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url:./treeAjax?siteMode=prod}

적성지(赤城誌)

자료명 적성지(赤城誌) 저자 적성군(赤城郡) 편(編)
자료명(이칭) 赤城誌(全羅北道) 저자(이칭) 李重浩(朝鮮) 編
청구기호 K2-4298 MF번호 MF35-251
유형분류 고서/기타 주제분류 史部/地理類/方志
수집분류 왕실/고서/한국본 자료제공처 장서각(SJ_JSG)
서지 장서각 전자도서관 해제 장서각 전자도서관
원문텍스트 이미지 장서각통합뷰어* 원문이미지 PDF

· 원문이미지

닫기

· PDF서비스

닫기

· 기본정보 해제 xml

닫기

일반사항

· 사부분류 사부
· 작성시기 [1898](광무 2년)
· 청구기호 K2-4298
· 마이크로필름 MF35-251
· 소장정보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 가치정보 귀중본

작성주체 - 기관단체

역할 단체/기관명 담당자 구분
적성군(赤城郡) 편(編)

형태사항

· 크기(cm) 31.3 X 20.8
· 판본 필사본(筆寫本)
· 장정 선장(線裝)
· 수량 5권(卷) 2책(冊)
· 인장 李王家圖書之章

· 상세정보

닫기

내용

정의
1898년(광무 2) 李海敎·朴重培군수와 지역 내 사족들과 공모하여 편찬한 읍지이다.
서지사항
 표제와 권수제, 서근제는 ‘赤城志’이다. 5卷 2冊(69張 ; 74張) 구성의 五針線裝本으로 종이는 일반적인 楮紙를 사용하였다. 표지는 황색 종이에 斜格卍字 문양이 있고 서명은 표지 위에 묵서하였다. 표지에 ‘乾’·‘坤’, 서근에 ‘一’·‘二’라고 책차를 표기하였고, 書腦에 ‘共二’라고 묵서하여 2책 완질임을 알 수 있다. 본문은 板式이 없는 11行 22字 小字雙行 筆寫本이다. 권수면 상단에 정방형의 ‘李王家圖書之章’이 날인되어 있다. 제2책 권말에 ‘明倫堂新刊’이라는 原刊記가 있는데, 서문과 해당 기록을 통해 본서가 1898년에 간행된 목활자본 『赤城志』를 저본으로 필사한 것임을 알 수 있다.
체제 및 내용
 본서는 1896년(건양 1)무주군수 趙秉瑜의 발의에 따라 李海敎·朴重培·金直鉉·河泰洪 등 지역 인사들이 편찬을 시작하고, 후임 군수 閔述鎬의 노력에 힘입어 1898년(광무 2)에 완성된 무주군의 읍지이다. 서두에 1897년 宋秉璿, 1898년 郡守 閔述鎬河在晩이 쓴 서문이 있고, 책 마지막에 1898년 朴祥浩가 쓴 跋文이 있다. 이어서 총 5권 2책으로 구성된 목록이 수록되어 있고, 그 다음 凡例와 읍지 편찬에 종사한 사람들의 성명이 기재되어 있다. 먼저 범례는 5개의 조항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본서의 목차는 『龍城誌』를 참작하여 보완하였고, 이전 간행된 읍지의 내용이 수록된 곳 아래에 ‘舊本’이라고 표시하고 이번에 새롭게 추가된 곳 아래에 ‘新增’이라고 표지하였으며, 人物조에는 비록 무주에서 성장하지 않았더라도 혹 자손이거나 분묘나 정려가 있을 경우 모두 수록하였고, 열녀는 포장의 은택을 입지 못했더라도 수록하였다고 밝혔다. 다음으로 읍지 편찬에 참여한 명단을 보면 찬수는 李海敎朴重培 등 23명의 이름이 수록되어 있다. 이어서 〈茂朱官府圖〉와 〈茂朱幅員總圖〉가 삽입되어 있다.
 책의 구성을 보면 1권에는 沿革, 郡名, 疆界, 坊里, 結摠, 進貢, 糶糴, 田大同, 選武, 俸廩, 場市, 橋梁, 堤堰, 形勝, 風俗, 山川, 土牽, 姓氏, 壇廟, 公廨, 倉庫, 驛院, 寺刹, 衙舍, 樓亭, 2권에는 學校, 院宇, 時術齋, 3권에는 官案, 文科, 蔭仕, 武科, 生進, 4권에는 人物, 寓居, 學行, 忠臣, 孝子, 烈女, 孝婦, 遺逸, 권5에 赤裳鎭, 冊板, 亭臺, 巖池가 수록되어 있다. 내용은 대체로 상세한데 坊里조에는 각 면의 里名과 위치, 과거의 명칭, 氏族世居, 峙, 墩臺, 面別 人口·編戶가 실려 있다. 結摠조에는 時起作夫結, 陞摠衙錄公須位結, 津夫位, 加耕, 宮屯, 內需司, 柳屯, 忠復, 津夫復, 驛夫復 등으로 구분하여 기재하였다. 學校조에는 위치, 연혁, 건물, 神座, 祭享人物, 祭器, 祭服, 學位, 享需元會勘, 殖本錢, 書冊, 田畓의 위치, 校長 이하 任員과 校生의 수를 비롯하여 鄕校移建上樑文, 大成殿上樑文, 鄕飮酒記, 鄕飮酒禮有司記, 執禮讀法, 藏書記, 典守節目 등의 記文이 모두 실려 있다. 院宇조도 學校조와 체제가 같다. 烈女조와 古蹟조에도 많은 記文과 碑文이 수록되어 있다.
특성 및 가치
 본서는 19세기 후반 무주군의 역사, 행정, 경제, 군사, 문화를 담고 있는 자료로 조선 후기 무주부의 제반 분야에 대한 변화 양상을 엿볼 수 있다. 또한 서지학적으로 당대 읍지의 편찬 과정, 읍지의 수정과 보완 방식 등을 짐작하게 해준다. 특히 무주에는 조선 후기 4대 사고라고 불리는 적상산사고가 있었는데, 본 읍지에 赤裳山城을 수축하고 사고를 설치하는 과정과 관련한 陞府節目, 국왕의 발언, 赤裳山城護國寺碑文, 赤裳山城實錄謄校同苦錄記序, 東築山城記, 赤裳山安國寺記, 德裕山香積峯記, 風乎亭記, 捿碧亭記, 德業稧序, 稧案, 修稧記 등이 수록되어 있어 적상산성과 사고의 운영을 이해하는 데 많은 정보를 제공한다.

참고문헌

김백철, 「고종대 邑誌의 연대분류 試論-규장각 자료의 書誌비교를 중심으로」, 『규장각』 49, 2016.KCI
김전배, 「朝鮮朝의 邑誌硏究」, 성균관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72.
박대길, 「적상산사고의 설치운영과 무주의 변화」, 『전라문화총서』 27, 2008.
楊普景, 「朝鮮時代邑誌의 性格과 地理的認識에 관한 硏究」,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87.
정대영, 「1899년 全國邑誌上送令과 읍지편찬 연구」, 『서지학보』 38, 2011.KCI

집필자

문광균
범례
  • 인명
  • 관직명
  • 나라명
  • 건물명
  • 관청명
  • 지명
  • 연도
  • 문헌명
  • 기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