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url:./treeAjax?siteMode=prod}

국조고사(國朝故事)

자료명 국조고사(國朝故事) 저자 편자미상(編者未詳)
자료명(이칭) 國朝故事 저자(이칭) [編者未詳]
청구기호 K2-386 MF번호 MF35-1520
유형분류 고서/기타 주제분류 史部/傳記類/叢傳/一般
수집분류 왕실/고서/한국본 자료제공처 장서각(SJ_JSG)
서지 장서각 전자도서관 해제 장서각
원문텍스트 이미지 장서각통합뷰어* 원문이미지 PDF

· 원문이미지

닫기

· PDF서비스

닫기

· 기본정보 해제 xml

닫기

일반사항

· 사부분류 사부
· 작성시기 [1904](광무 8년)
· 청구기호 K2-386
· 마이크로필름 MF35-1520
· 소장정보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작성주체 - 인물

역할 인명 설명 생몰년 신분
편자미상(編者未詳)

형태사항

· 크기(cm) 31.2 X 20.4
· 판본 필사본(筆寫本)
· 장정 선장(線裝)
· 수량 불분권(不分卷) 2책(冊)
· 판식 반곽(半郭) 21.0×15.1cm
· 인장 李王家圖書之章

· 상세정보

닫기

내용

정의
조선시대 의정부의 故事와 주요 관직 역임자를 편리하게 파악할 수 있는 안내서이다.
서지사항
四周雙邊, 10行, 上下向二葉花紋魚尾의 목판 印札空冊紙에 필사하였다. 서명은 表紙書名에 근거하였다. 제1책 卷首題는 ‘政書故事’이다. 표지 서명 하단에는 冊次가 ‘一·二’로 기재되어 있다. 書腦 하단에 ‘共二’라는 기록이 있다. 書眉에 頭註가 필사되어 있으며, 朱墨으로 내용을 보충하였다. 제1책 뒤표지 面紙에 “大韓光武甲辰八月二十五日 此冊上下卷 姑母父宅來”라는 藏書記로 미루어 보아 1904년(광무 8)경에 필사되었음을 알 수 있다. 각 책 제1면 우측 하단에는 ‘李王家圖書之章’이 날인되어 있다.
체제 및 내용
편자와 편찬 연도가 밝혀져 있지 않다. 목차와 수록 내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政堂故事」는 의정부의 고사를 정리한 것이다. 「政府官制沿」은 의정부의 연혁을 정리한 것이다. 「國朝大臣考」는 재상을 지낸 인물을 정리한 것으로 자호, 생년, 본관, 시호, 과거 여부, 재상 취임 연도, 졸년, 향년 등의 정보를 기록하였다. 「國朝檢校政丞」은 散職으로 정승직에 있던 인물들을 정리하였다. 1601년(선조 34) 許筠의 서문, 「相府記蹟」에는 가령 卜相을 거치지 않고 재상이 된 사례나 相臣으로 几杖을 하사받은 사례 등과 같이 재상에게 과한 특별한 사례를 정리한 것이다. 「國朝文衡考」는 卞季良부터 朴珪壽까지 역대 대제학의 명단으로 추천자도 함께 수록하였다. 「國朝湖堂考」는 세종 대에 만들어진 독서당에 들어갔던 관리들의 명단과 그들을 추천했던 인물도 함께 정리했다. 「國朝淸白吏考」는 청백리로 녹선된 관리를 정리한 것이다. 「廉吏補遺」는 「국조청백리고」의 부록으로 역대의 청렴한 관리들의 명단이다. 「太廟配享考」는 종묘에 배향된 관리들의 명단을 정리한 것이다. 「國朝耆社考」는 기로소에 들어간 관리들의 명단을 정리한 것이다. 「國朝國舅考」는 역대 임금의 장인 명단을 정리한 것이다. 「奎章閣」은 정조 이래로 규장각에서 提學, 直提學, 直閣, 待敎 등을 역임한 인물의 명단을 정리한 것이다. 한편 제1책 뒷장 이면에 “大韓光武甲辰 八月二十五日 此冊上下卷 姑母夫宅來”라고 쓰인 기록이 있어서 책의 유래를 이해하는 데 참고가 된다.
특성 및 가치
조선시대의 관제를 이해하는 데 참고가 되는 자료이며, 특히 인물의 분류 방식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된다.

집필자

이동인
범례
  • 인명
  • 관직명
  • 나라명
  • 건물명
  • 관청명
  • 지명
  • 연도
  • 문헌명
  • 기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