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url:./treeAjax?siteMode=prod}

영양현읍지(英陽縣邑誌)

자료명 영양현읍지(英陽縣邑誌) 저자 영양현(英陽縣) 편(編)
자료명(이칭) 英陽縣邑誌 저자(이칭) 英陽縣(朝鮮) 編
청구기호 K2-4271 MF번호 MF35-246
유형분류 고서/기타 주제분류 史部/地理類/方志
수집분류 왕실/고서/한국본 자료제공처 장서각(SJ_JSG)
서지 장서각 전자도서관 해제 장서각 전자도서관
원문텍스트 이미지 장서각통합뷰어* 원문이미지 PDF

· 원문이미지

닫기

· PDF서비스

닫기

· 기본정보 해제 xml

닫기

일반사항

· 사부분류 사부
· 작성시기 [1845](헌종 11년)
· 청구기호 K2-4271
· 마이크로필름 MF35-246
· 소장정보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 가치정보 귀중본

작성주체 - 기관단체

역할 단체/기관명 담당자 구분
영양현(英陽縣) 편(編)

형태사항

· 크기(cm) 30.9 X 22.3
· 판본 필사본(筆寫本)
· 장정 선장(線裝)
· 수량 1책(冊)
· 판식 반곽(半郭) 24.3×17.7㎝
· 인장 李王家圖書之章

· 상세정보

닫기

내용

정의
1845년(헌종 11)경에 편찬된 경상북도 영양현의 지역 정보를 정리한 지리지이다.
서지사항
총 1책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표제와 권수제는 ‘英陽縣邑誌’이다. 황색 표지의 線裝本으로, 斜格卍字 문양이 있다. 표지 좌측 상단에 표제와 그 아래에 小字로 ‘慶尙北道’라는 글이 기재되어 있다. 본문의 필사에는 四周單邊, 烏絲欄, 10行, 無魚尾의 그려서 만든 空冊紙를 사용하였다. 본문 중 잘못 기재한 부분을 지우고 다시 글씨를 작성한 흔적이 보인다. 본문 첫 장 우측 상단에 ‘李王家圖書之章’이 날인되어 있다. ‘宦蹟’ 항목의 마지막 ‘李圭復’ 아래에 小字雙行으로 ‘甲辰六月到任同年十二月貶罷’라는 기록이 있다.
체제 및 내용
전체 목록은 없는 대신 1張에 읍지를 작성하게 된 동기와 또 읍지를 작성하는 凡例 및 작성 요령 등이 기록되어 있다. 내용은 建置沿革, 郡名, 官職, 姓氏, 山川, 風俗, 坊里, 戶口, 田賦, 軍額, 城池, 林藪, 倉庫, 軍器, 關阨, 鎭堡, 烽燧, 學校, 壇廟, 陵墓, 佛宇, 宮室, 樓亭, 道路, 橋梁, 島嶼, 堤堰, 場市, 驛院, 牧場, 形勝, 古蹟, 土産, 進貢, 俸廩, 宦蹟, 科擧, 人物, 題詠, 碑板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1장에는 본서의 편찬 경위가 작성되어 있는데, 조선 헌종 연간에 규장각 관내의 본각에 소장된 전국 각도의 읍지 중에서 누락된 邑誌를 다시 작성하여 올려서 완질을 藏置하려는 사업을 위함이었다. 본서를 작성할 때 辛卯年 六月 初三日의 ‘在營規式’을 따라야 했으며, 그 規式은 범례에 자세히 작성되어 있다. 項目을 서술할 때 유의할 점은 雙註로 처리하였다. 그 내용을 살펴보면, 田賦는 元帳付 및 時起結, 田稅·大同·火稅·均稅·徭役을 幷書할 것, 鎭堡는 山城을 幷錄할 것, 陵墓은 陵寢과 先賢의 墓를 幷書하되 陵寢이 없으면 塚墓를 쓸 것, 宮室은 없으면 公廨를 쓸 것, 道路는 京中 및 各營, 隣邑 간의 거리를 數値로 표시하고 方向도 함께 기록할 것, 驛院은 그 명칭과 상호 간의 거리를 수치로 쓸 것, 人物은 舊誌의 것을 고치지 말고 新增은 濫雜을 피할 것, 碑板는 先賢의 碑文과 冊板을 幷書할 것 등이다.
영양군은 현재의 행정 구역으로 경상북도 영양읍 청기면, 일월면, 수비면 전체, 입암면금학리, 대천리, 신구리, 연당리에 걸쳐 있던 지역이다. 건치연혁에 따르면 영양군 지역은 신라 초기에 古隱縣이었다가 후에 지금 이름인 영양으로 개칭되었다. 고려 현종禮州에 속했다가, 명종英陽縣이 되었고, 별호로 ‘益陽’이라 불리기도 하였다. 조선 태종寧海府에 속했다가, 숙종 때 다시 영양현으로 복현되었다. 방리 항목에는 8개 면에 소속된 리와 관아로부터 거리를 적어두었다. 호구 항목에는 元戶 2,770호, 인구 1만 2,798구(남 6,662구, 여 6,136구)로 기재되어 있다. 島嶼, 碑板, 城池, 關阨, 鎭堡, 烽燧, 陵墓, 場市, 驛院, 碑板 등의 항목에는 ‘無’라고 기록되어 있다.
작성 연도는 기록이 없지만, 환적의 말단 인물인 李圭復의 재임 기간은 1844년(甲辰) 6월~1844년(甲辰) 12월이므로, 본서는 후임자가 1845년(현종 11)경에 편찬했을 것이다. 본서는 1832년(순조 32)경의 『慶尙道邑誌』 第16冊「英陽縣邑誌」를 저본으로 삼았으며, 환적 항목에 6명의 인물이 추가되었다.
이 외에도 영양을 대상으로 한 지리지로 1786년(정조 10)경의 『英陽邑誌』, 1871년(고종 3)의 『嶺南邑誌』 第9冊 수록된 「英陽縣邑誌」, 1874년(고종 11)경의 『英陽縣地誌』, 1895년(고종 32)경의 『嶺南邑誌』 第33冊에 실린 「英陽縣地誌」, 1899년(광무 3)의 『英陽郡地誌』 등이 있다.
특성 및 가치
 본서의 가장 큰 특징은 1장에 기재된 읍지 작성 요령과 범례의 내용이다. 당시의 읍지 편찬 기준을 알려주는 지표로서 가치가 크다.

참고문헌

慶尙道邑誌』(奎666)
嶺南邑誌』(奎12173)
嶺南邑誌』(奎12174)
英陽郡地誌』(奎10846)
英陽邑誌』(奎17468)
英陽縣地誌』(古4799-2)
서울大學校 奎章閣 編, 『奎章閣韓國本圖書解題 續集』 4-史部, 1997.
韓國學中央硏究院 藏書閣 編, 『藏書閣圖書韓國本解題』 2-3, 地理類, 2005.
서울대학교 규장각 지리지 종합정보(http://kyujanggak.snu.ac.kr/geo/)

집필자

양윤정
범례
  • 인명
  • 관직명
  • 나라명
  • 건물명
  • 관청명
  • 지명
  • 연도
  • 문헌명
  • 기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