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url:./treeAjax?siteMode=prod}

영월군읍지(寧越郡邑誌)

자료명 영월군읍지(寧越郡邑誌) 저자 영월군(寧越郡) 편(編)
자료명(이칭) 영월군읍지(강원도)(寧越郡邑誌(江原道)) , 寧越郡邑誌(江原道) 저자(이칭) 寧越郡(朝鮮) 編 , 김치인(金致仁)
청구기호 K2-4272 MF번호 MF35-247
유형분류 고서/기타 주제분류 史部/地理類/方志
수집분류 왕실/고서/한국본 자료제공처 장서각(SJ_JSG)
서지 장서각 디지털아카이브 전자도서관 해제 장서각 전자도서관
원문텍스트 디지털아카이브 이미지 장서각통합뷰어* 원문이미지 디지털아카이브 PDF

· 원문이미지

닫기

· PDF서비스

닫기

· 기본정보 해제 xml

닫기

일반사항

· 사부분류 사부
· 작성시기 [1898](광무 2년)
· 청구기호 K2-4272
· 마이크로필름 MF35-247
· 소장정보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 가치정보 귀중본

작성주체 - 기관단체

역할 단체/기관명 담당자 구분
영월군(寧越郡) 편(編)

형태사항

· 크기(cm) 28.8 X 20.3
· 판본 필사본(筆寫本)
· 장정 선장(線裝)
· 수량 1책(冊)
· 판식 반곽(半郭) 20.4×15.4㎝
· 인장 寧越郡印, 藏書閣圖書印

· 상세정보

닫기

내용

정의
1898년(광무 2)경에 편찬된 강원도 영월군의 지역 정보를 정리한 지리지이다.
서지사항
총 1책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표제는 ‘寧越邑誌’, 권수제는 ‘寧越郡邑誌’이다. 황색 표지의 線裝本으로, 斜格卍字 문양이 있다. 표지 좌측 상단에 표제와 그 아래에 小字로 ‘江原道’라는 글이 기재되어 있다. 본문에 앞서 필사 용지의 내용을 비워두고 앞 공격지로 사용하였으며, 좌측 상단에 권수제를 기재하였다. 이어 지도 1장이 수록되어 있다. 본문의 필사에는 四周單邊, 朱絲欄, 10行, 無魚尾의 그려서 만든 空冊紙를 사용하였다. 빠진 내용을 본문이나 광곽 상단의 공란에 붉은색 글씨로 기재하여 보충하였다. 본문 가운데 잘못 기재한 부분을 잘라낸 뒤 종이를 뒤에서 덧붙여 수정한 흔적이 있다. 본문 첫 장 우측 상단에 ‘藏書閣圖書印’이, 앞 공격지 중앙에 ‘寧越郡印’이 날인되어 있다. ‘寧越郡先生案’ 항목의 마지막 ‘金弼鉉’ 아래에 小字雙行으로 ‘戊戌正月初四日到任’이라는 기록이 있다.
체제 및 내용
전체 목록은 없고, 책머리에 채색 지도가 있다. 내용 구성은 [疆界], 建置沿革, 郡名, 坊里, 山川, 姓氏, 人物, 結摠, 戶口, 糶糴, 宮殿, 陵墓, 公廨, 院宇, 樓臺題詠, 寺刹, 烽燧, 鎭堡, 古蹟, 官員等品, 俸給, 寧越郡先生案 등으로 되어 있다. 이미 樓臺題詠이 있는데, 뒤에 子規樓 내용을 추가하였다.
영월군은 현재의 강원도 영월군 일대에 해당한다. 건치연혁에 따르면 영월군은 고구려 때 柰生縣이었고, 신라 때 柰城으로 고쳤다. 고려 때 영월로 고치고 원주에 소속시켰고, 1372년(공민왕 21)에 군으로 승격되어 조선시대에도 이를 따랐다. 1399년(정종 1) 충청도에서 강원도로 옮겨 原州鎭에 속하게 하였고, 1698년(숙종 24) 莊陵 추봉과 함께 府로 승격되었다. 방리 항목에서 영월군 관할 7개 면과 각 면에 소속된 리의 관아로부터 거리가 기재되어 있다. 능묘 항목에서는 莊陵을 중심으로 한 사적들이 상세히 기록되어 있다. 결총 항목에 전은 541결 80부 6속, 답은 47결 54부 7속이라 적혀 있다. 호구는 2,668호, 남 4,893구, 여 3,900구라고 적혀 있고, 그 아래에 남 4,977구, 여 4,103구라고 부기하여 필사할 당시의 현황을 반영하였다. 조적 항목에는 大米 200석, 田米 300석이라고 기록되어 있다. 관원등품 항목에는 1896년 13도제로 개편했을 때의 현황이 반영되어 전에 부사였는데 현재는 4등 군수라는 내용과 군 소속 구성원이 제시되었다.
작성 연도는 기록이 없지만, 영월군선생안 말단 인물인 영월군수 金弼鉉1898년(戊戌)에 到任한 기록만 있는 것으로 보아, 이후에 편찬된 것으로 보인다. 본서는 1871년(고종 8)의 『關東邑誌』 第4冊에 실린 「寧越邑誌」를 저본으로 삼아 항목과 내용을 새롭게 구성한 것으로 보인다. 1899년(광무 3)규장각 소장본 『寧越郡邑誌』와 비교해보면, 본서에 있는 지도와 樓臺題詠의 ‘子規樓’ 내용이 없는 것 외에는 똑같다. 이 밖에 영월을 대상으로 한 읍지는 1792년(정조 16) 이후의 『寧越府邑誌』가 있다.
특성 및 가치
 본서는 『關東邑誌』 第4冊에 실린 「寧越邑誌」 영월군선생안의 말단 인물인 曺殷承 이후 20명이 증보되었고, 1895년1896년의 개혁 조치에 따른 변화가 관원등품과 봉급 항목 등에 반영되었다.

참고문헌

關東邑誌』(奎12172)
寧越郡邑誌』(奎10958)
寧越府邑誌』(奎17517)
서울大學校 奎章閣 編, 『奎章閣韓國本圖書解題 續集』 4-史部, 1997.
韓國學中央硏究院 藏書閣 編, 『藏書閣圖書韓國本解題』 2-3, 地理類, 2005.
서울대학교 규장각 지리지 종합정보(http://kyujanggak.snu.ac.kr/geo/)

집필자

양윤정
범례
  • 인명
  • 관직명
  • 나라명
  • 건물명
  • 관청명
  • 지명
  • 연도
  • 문헌명
  • 기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