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url:./treeAjax?siteMode=prod}

지평군읍지부선생안(砥平郡邑誌附先生案)

자료명 지평군읍지부선생안(砥平郡邑誌附先生案) 저자 이재하(李載夏)
자료명(이칭) 砥平郡邑誌附先生案(京畿道) 저자(이칭) 李載夏(朝鮮) 編
청구기호 K2-4310 MF번호 MF35-245, MF16-413
유형분류 고서/기타 주제분류 史部/地理類/方志
수집분류 왕실/고서/한국본 자료제공처 장서각(SJ_JSG)
서지 장서각 전자도서관 해제 장서각 전자도서관
원문텍스트 이미지 장서각통합뷰어* 원문이미지 PDF

· 원문이미지

닫기

· PDF서비스

닫기

· 기본정보 해제 xml

닫기

일반사항

· 사부분류 사부
· 작성시기 1899(광무 3년)
· 청구기호 K2-4310
· 마이크로필름 MF35-245, MF16-413
· 소장정보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 가치정보 귀중본

작성주체 - 인물

역할 인명 설명 생몰년 신분
이재하(李載夏) 편(編)

형태사항

· 크기(cm) 29.8 X 18.7
· 판본 필사본(筆寫本)
· 장정 선장(線裝)
· 수량 1책(冊)
· 판식 반곽(半郭) 21.2×14.1㎝
· 인장 砥平郡守之章, 砥平郡印, 藏書閣圖書印

· 상세정보

닫기

내용

정의
1899년(광무 3)에 편찬된 경기도 지평군의 제반 사항을 정리한 읍지이다.
서지사항
 표제는 ‘光武三年(1899)十二月日砥平郡邑誌附先生案’이다. 不分卷 1冊(19張) 구성의 五針線裝本으로 종이는 일반적인 楮紙를 사용하였다. 표지는 황색 종이에 斜格卍字 문양이 있고 서명은 표지 위에 묵서하였으며, 표제 아래에 ‘京畿道’라고 표기하였다. 본문은 四周單邊, 有界, 無魚尾의 朱色 筆寫印札空冊紙에 쓴 10行 16字 小字雙行 筆寫本이다. 채색 지도가 수록되어 있고, 권수면 상단에 정방형의 ‘藏書閣圖書印’, 표지에 정방형의 ‘砥平郡印’, 권말 ‘行郡守李載夏’ 묵서 기록 아래 정방형의 ‘砥平郡守之章’이 날인되어 있다.
체제 및 내용
 본서는 19세기 말 경기도 지평군의 읍지이다. 표제는 ‘砥平郡邑誌 附先生案’이다. 표지에 ‘光武三年(1899) 十二月日’이라 적혀 있어 본서가 1899년(광무 3) 간행되었음을 알 수 있다. 읍지의 끝에 작성자가 군수 李載夏라는 사실을 명시하였다. 이재하1898년(광무 2) 지평군수로 임명되어 1902년(광무 6) 여주군수로 전임될 때까지 근무하였다. 권두에 지평군의 지도가 실려 있다. 본문의 내용 구성은 沿革, 坊里, 結摠, 戶口, 還摠, 驛賭, 地界, 風俗, 古蹟, 土産, 人物, 忠, 孝, 烈, 陵寢殿閣, 寺刹, 城堞烽燧, 山川名勝, 題詠, 先生案 순으로 되어 있다. 주요 내용을 살펴보면, 지평군郡內面, 南面, 上西面, 下西面, 北面, 壯屯面, 上東面, 下東面 등 8개 면으로 구성되었으며, 모두 4,063호가 편성되었다. 결총은 902결 21부 3속이며, 환총은 8개 면 社還의 합이 71석이었다. 산천명승으로는 군의 서쪽으로 20리 거리에 彌智山이 있었는데 지금의 龍門山이고, 북쪽으로 30리 거리에는 不動山, 남쪽으로 7리 거리에는 望美山이 있었다. 松峙仇叱峴은 대표적인 고개였으며, 田谷川지평군을 지나는 大灘이었다. 선생안은 군수의 성명과 부임일, 이전 관직, 체직일, 이후 관직 순으로 기록되어 있다. 주목되는 점은 선생안이 1419년(세종 1)부터 시작되어 1899년까지 500여 년동안 기록되어 있다는 사실이다.
특성 및 가치
 본서에는 19세기 말 지평군의 역사, 행정, 군사, 지리, 인물 등의 제반 사항이 상세히 기록되어 있어 관련 연구에 활용하기 유용한 자료이다. 또한 당시의 정치·사회적 배경과 같은 해 전국적으로 작성·보고된 읍지들의 특징을 함께 살펴본다면 대한제국기 지방통치 양상을 해명할 수 있을 것이다.

집필자

임성수
범례
  • 인명
  • 관직명
  • 나라명
  • 건물명
  • 관청명
  • 지명
  • 연도
  • 문헌명
  • 기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