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url:./treeAjax?siteMode=prod}

고성군읍지(高城郡邑誌)

자료명 고성군읍지(高城郡邑誌) 저자 고성군(高城郡) 편(編)
자료명(이칭) 高城郡邑誌(江原道) , 고성군읍지(강원도)(高城郡邑誌(江原道)) 저자(이칭) 고성군(高城郡) , 高城郡(朝鮮) 編
청구기호 K2-4211 MF번호 MF35-248
유형분류 고서/기타 주제분류 史部/地理類/方志
수집분류 왕실/고서/한국본 자료제공처 장서각(SJ_JSG)
서지 장서각 디지털아카이브 전자도서관 해제 장서각 전자도서관
원문텍스트 디지털아카이브 이미지 장서각통합뷰어* 원문이미지 디지털아카이브 PDF

· 원문이미지

닫기

· PDF서비스

닫기

· 기본정보 해제 xml

닫기

일반사항

· 사부분류 사부
· 작성시기 [1896](건양 1년)
· 청구기호 K2-4211
· 마이크로필름 MF35-248
· 소장정보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 가치정보 귀중본

작성주체 - 기관단체

역할 단체/기관명 담당자 구분
고성군(高城郡) 편(編)

형태사항

· 크기(cm) 31.3 X 25.2
· 판본 필사본(筆寫本)
· 장정 선장(線裝)
· 수량 1책(冊)
· 판식 반곽(半郭) 21.4×14.6㎝
· 인장 藏書閣圖書印

· 상세정보

닫기

내용

정의
1896년(건양 1)경에 편찬된 강원도 고성군의 읍지이다.
서지사항
표제는 ‘高城邑誌’, 권수제는 ‘高城郡邑誌’이다. 不分卷 1冊(38張) 구성의 4침 線裝本으로 종이는 일반적인 楮紙를 사용하였다. 표지는 황색 종이에 斜格卍字 문양이 있고 서명은 표지 위에 묵서하였으며, 표제 아래에 ‘江原道’라고 표기하였다. 본문은 四周單邊, 有界, 無魚尾의 청색 筆寫印札空冊紙에 쓴 12行 24字 小字雙行 筆寫本이다. 채색 지도가 수록되어 있고 권수면 상단에 정방형의 ‘藏書閣圖書印’이 날인되어 있다. 내용 중 ‘高城君先生案’에 李熙寅까지 기록되어 있으므로, 본서는 그가 고성군수로 부임한 1896년경에 필사된 것임을 알 수 있다.
체제 및 내용
권수에 高城郡地圖 채색본이 첨부되어 있다. 내제는 내용은 建置沿革, 郡名, 形勝, 坊里, 風俗, 人物, 姓氏, 名宦, 結摠, 糶糴, 軍額, 山川, 壇廟, 衙舍, 堤堰, 倉庫, 物産, 道路, 橋梁, 驛院, 樓亭, 寺刹, 鎭堡, 古蹟, 題詠, 官職, 俸給, 高城郡勝區題詠, 高城郡先生案 순으로 구성되어 있다.
대부분 간략하게 기술되어 있지만, 방리조에는 고성군에 소재한 東面, 一北面, 南面, 西面, 二北面, 水洞面, 安昌面 등 7개 면과 이에 속한 洞里별 호구 수를 남녀로 구분하여 자세히 수록하였다. 산천조에서는 금강산, 삼일포, 십이폭, 온천 등 군내 명소들의 위치와 관문에서의 거리를 함께 기록하였다. 제영조에서는 지역의 명소들을 읊은 시를 수록하였는데, 제영조 외에 ‘高城郡勝區題詠’이라는 별도의 항목을 만들어 「四仙亭事蹟碑銘」, 「四仙亭重修記」, 「夢泉菴重修記」 등의 비명과 기문을 비롯하여 楊士彦, 尹宣擧, 崔昌大, 申獻, 洪義浩 등이 작성한 시문을 싣고 있다. 선생안에는 禹良壽를 시작으로 총 199명의 부임ㆍ이임 연도가 기록되어 있는데, 특히 丙申年에 부임한 李熙寅까지 수록되어 있어 1896년에 편찬된 것임을 알 수 있다.
특성 및 가치
 본 읍지는 1896년에 편찬된 규장각 한국학연구원 소장본 『高城郡邑誌』와 비교할 때, ‘高城郡勝區題詠’을 제외한 나머지 내용이 모두 동일하다. 본 읍지에 수록된 ‘高城郡勝區題詠’은 1820년(순조 20)에 편찬된 규장각 한국학연구원 소장본 『高城郡邑誌』 제영조에 실린 내용을 발췌하여 埋香碑, 開數와 함께 편집하여 실은 것이다.

참고문헌

高城郡邑誌』(奎10957)
高城邑誌』(奎17512)

집필자

김기혁
범례
  • 인명
  • 관직명
  • 나라명
  • 건물명
  • 관청명
  • 지명
  • 연도
  • 문헌명
  • 기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