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url:./treeAjax?siteMode=prod}

조감(祖鑑)

자료명 조감(祖鑑) 저자 진종(眞宗)(효장세자(孝章世子)), 조현명(趙顯命), 정석오(鄭錫五)
자료명(이칭) 祖鑑 저자(이칭) 영조/조현명(英祖/趙顯命) , 英祖(朝鮮王, 1694-1776) 命編 ;
청구기호 K2-372 MF번호 MF35-1516
유형분류 고서/기타 주제분류 史部/傳記類/叢傳/王·王后
수집분류 왕실/고서/한국본 자료제공처 장서각(SJ_JSG)
서지 장서각 디지털아카이브 전자도서관 해제 장서각 디지털아카이브
원문텍스트 디지털아카이브 이미지 장서각통합뷰어* 원문이미지 디지털아카이브 PDF

· 원문이미지

닫기

· PDF서비스

닫기

· 기본정보 해제 xml

닫기

일반사항

· 사부분류 사부
· 작성시기 1728(영조 4년)
· 청구기호 K2-372
· 마이크로필름 MF35-1516
· 소장정보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작성주체 - 인물

역할 인명 설명 생몰년 신분
진종(眞宗)(효장세자(孝章世子)) 명찬(命撰)

형태사항

· 크기(cm) 31.8 X 21.9
· 판본 필사본(筆寫本)
· 장정 선장(線裝)
· 수량 2권(卷) 4책(冊)
· 판식 반곽(半郭) 24.6×18.4cm
· 인장 侍講院

· 상세정보

닫기

내용

정의
효장세자(1719~1728)의 교육을 위해 趙顯命(1690~1752) 등이 조선 역대 왕의 여러 행적 중에서 후세에 교훈이 될 만한 嘉言, 善行, 治法, 政敎 등을 모아 엮은 교훈서이다.
서지사항
四周雙邊, 三葉花紋魚尾와 二葉花紋魚尾가 혼입된 10行의 필사 印札空冊紙를 사용한 필사본이다. 表紙書名, 版心題, 書根題는 모두 ‘祖鑑’이다. 冊次는 ‘一·二·三·四’로 기재되어 있다. 앞표지 우측 상단에 編目이 기재되어 있다. 書腦 하단에 ‘共四’라는 기록이 있다. 판심제는 제2·4책에만 필사되어 있으며, 제3책에만 張次가 필사되어 있지 않다. 朱色 避諱紙가 부착되어 있다. 卷末의 “邸下勉焉戊申正月下澣 …… 南學敎授臣趙顯命拜手謹跋”이라는 기록을 통해 본 도서가 1728년(영조 4)경에 필사되었음을 알 수 있다. 각 책 제1면 우측 상단에 ‘侍講院’이 날인되어 있다.
장서각에 소장된 K2-371~380이 모두 『祖鑑』인데, K2-371을 제외한 K2-372~380이 모두 4冊으로 구성된 필사본이다. 이들 서적에는 한 帙 안에서도 인찰공책지 및 인장이 서로 다르게 나타나는 것으로 보아, 비슷한 서적들 사이에 錯綜된 상태로 한 질을 이루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체제 및 내용
본서를 본 영조가 2월에 御製序를 내림으로써 기왕의 필사본 『祖鑑』에 御製序가 추가되었다. 이후 3월에는 懸吐를 달자는 신하들의 요청을 영조가 받아들여 필사본 『祖鑑』에 현토가 추가되었다. 또한 8월에는 본서를 印刊하자는 신하들의 건의를 영조가 받아들였고 그 결과 12월에 刊本 『祖鑑』 4건이 완성되었다.
2권 4책의 본서에는 御製序가 없고 아울러 현토가 달려 있다. 이런 사실에서 본서는 1728년(영조 4) 1월에 완성된 2권 2책의 필사본 『祖鑑』을 저본으로 하여 별도로 시강원 관료의 교재로 사용하기 위해 2권 4책으로 필사하였다가 3월 이후에 현토한 것으로 판단된다. 御製序는 없지만 나머지 부분은 여타의 『祖鑑』과 마찬가지로 凡例, 目錄, 역대 왕의 祖鑑, 跋文으로 구성되어 있다. 1책에 凡例부터 資質까지, 2책에 資質부터 好諫까지, 3책에 內治부터 弛灾까지, 4책에 節約부터 治兵까지다.
특성 및 가치
영조 대의 각종 御製冊에서 강조되는 繼述과 孝悌의 정신은 본서에서부터 제시되기 시작하였다.

참고문헌

영조대 중반 御製訓書의 간행 양상과 의의」, 이근호, 『장서각』 26, 한국학중앙연구원, 2011.

집필자

신명호
범례
  • 인명
  • 관직명
  • 나라명
  • 건물명
  • 관청명
  • 지명
  • 연도
  • 문헌명
  • 기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