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url:./treeAjax?siteMode=prod}

임천읍지(林川邑誌)

자료명 임천읍지(林川邑誌) 저자 임천군(林川郡) 편(編)
자료명(이칭) 林川邑誌(忠淸南道) 저자(이칭) 林川郡(朝鮮) 編
청구기호 K2-4292 MF번호 MF35-243
유형분류 고서/기타 주제분류 史部/地理類/方志
수집분류 왕실/고서/한국본 자료제공처 장서각(SJ_JSG)
서지 장서각 전자도서관 해제 장서각 전자도서관
원문텍스트 이미지 장서각통합뷰어* 원문이미지 PDF

· 원문이미지

닫기

· PDF서비스

닫기

· 기본정보 해제 xml

닫기

일반사항

· 사부분류 사부
· 작성시기 [1899](고종 3년)
· 청구기호 K2-4292
· 마이크로필름 MF35-243
· 소장정보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 가치정보 귀중본

작성주체 - 기관단체

역할 단체/기관명 담당자 구분
임천군(林川郡) 편(編)

형태사항

· 크기(cm) 27.6 X 18.8
· 판본 필사본(筆寫本)
· 장정 선장(線裝)
· 수량 1책(冊)
· 인장 李王家圖書之章

· 상세정보

닫기

내용

정의
1899년(고종 3) 충청남도 임천군에서 작성하여 중앙에 보고한 읍지이다.
서지사항
 표제는 ‘林川郡邑誌’, 권수제는 ‘林川邑誌’이다. 不分卷 1冊(12張) 구성의 四針線裝本으로 종이는 일반적인 楮紙를 사용하였다. 표지는 황색 종이에 斜格卍字 문양이 있고 서명은 표지 위에 묵서하였으며, 표제 아래에 ‘忠淸南道’라고 표기하였다. 본문은 板式이 없는 11行 20字 小字雙行 筆寫本이나, 권수면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은 10行 20字로 되어 있다. 채색 지도가 수록되어 있고, 권수면 상단에 정방형의 ‘李王家圖書之章’이 날인되어 있다. 내용 중 ‘冊板’에 1714년 간행된 『家禮源流』가 수록되어 있다.
체제 및 내용
 『林川郡邑誌』는 충청남도 임천군이 작성한 읍지이다. 표제에 ‘忠淸南道’라고 기재되어 있는 점으로 보아 1899년(광무 3) 정부의 읍지상송령에 따라 작성되었을 가능성이 매우 높다. 『林川郡邑誌』의 서두에는 〈林川郡地圖〉가 삽입되어 있는데, 관아를 비롯하여 행정구역, 사찰, 포구, 교량 등이 구체적으로 그려져 있다. 읍지의 내용은 坊里合設, 道路, 建置沿革, 君名, 形勝, 城池, 官職, 山川, 姓氏, 風俗, 陵寢, 壇廟, 公廨, 堤堰, 倉庫, 物産, 橋梁, 驛院, 牧場, 關阨, 烽燧, 樓亭, 寺刹, 古蹟, 鎭堡, 人物, 旱田, 水田, 進貢, 糶糴, 田稅, 大同, 均稅, 俸廩, 軍兵, 冊板, 祠院, 塚墓 등 38개 항목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중 능침, 목장, 관애, 봉수, 누정, 진보 등 7개 항목에는 ‘無’라고 되어 있다. 임천에 존재하지 않는 지리 정보가 항목으로 설정된 것을 통해 볼 때 정부가 일원적으로 읍지의 편목을 조사하고자 했음을 알 수 있다. 『林川郡邑誌』는 다수 항목으로 편제되었지만, 그 내용은 소략하다. 또한 이 읍지는 갑오개혁 이후 조세제도가 변화했음에도 대동, 균세, 조적, 군병 등의 항목이 18세기 중엽에 편찬된 『輿地圖書』의 체제와 내용을 담고 있다. 다만, 능침 항목에서 『輿地圖書』에서는 ‘宣祖大王胎室’과 ‘明惠公主明安公主胎室’이 각각 갈화면과 대왕태실의 동쪽 2리에 위치한다고 기록되어 있으나, 『林川郡邑誌』에서는 이 태실이 모두 없다고 되어 있다.
특성 및 가치
 임천군은 다른 지역과 달리 읍지 간행이 활발하게 이루어지지 못한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본서는 조선 후기 임천군의 사회사, 경제사 등 지역사를 복원하는 데 중요한 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참고문헌

김백철, 「고종대 邑誌의 연대분류 試論-규장각 자료의 書誌비교를 중심으로」, 『규장각』 49, 2016.KCI
김전배, 「朝鮮朝의 邑誌硏究」, 성균관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71.
楊普景, 「朝鮮時代邑誌의 性格과 地理的認識에 관한 硏究」,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87.
이선희, 「18 세기 수령과 관찰사의 행정마찰과 처리방식-『嘉林報草』를 중심으로-」, 『고문서연구』 27, 2005.KCI
정대영, 「1899년 全國邑誌上送令과 읍지편찬 연구」, 『서지학보』 38, 2011.KCI

집필자

문광균
범례
  • 인명
  • 관직명
  • 나라명
  • 건물명
  • 관청명
  • 지명
  • 연도
  • 문헌명
  • 기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