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url:./treeAjax?siteMode=prod}

일당이후작신도비(一堂李侯爵神道碑)

자료명 일당이후작신도비(一堂李侯爵神道碑) 저자 재등실(齋藤實)
자료명(이칭) 一堂李侯爵神道碑 , 일당이후작신도비(一堂李侯爵神道碑) 저자(이칭) 齋藤實(日本) 撰 , 이완용(李完用)|사이토 마코토(齊藤實)|이항구(李恒九)|이항구(李恒九)|미상
청구기호 K2-3986 MF번호 MF16-311
유형분류 고서/금석문 주제분류 교육·문화/예술/금석문
수집분류 왕실/고서/한국본 자료제공처 장서각(SJ_JSG)
서지 장서각 장서각자료센터 전자도서관 해제 장서각 장서각자료센터
원문텍스트 장서각자료센터 이미지 장서각통합뷰어* 원문이미지 PDF

· 원문이미지

닫기

· PDF서비스

닫기

· 기본정보 해제 xml

닫기

일반사항

· 사부분류 사부
· 작성시기 1933
· 청구기호 K2-3986
· 마이크로필름 MF16-311
· 소장정보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작성주체 - 인물

역할 인명 설명 생몰년 신분
재등실(齋藤實)(일본(日本)) 찬(撰)

형태사항

· 크기(cm) 34.8 X 23.2
· 판본 영인본(影印本)
· 장정 선장(線裝)
· 수량 1책(冊)
· 판식 반곽(半郭) 30.0×18.4cm
· 인장 藏書閣印

· 상세정보

닫기

내용

정의
1933년 조선총독부 총독을 지낸 사이토 마코토[齋藤實]가 지은 侯爵 李完用 신도비문의 영인본이다.
서지사항
표제는 ‘一堂李侯爵神道碑’이다. 不分卷 1冊으로 총 2책이 있으나 複本으로 내용은 동일하다. 표지는 1책은 비취색 비단에 모란 문양, 2책은 금색 비단에 모란 문양이 있는 붉은 실의 5침 線裝本이며, 서명은 제첨 형식으로 인쇄하여 붙였다. 32장으로 구성되어 있고 종이는 洋紙를 사용하였다. 본문은 板式 없는 影印本으로 비의 前面은 2行 2字, 陰記는 4行 7字로 이루어져 있다. 표지 이면과 이완용의 초상에 정방형의 ‘藏書閣印’이 날인되어 있다.
체제 및 내용
일제로부터 후작의 작위를 받은 이완용의 신도비문으로, 찬자는 일본 내각총리대신 사이토 마코토[齋藤實]이고, 篆額은 이완용의 아들로 이왕직 차관을 지낸 李恒九(1881~1945)가 썼다.
먼저 이완용의 사진을 시작으로 묘소와 신도비, 묘소 제각에 걸린 현판 사진을 수록한 뒤에 ‘正二位大勳位侯爵一堂李先生神道碑銘’이라는 전액을 수록하였다. 이어 찬자인 사이토 마코토와 전액을 쓴 이항구를 명시하였다. 내용은 먼저 사이토 마코토가 신도비를 찬술하게 된 배경을 설명하였는데, 자신이 평소 이완용에 대해서 존경하는 마음이 있었는데 관직에서 물러나 동경에서 생활하던 차 이완용의 아들 이항구가 자신에게 부탁하여 이루어지게 되었음을 밝히고 있다.
이어 이완용의 修學 과정과 관력, 그리고 선계와 자녀 등을 명시한 뒤에 銘文과 찬술 시기 순서로 기록하였다. 이에 따르면, 이완용의 본관은 우봉이고 자는 景德이며 호는 一堂으로, 어려서부터 총명하여 7세 때 효경과 소학을 배웠고 10세 때 樂泉公, 즉 李鎬俊에게 출계하였으며, 11세 때 대학을, 12세 때 논어를 배웠고, 21세 때 詩經과 書經, 周易 등을 배운 사실을 기록하였다.
1882년(고종 19) 증광별시문과에 급제한 뒤 규장각대교주차미국참찬관을 지냈고, 귀국 후 승정원동부승지성균관대사성, 이조참의을 거쳐 다시 주미참찬관을 지냈으며, 다시 귀국 후 형조참판이조·공조 참판을 거쳐 학부대신, 외부대신, 전라북도관찰사 등을 지냈고, 1905년(광무 9) 학부대신으로 이른바 乙巳條約 체결 과정에 참여한 사실을 기록하였다. 이어서 의정대신서리외부대신서리 등을 지냈고 1906년(광무 10)에 勳二等太極章을 하사받았으며, 1907년(융희 1)의정부참정대신을 거쳐 관제 개편 이후에는 내각총리대신으로 임명된 뒤 순종 즉위 후 훈일등태극장과 욱일동화대수장을 하사받은 사실 등을 기록한 뒤에 1910년 일제의 강제합병이 이루어진 해에 백작의 작위를 받은 사실, 1912년 중추원부의장, 1920년 후작에 올랐음을 기록한 뒤 이완용의 평생을 평가하였다.
이어서 이완용의 본관인 우봉 이씨의 시조 李公靖을 시작으로 선대인 李吉培를 비롯해 7세조인 李晩成과 양부인 이호준과 양모인 여흥 민씨 閔龍顯의 딸, 본생부인 李鎬奭과 본생모인 辛氏, 부인인 양주 조씨 趙秉翼의 딸임을 적기한 뒤 사망 일시와 묘소 소재지, 자녀의 작위 등을 소개하였다. 銘文 뒤에는 찬술 시기가 1933년 3월임을 명시하였다.
특성 및 가치
 본서는 이완용의 생애를 살필 수 있는 자료이자 대한제국기의 정치적 상황을 파악하는 데 참고가 된다.

집필자

이근호
범례
  • 인명
  • 관직명
  • 나라명
  • 건물명
  • 관청명
  • 지명
  • 연도
  • 문헌명
  • 기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