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url:./treeAjax?siteMode=prod}

광주부읍지(廣州府邑誌)

자료명 광주부읍지(廣州府邑誌) 저자 경주부(慶州府) 편(編)
자료명(이칭) 廣州府邑誌(京畿道) 저자(이칭) 慶州府(朝鮮) 編
청구기호 K2-4216 MF번호 MF35-247
유형분류 고서/기타 주제분류 史部/地理類/方志
수집분류 왕실/고서/한국본 자료제공처 장서각(SJ_JSG)
서지 장서각 전자도서관 해제 장서각 전자도서관
원문텍스트 이미지 장서각통합뷰어* 원문이미지 PDF

· 원문이미지

닫기

· PDF서비스

닫기

· 기본정보 해제 xml

닫기

일반사항

· 사부분류 사부
· 작성시기 1899(광무 3년)
· 청구기호 K2-4216
· 마이크로필름 MF35-247
· 소장정보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 가치정보 귀중본

작성주체 - 기관단체

역할 단체/기관명 담당자 구분
경주부(慶州府) 편(編)

형태사항

· 크기(cm) 30.0 X 19.4
· 판본 필사본(筆寫本)
· 장정 선장(線裝)
· 수량 1책(冊)
· 판식 반곽(半郭) 21.3×13.9㎝
· 인장 藏書閣圖書印

· 상세정보

닫기

내용

정의
1899년(광무 3)에 전국 읍지 편찬의 일환으로 제작된 경기도 광주부의 읍지이다.
서지사항
표제는 ‘廣州邑誌’, 권수제가 ‘廣州府邑誌’이다. 不分卷 1冊(62張) 구성의 5침 線裝本으로 종이는 일반적인 楮紙를 사용하였다. 표지는 황색 종이에 斜格卍字 문양이 있고 서명은 표지 위에 묵서하였으며, 표제 아래에 ‘京畿道’라고 표기하였다. 본문은 四周雙邊, 有界, 無魚尾의 筆寫印札空冊紙에 쓴 10行 20字 小字雙行 筆寫本이다. 채색 지도가 수록되어 있고 권수면 상단에 정방형의 ‘藏書閣圖書印’이 날인되어 있다. 내용 중 ‘官案’에 府尹 鄭仁奭까지 기록하고 그가 己亥年에 부임했다고 되어 있어, 본서의 필사 시기는 1899년 이후로 추정된다.
체제 및 내용
권수에 廣州府地圖 채색본이 첨부되어 있다. 내용은 坊里, 道路, 建置沿革, 郡名, 形勝, 城池, 官職, 山川, 姓氏, 風俗, 陵寢, 壇廟, 公廨, 堤堰, 倉庫, 物産, 橋梁, 驛院, 牧場, 關阨, 烽燧, 樓亭, 寺刹, 古蹟, 鎭堡, 人物, 田賦, 進貢, 糶糴, 田稅, 大同, 軍兵, 俸廩, 冊板, 官案으로 구성되어 있다.
방리조에는 성내에 위치한 南洞北洞의 兩洞과 성외에 위치한 慶安五浦都尺實村草月退村草阜東部西部龜川中臺細村突馬樂生大旺彦州儀谷旺倫月谷北方聲串 등 21개 면의 위치와 호구를 기록하였다. 성내장ㆍ경안장 등 9개 장시가 산천조에, 堂亭島扶老島舞童島 등 3개 섬은 제언조에 기록하였다. 능침조에는 태종의 능인 獻陵, 성종의 능인 宣陵, 중종의 능인 靖陵 등 왕릉을 비롯하여 태실, 대군과 공주 등 명사들의 묘 150여 기가 수록되어 京都 부근에 위치한 지역의 성격을 반영하고 있다.
공해조에는 남한산성에 위치한 行宮과 守禦營 등의 규모를 정리하였다. 인물조에는 백제高興, 고려趙云仡 등 84명의 관리와 다수의 효자, 열녀, 忠義를 싣고 있다. 관안조에는 목사, 부윤, 유수광주부 지방관의 관직 변화에 따라 역임한 총 432명의 부임ㆍ이임 연도가 기록되어 있다. 특히 1559년(명종 14)에 부임한 尹鉉부터 己亥年에 부임한 鄭寅奭까지 수록되어 있어 1899년에 편찬된 것임을 알 수 있다.
특성 및 가치
 본 읍지는 헌종 대에 편찬된 것으로 추정되는 규장각 한국한연구원 소장본 『廣州府邑誌』(奎10740)를 그대로 전사하고 뒤에 관안조를 붙였다. 능침조에 김간(金幹, 1646~1732)의 묘를 중복하여 추가한 점 외에는 그 전에 제작된 『廣州府邑誌』들의 내용과 동일하기 때문에 관안조 외에는 편찬 당시의 상황이 반영되어 있지 않다. 규장각 한국한연구원 소장본 『廣州府邑誌』(古915.12-G994b)는 첫머리에 광주부지도가 없는 점을 제외하고 본 읍지와 수록 내용이 동일하다.

집필자

김기혁
범례
  • 인명
  • 관직명
  • 나라명
  • 건물명
  • 관청명
  • 지명
  • 연도
  • 문헌명
  • 기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