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url:./treeAjax?siteMode=prod}

진안대군시정의공묘비명(鎭安大君諡靖懿公墓碑銘)

자료명 진안대군시정의공묘비명(鎭安大君諡靖懿公墓碑銘) 저자 정조(正祖)
자료명(이칭) 御製御筆朝鮮國鎭安大君謚靖懿公墓碑銘 저자(이칭) 正祖(朝鮮王, 1752 - 1800) 筆 , 이방우(李芳雨)|이성(李祘)|이성(李祘)|미상
청구기호 K2-3959 MF번호 MF35-4865
유형분류 고서/금석문 주제분류 교육·문화/예술/금석문
수집분류 왕실/고서/한국본 자료제공처 장서각(SJ_JSG)
서지 장서각 장서각자료센터 전자도서관 해제 장서각 장서각자료센터
원문텍스트 장서각자료센터 이미지 장서각통합뷰어* 원문이미지 PDF

· 원문이미지

닫기

· PDF서비스

닫기

· 기본정보 해제 xml

닫기

일반사항

· 사부분류 사부
· 작성시기 1789(정조 13년)
· 청구기호 K2-3959
· 마이크로필름 MF35-4865
· 소장정보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작성주체 - 인물

역할 인명 설명 생몰년 신분
정조(正祖) 어제어필(御製御筆)

형태사항

· 크기(cm) 38.1 X 23.9
· 판본 탁인판(拓印版)
· 장정 첩장(帖裝)
· 수량 1첩(帖)

· 상세정보

닫기

내용

정의
1789년(정조 13) 정조가 직접 짓고 쓴 鎭安大君 李芳雨 묘비를 탁본하여 장황한 첩이다.
서지사항
표제는 ‘鎭安大君墓碑銘’이다. 不分卷 1帖씩 총 5벌이 있으나 複本으로 내용은 동일하다. 표지는 1~4첩의 경우 비취색 종이에 斜格卍字 문양이 있고 裝幀은 折帖裝으로 書背를 비단으로 고정시킨 형태이며, 5첩은 갈색 종이에 문양이 없는 折帖本이다. 서명은 5첩의 경우 표지 위에 필사하였으며, 나머지는 제첨 형식으로 인쇄하여 후대에 붙였다. 17折로 구성되어 있고, 종이는 두꺼운 楮紙를 사용하였다. 본문은 板式이 없는 5行 12字의 拓印本이다. 목록에는 2첩으로 되어 있으나, K2-3958이었던 3첩이 K2-3959로 재등록되어 현재는 5첩이다.
체제 및 내용
이 비문은 묘비를 세우게 된 경위, 이방우의 世系와 年譜, 碑銘 등 크게 세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다. 먼저 묘비의 건립은 충주 幼學 李國柱의 상소로 인해 추진되었다. 1789년(정조 13) 2월 先寢을 배알하고 돌아오는 길에 진안대군의 15대손인 이국주이방우의 묘를 함흥에서 풍덕으로 옮겼다고 하는데 수백 년이 지나면서 묘소가 어디에 있는지 파악조차 할 수 없었으나, 1787년(정조 11) 풍덕에 홍수가 났을 때 ‘鎭安大君妻三韓國夫人池氏之墓’가 새겨진 비석이 발견되었고, 그 비석 측면에 ‘大君墓在左’라는 글자가 새겨져 있음을 근거로 이곳에 다시 무덤을 쓰게 해달라고 요청하였다. 그의 요청에 정조는 조선 왕조의 ‘吳泰伯’인 이방우를 역대 왕조에서 표창했으나, 대군의 이름을 ‘靖懿公’으로 바꾸면서 묘가 분실되어버렸다고 보았다. 정조는 寧考의 뜻을 계술하는 뜻에서 道臣에게 국가 전례에 맞게 비용을 지급해서 그 묘도를 수축하고, 주위 사방 300보는 禁葬하게 하였다. 그리고 진안대군의 묘역이 정비되자 그해 12월 비문을 지어 묘비를 세우게 되었다. 이와 관련하여 『正祖實錄』 1789년 2월 16일에 유학 이국주의 상언 기사와 1790년(정조 14) 1월 6일 진안대군의 묘소에 비석을 세웠다는 기사가 있다.
이방우의 세계와 연보에 대한 기록은 다음과 같다. 대군의 휘는 芳雨太祖大王의 맏아들이며, 神懿王后 韓氏의 소생이다. 어려서 태조를 섬길 때 효자로 칭송받았고, 형제 사이에도 우애가 돈독했으며, 점점 자라면서는 詩書에 마음을 쓰고 儉約을 실천하면서 부귀영화 따위에는 마음이 없었다. 고려조에 벼슬하여 관직이 禮儀判書였는데, 洪武 戊辰年(1388, 고려 우왕 14) 태조右侍中으로서 右軍都統使에 제수되어 군대를 거느리고 요동 공벌에 나섰다가 威化島에 이르러 中國을 존중하는 뜻으로 대의를 앞세우고 回軍을 했는데, 그때 대군은 가족을 데리고 세상에 숨어 살 뜻으로 鐵原으로 들어갔다. 壬申年(1392) 가을 태조가 드디어 大位에 오르자 대군은 定宗太宗이 모두 聖德이 있어, 마치 周 王季文王처럼 천명과 인심이 다 그리로 돌아가고 있음을 미리 알고 항상 노둔한 사람으로 자처하면서 국가 일에는 일체 간여하지 않고 함흥의 고향으로 가 살았다. 태조도 그의 뜻을 눈치 채고는 한곳에 田舍를 마련해주고 그곳에서 여생을 보내도록 하였으니, 이는 그의 뜻을 꺾고 싶지 않았고, 또 그의 행적을 감춰주려는 의도에서였다. 부인은 贊成事 의 따님이었고, 아들 福根이 있었다. 정종 때 靖難定社功으로 奉寧侯에 봉해지고 시호는 安簡이다. 비명에는 진안대군주나라주공태백에게 견주고 그를 칭송하는 시문이 기록되어 있다.
특성 및 가치
 이 비문은 여말 선초 정치사의 주요 인물인 이방우의 생애와 활동을 이해하는 데 도움을 주는 자료이다. 또한 정조 연간 왕실 顯揚 정책의 일면을 엿볼 수 있다.

참고문헌

朝鮮王朝實錄
弘齋全書
한국학중앙연구원 편, 『藏書閣所藏 拓本資料解題 2-帖裝本-』, 2005.
한국금석문 종합영상정보시스템(http://gsm.nricp.go.kr)

집필자

문광균
범례
  • 인명
  • 관직명
  • 나라명
  • 건물명
  • 관청명
  • 지명
  • 연도
  • 문헌명
  • 기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