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url:./treeAjax?siteMode=prod}

광산이씨연원록(光山李氏淵源錄)

자료명 광산이씨연원록(光山李氏淵源錄) 저자 정구(鄭逑)
자료명(이칭) 光山李氏淵源錄 , 광산이씨연원록(光山李氏淵源錄) 저자(이칭) 鄭述(朝鮮) 等撰 , 정술(조선) 등찬(鄭述(朝鮮) 等撰)
청구기호 K2-384 MF번호 MF35-1866
유형분류 고서/기타 주제분류 史部/傳記類/叢傳/一般
수집분류 왕실/고서/한국본 자료제공처 장서각(SJ_JSG)
서지 장서각 디지털아카이브 전자도서관 해제 장서각 디지털아카이브
원문텍스트 이미지 장서각통합뷰어* 원문이미지 PDF

· 원문이미지

닫기

· PDF서비스

닫기

· 기본정보 해제 xml

닫기

일반사항

· 사부분류 사부
· 작성시기 1908(융희 2년)
· 청구기호 K2-384
· 마이크로필름 MF35-1866
· 소장정보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작성주체 - 인물

역할 인명 설명 생몰년 신분
정구(鄭逑) 등(等) 찬(撰)

형태사항

· 크기(cm) 31.4 X 21.0
· 판본 목활자본(木活字本)
· 장정 선장(線裝)
· 수량 3권(卷) 3책(冊)
· 판식 반곽(半郭) 21.8×16.5cm
· 인장 李王家圖書之章

· 상세정보

닫기

내용

정의
光山李氏李弘器·李弘量·李弘宇 삼 형제 및 이하 4世의 遺稿를 모아 1908년(융희 2)에 간행한 책이다.
서지사항
印書體 木活字로 간행된 판본이다. 表紙書名, 版心題, 書根題는 모두 ‘光山李氏淵源錄’이다. 표지 서명 하단에 冊次가 ‘天·地·人’으로 기재되어 있다. 卷末의 ‘戊申二月 廣陵開刊’이라는 刊記를 통해 1908년 廣陵에서 간행되었음을 알 수 있다. 제1면 우측 상단에는 ‘李王家圖書之章’이 날인되어 있다.
체제 및 내용
책의 권두에 張錫龍(1823~1907)이 지은 서문이 있고, 이어 凡例와 目錄이 차례로 실려 있다. 卷首에는 ‘權知訓鍊奉事行蹟’이란 제목 아래에 「墓誌」, 「碣文」, 「淵源圖」, 「圖贊」이 실려 있는데, 「墓誌」와 「碣文」은 李樹에 대한 묘도문자이다. 「淵源圖」는 三容을 1세로 하여, 2세, 3세에 이르기까지 光州李氏 12賢의 호를 도식화한 것이다. 「圖贊」은 연원도에 대한 찬문으로 孫廷誾이 지었다.
권1에는 세 편의 文藁가 실려 있다. 「容齋先生逸稿」는 이수의 맏아들 李弘器(1531~1582)에 대한 문고인데, 동생 및 친지들이 이홍기를 추모하며 쓴 묘도문자가 附錄으로 실려 있다. 「六一軒先生逸稿」는 이수의 둘째 아들 李弘量(1531~1592)에 대한 문고로, 이홍량이 지은 시와 만사 14題가 실려 있고, 후인들이 지은 묘도문자가 附錄으로 실려 있다. 「茅齋先生逸稿」는 이수의 셋째 아들 李弘宇(1535~1594)에 대한 문고인데, 이홍우가 지은 시 3題가 실려 있고, 후인들이 지은 묘도문자가 附錄으로 실려 있다. 이들 삼 형제는 儒行으로 드러나 세상에서 嶺南의 三容이라 불렸으니, 이들의 字가 차례대로 伯容, 仲容, 季容이기 때문이다. 삼 형제는 鄭逑金宇顒영남 퇴계학맥의 학자들과 교유하며 학문을 토론하였다. 이후 삼 형제의 효행과 덕행을 추모하기 위해서 1668년(현종 9) 三處士遺墟碑가 세워졌다.
권2에는 다섯 편의 문고가 실려 있다. 「高灘逸稿」는 이홍기의 맏아들 李簬(1553~1624)에 대한 문고이다. 「廣居齋逸稿」는 이홍기의 둘째 아들 이당(1556~1637)에 대한 문고이다. 「東湖逸稿」는 이홍우의 아들 李竹/舒(U+25CD5)(1566~1651)에 대한 문고이다. 「瑟谷逸稿」는 이홍량의 맏아들 李蘭貴(1584~1644)에 대한 문고이다. 「陽村逸稿」는 이홍량의 둘째 아들 李蘭美(1592~1651)에 대한 문고이다. 모두 앞부분에는 저자가 직접 지은 시문이 실려 있고, 뒤에는 후인들이 추모하며 지은 묘도문자가 附錄으로 붙어 있다.
권3에는 네 편의 문고가 실려 있다. 「洛村逸稿」는 이로의 아들 李命龍(1570~1626)에 대한 문고이다. 「拂日軒逸稿」는 이당의 아들 李命夔(1578~1637)에 대한 문고이다. 「竹塢逸稿」는 이서의 아들 李命龜(1606~1636)에 대한 문고이다. 「聾巖逸稿」는 이홍량의 현손(1620~1698)에 대한 문고이다. 수록 형식은 앞 권과 대동소이하다. 권말에는 「寒岡先生蓬山浴行時日錄」이 있고, 이어 張升澤(1838~1916)이 쓴 「淵源錄跋」이 있으며, 마지막으로 ‘무신년(1908) 2월 廣陵開刊’이란 간기가 붙어 있다.
특성 및 가치
광산이씨 이홍기, 이홍량, 이홍우 삼 형제 및 그 후손들의 삶과 문학 및 교유 양상을 파악할 수 있는 자료이다.

집필자

김채식
범례
  • 인명
  • 관직명
  • 나라명
  • 건물명
  • 관청명
  • 지명
  • 연도
  • 문헌명
  • 기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