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url:./treeAjax?siteMode=prod}

금산지(錦山誌)

자료명 금산지(錦山誌) 저자 편자미상(編者未詳)
자료명(이칭) 금산지(전라북도)(錦山誌(全羅北道)) , 錦山誌(全羅北道) 저자(이칭) [編者未詳] , 편자미상(寫年未詳)
청구기호 K2-4222 MF번호 MF35-243
유형분류 고서/기타 주제분류 史部/地理類/方志
수집분류 왕실/고서/한국본 자료제공처 장서각(SJ_JSG)
서지 장서각 디지털아카이브 전자도서관 해제 장서각 디지털아카이브 전자도서관
원문텍스트 디지털아카이브 이미지 장서각통합뷰어* 원문이미지 디지털아카이브 PDF

· 원문이미지

닫기

· PDF서비스

닫기

· 기본정보 해제 xml

닫기

일반사항

· 사부분류 사부
· 작성시기 사년미상(寫年未詳)
· 청구기호 K2-4222
· 마이크로필름 MF35-243
· 소장정보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 가치정보 귀중본

작성주체 - 인물

역할 인명 설명 생몰년 신분
편자미상(編者未詳)

형태사항

· 크기(cm) 30.5 X 21.5
· 판본 필사본(筆寫本)
· 장정 선장(線裝)
· 수량 1책(冊)
· 인장 李王家圖書之章

· 상세정보

닫기

내용

정의
연대 미상의 전라도 금산군(현 충청남도 금산군)의 읍지에 『高山邑誌』를 한데 묶은 책이다.
서지사항
표제는 ‘錦山誌’이고, 부제는 ‘附高山’이다. 不分卷 1冊(8張) 구성의 5침 線裝本으로 종이는 일반적인 楮紙를 사용하였다. 표지는 황색 종이에 斜格卍字 문양이 있고 서명은 표지 위에 묵서하였으며, 표지 우측 상단에 ‘附高山’이라고 표기하였다. 본문은 板式이 없는 12行 22字 小字雙行 筆寫本이다. 지도가 수록되어 있고 권수면 상단에 정방형의 ‘李王家圖書之章’이 날인되어 있다.
체제 및 내용
錦山誌』 부분은 책머리에 錦山郡地圖가 첨부되어 있고, 내제는 없다. 내용은 建置沿革, 郡名, 官職, 坊里, 道路, 城池로만 구성되어 있어, 『錦山郡邑誌』의 일부분만 필사한 미완성 읍지이다. 건치연혁조에는 1413년(태종 13)에 군으로 승격된 사실을 기록하였다. 방리조에는 郡二面, 郡一面, 南一面, 南二面, 西一面, 西二面, 郡北面, 東一面, 富北面, 富西面, 富東面, 富南面 등 12개 면의 관문에서의 거리를, 도로조에는 四界와 경도, 감영, 병영, 좌수영, 우수영, 통영까지의 거리와 일정을 수록하였다. 성지조에는 읍성의 둘레, 높이, 우물 개수를 기록하면서 임진왜란 이후 훼손되어 지금은 터만 남아 있다고 기록하였다.
高山邑誌』 부분은 첫머리에 高山地圖가 첨부되어 있다. 내용은 四界, 坊里, 道路, 建置沿革, 郡名, 形勝, 官職, 山川, 姓氏, 風俗, 壇廟, 公廨, 堤堰, 倉庫, 物産, 橋梁, 驛院, 樓亭, 寺刹, 古跡, 人物, 旱田, 水田, 進貢, 糶糴, 田稅, 大同, 均稅, 俸廩, 南漢義僧, 訓鍊都監納屯田畓賭租, 軍兵, 輿地勝覽板本, 玄谷集板本 순으로 구성되어 있다. 편찬체제는 『輿地圖書』와 같지만 南漢義僧ㆍ訓鍊都監納屯田畓賭租ㆍ輿地勝覽板本ㆍ玄谷集板本이 추가되어 있고, 방리ㆍ한전ㆍ수전ㆍ조적ㆍ전세 등은 읍지 제작 당시의 통계로 변경되어 있다. 특히 방리조에서 『輿地圖書』에는 乙卯帳籍을 사용하였지만, 『高山邑誌』에는 庚子帳籍을이용하여 編戶 4,070호로 기록하였다. 경자년1780년(정조 4)에 해당하여 본 읍지는 그 이후에 제작된 것으로 추정된다.
특성 및 가치
 『錦山誌』 부분은 규장각 한국학연구원 소장본 『錦山郡邑誌』(奎17417)의 앞부분과 내용이 동일하다. 이 『錦山郡邑誌』의 선생안에는 1792년(정조 16)까지 군수를 역임한 尹晦東까지 기록되어 있어 본 읍지는 그 이후에 전사한 것으로 사료된다. 또 『錦山誌』에 한데 묶은 『高山邑誌』 부분은 『輿地圖書』를 저본으로 제작되었는데, 규장각 한국학연구원 소장본 『高山邑誌』(奎17399)와 전체 내용이 동일하다.

집필자

김기혁
범례
  • 인명
  • 관직명
  • 나라명
  • 건물명
  • 관청명
  • 지명
  • 연도
  • 문헌명
  • 기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