. 간단히 주요 내용을 살펴보면, 청안현서울에서 280리, 감영에서는 140리 거리가 떨어진 곳에 위치하였고, 동쪽으로는 淸州, 서쪽으로는 鎭川, 북쪽으로는 槐山陰城이 있었다. 청주진관에 소속되었으며, 현감이 통치하는 지역이었다. 청안현邑內面·東面·南面·西面·北面·近西面 등 6개 면으로 행정체제가 구성되었으며, 戶數는 2,705호, 軍摠은 1,715명, 田結은 1,430결 26부 2속이었다. 주요 성씨는 韓氏, 辛氏, 延氏, 李氏, 金氏, 朴氏, 車氏, 洪氏 등이 있었다. 驛院으로는 時化驛이 운용되었으며, 堤堰은 鄕校前堤·同令堤·可谷堤·長順堤 등 4곳이 있었다. 토산으로는 白玉·人蔘·松茸·蜂蜜·紫草·地黃·茯苓·柴胡·桔梗 등이 유명했다. 학교는 鄕校가 운영되었고, 祠廟는 社稷壇과 城隍壇, 厲壇 등이 있었다. 서원은 龜巖書院, 竹溪書院이 있었으며, 佛宇는 水庵淸溪寺가 있었다. 문과·무과·음관 항목에는 청안현에서 과거에 합격하거나 음관으로 관직에 나아간 인물들을 정리해놓았다. 항목마다 성명을 쓰고 그 아래에 관직명을 적었다. 무과 합격자 중에서 전쟁에 나가 사망한 경우에는 사망하게 된 간단한 경위나 해당 전쟁의 이름을 기록하였다. 생원과 진사 항목에는 인물의 성명만이 실려 있다.
특성 및 가치
 본서는 19세기 청안현의 행정, 재정, 인물 등 상세한 정보를 담고 있다. 청안현과 관련한 지역사 연구에 유용한 자료이다.

집필자

임성수
범례
  • 인명
  • 관직명
  • 나라명
  • 건물명
  • 관청명
  • 지명
  • 연도
  • 문헌명
  • 기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