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url:./treeAjax?siteMode=prod}

자인읍지(慈仁邑誌)

자료명 자인읍지(慈仁邑誌) 저자 자인현(慈仁縣) 편(編)
자료명(이칭) 慈仁邑誌(慶尙北道) 저자(이칭) 慈仁縣(朝鮮) 編
청구기호 K2-4293 MF번호 MF35-246
유형분류 고서/기타 주제분류 史部/地理類/方志
수집분류 왕실/고서/한국본 자료제공처 장서각(SJ_JSG)
서지 장서각 전자도서관 해제 장서각 전자도서관
원문텍스트 이미지 장서각통합뷰어* 원문이미지 PDF

· 원문이미지

닫기

· PDF서비스

닫기

· 기본정보 해제 xml

닫기

일반사항

· 사부분류 사부
· 작성시기 1891(고종 28년)
· 청구기호 K2-4293
· 마이크로필름 MF35-246
· 기록시기 1891年(高宗 28) 以後
· 소장정보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 가치정보 귀중본

작성주체 - 기관단체

역할 단체/기관명 담당자 구분
자인현(慈仁縣) 편(編)

형태사항

· 크기(cm) 32.0 X 21.7
· 판본 필사본(筆寫本)
· 장정 선장(線裝)
· 수량 1책(冊)
· 판식 반곽(半郭) 22.7×16.3㎝
· 인장 李王家圖書之章

· 상세정보

닫기

내용

정의
1891년(고종 28) 이후 경상도 자인현에서 중앙에 보고한 읍지이다.
서지사항
 표제는 ‘慈仁縣邑誌’, 권수제는 ‘慈仁邑誌’이다. 不分卷 1冊(16張) 구성의 五針線裝本으로 종이는 일반적인 楮紙를 사용하였다. 표지는 황색 종이에 斜格卍字 문양이 있고 서명은 표지 위에 묵서하였으며, 표제 아래에는 ‘慶尙北道’라고 표기하였다. 본문은 四周單邊, 有界, 無魚尾의 筆寫印札空冊紙에 쓴 10行 20字 小字雙行 筆寫本이다. 권수면 상단에 정방형의 ‘李王家圖書之章’이 날인되어 있다. 내용 중 ‘官蹟’에 趙元植까지 기록되어 있으므로 본서는 그가 자인현감으로 부임한 1891년 이후에 필사된 것으로 볼 수 있다.
체제 및 내용
 본서는 경상도 자인현에서 작성한 읍지이다. 표제에 ‘慶尙北道’라고 기재되어 1896년(건양 1) 이후에 보고되었을 것으로 보이지만, 先生案인 ‘官蹟’에 1891년(고종 3)자인현감으로 부임한 趙元植까지 기재된 것으로 보아 이 시기에 편찬되었을 가능성이 높다. 내용으로는 建置沿革, 郡名, 官職, 姓氏, 山川, 風俗, 坊里, 戶口, 田賦, 田稅, 大同, 均役廳, 均稅, 徭役, 軍額, 城池, 林藪, 倉庫, 軍器, 關阨, 鎭堡山城, 烽燧, 學校, 壇廟, 佛宇, 公廨, 樓亭, 道路, 橋梁, 島嶼, 堤堰, 驛院, 場市, 牧場, 形勝, 古蹟, 土山, 進貢, 俸廩, 官蹟, 人物, 題詠, 碑板 등 43개 항목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중 성지, 임수, 관애, 진보산성, 봉수, 교량, 도서, 목장 등 8개 항목은 편제만 되어 있을 뿐 내용은 없다. 관적에는 1637년부터 1891년까지 자인현에 부임한 현감의 명단이 기재되어 있다. 특히 제언조에는 자인현에 소재한 수십 개의 堤와 洑의 구체적인 크기까지 자세히 수록하였다. 한편 자인현1899년(광무 3) 전국 읍지 편찬사업의 일환으로 정부가 지시한 읍지상송령에 따라 『慈仁邑誌』(奎10821)를 작성하였다. 규장각 한국학중앙연구원에 보관 중인 이 읍지에는 1899년에 부임한 李民星이 기록되어 있다. 『慈仁邑誌』는 『慈仁縣邑誌』와 항목의 구성과 내용이 같지만, 항목의 배치에 다소 차이가 있다.
특성 및 가치
 18~19세기 경상도 자인현의 지역사를 연구하는 데 좋은 자료이다. 특히 건치연혁에는 자인현의 복설과 치폐 과정에 관한 사실이 수록되어 있어 조선 후기 군현의 복설 과정 연구에 도움을 줄 수 있다.

참고문헌

김백철, 「고종대 邑誌의 연대분류 試論-규장각 자료의 書誌비교를 중심으로」, 『규장각』 49, 2016.KCI
김전배, 「朝鮮朝의 邑誌硏究」, 성균관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72.
楊普景, 「朝鮮時代邑誌의 性格과 地理的認識에 관한 硏究」,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87.
정대영, 「1899년 全國邑誌上送令과 읍지편찬 연구」, 『서지학보』 38, 2011.KCI

집필자

문광균
범례
  • 인명
  • 관직명
  • 나라명
  • 건물명
  • 관청명
  • 지명
  • 연도
  • 문헌명
  • 기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