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url:./treeAjax?siteMode=prod}

무주현적상산성실록포쇄형지안(茂朱縣赤裳山城實錄曝曬形止案)

자료명 무주현적상산성실록포쇄형지안(茂朱縣赤裳山城實錄曝曬形止案) 저자 춘추관(春秋館) 편(編)
자료명(이칭) 茂朱縣赤裳山城實錄曝쇄形止案 , 실록포쇄형지안책(實錄曝曬形止案冊) 저자(이칭) 春秋館(朝鮮) 編 , 춘추관(春秋館)
청구기호 K2-3717 MF번호 MF35-614
유형분류 고서/기타 주제분류 史部/政書類/其他/實錄存案
수집분류 왕실/고서/한국본 자료제공처 장서각(SJ_JSG)
서지 장서각 디지털아카이브 전자도서관 해제 장서각 디지털아카이브
원문텍스트 디지털아카이브 이미지 장서각통합뷰어* 원문이미지 디지털아카이브 PDF

· 원문이미지

닫기

· PDF서비스

닫기

· 기본정보 해제 xml

닫기

일반사항

· 사부분류 사부
· 작성시기 1636(인조 14년)
· 청구기호 K2-3717
· 마이크로필름 MF35-614
· 소장정보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 가치정보 귀중본

작성주체 - 기관단체

역할 단체/기관명 담당자 구분
춘추관(春秋館) 편(編)

형태사항

· 크기(cm) 37.4 X 28.4
· 판본 필사본(筆寫本)
· 장정 선장(線裝)
· 수량 1책(冊)
· 인장 奉使之印, 茂朱赤裳山史庫所藏 朝鮮總督府寄贈本, 李王家圖書之章

· 상세정보

닫기

내용

정의
1636년(인조 14) 10월 13일에 무주 적상산사고에 봉안된 서적을 포쇄한 후에 수장전적의 소장 현황을 점검하여 기록한 형지안이다.
서지사항
내제는 ‘崇禎九年十月十三日 茂朱縣赤裳山城 實錄曝晒形止案’이고, 표제는 ‘朝實錄曝晒形止案冊’이다. 표지 장황은 흰색 종이에 菱花 문양이 있는 것이고, 주황색 실로 선장해놓았다. 앞표지 우측에 ‘崇禎九年’이 적혀 있다. 본문은 괘선이 없는 백지에 9~14행에 맞추어 해서로 적어놓았다. 지질은 두께가 얇은 楮紙를 사용하였다. 본문 마지막에 ‘通善郞行藝文館待敎兼春秋館記事官 臣李之恒[수결]’이 적혀 있다. 책 수는 10장에 空紙가 4장 더 있는 1책이다. 인장은 본문 첫 면에 ‘李王家圖書之章’, ‘茂朱赤裳山史庫所藏 朝鮮總督府寄贈本’과 각 면마다 ‘奉使之印’을 날인하였다.
체제 및 내용
이 자료는 1636년(인조 14) 10월 13일에 藝文館待敎 李之恒무주 적상산사고에 봉안된 서적의 서명과 책 수를 점검하여 기록한 형지안이다. 수장전적은 서책의 입고 순서에 따라 「香山來甲戌年奉安」, 「戊午年奉安」, 「壬申六月十八日曝曬來」 등 세 가지로 분류한 후, 해당 항목 내에서 실록을 먼저 기재하고 일반서적을 다음에 수록하였다. 먼저 「향산래갑술년봉안」에는 1634년(인조 12)묘향산사고에서 移安해온 서적이 분류되었다. 여기에 포함된 서적은 태조~명종에 이르는 13대 실록 259책 13궤, 『광해군일기』 39책 2궤, 일반 전적 205책 5궤이다. 구체적인 내용을 살펴보면 13대 실록의 경우에는 제1궤에는 『태조실록』 3책, 『공정실록』 1책, 『태종실록』 16책 총 20책이, 제2궤에는 『세종실록』 20책이, 제3궤에는 『세종실록』 24책이, 제4궤에는 『세종실록』 23책, 『문종실록』 6책, 『노산군실록』 5책 총 34책이, 제5궤에는 『세조실록』 18책, 『예종실록』 3책 총 21책이, 제6궤에는 『성종실록』 20책이, 제7궤에는 『성종실록』 20책이, 제8궤에는 『성종실록』 7책, 『연산군일기』 17책 총 24책이, 제9궤에는 『중종실록』 18책이, 제10궤에는 『중종실록』 15책이, 제11궤에는 『중종실록』 15책이, 제12궤에는 『중종실록』 5책, 『인종실록』 2책, 『명종실록』 7책 총 14책이, 제13궤에는 『명종실록』 14책이 보관되어 있다. 『광해군일기』는 1634년적상산사고에 처음 봉안한 것으로 1634년묘향산사고에서 옮겨진 13대 실록과 일반 전적 사이에 기재되어 있다. 따라서 13대 실록과 달리 별도의 櫃次를 두어 제1궤에 20책을, 2궤에 19책을 수장하였다.
일반 전적은 제14궤, 제18궤, 제19궤, 제17궤, 제20궤의 순으로 기재되어 있다. 세부 내용을 살펴보면, 제14궤(68책)는 『綱目』 31책, 『東醫寶鑑』 25책, 『大典』 5책, 『攷事』 2책, 『四聲』 2책, 『字會』 1책, 『辟瘟方』 1책, 『辟疫方』 1책, 제18궤(45책)는 『龍飛御天歌』 5책, 『內訓』 3책, 『辟瘟』 1책, 『春秋』 14책, 『中庸諺解』 1책, 『小學』 4책, 『周易諺解』 6책, 『孟子諺解』 7책, 『論語諺解』 4책, 제19궤(49책)는 『五禮儀』 8책, 『樂學軌範』 3책, 皇華集 36책, 『東國兵鑑』 2책, 제17궤(42책)는 『輿地勝覽』 25책, 『朱子書』 10책, 『形止案』 7책이, 제20궤는 『定陵碑文』 1축이다. 기재 방식을 볼 때 완전서명이 아닌 압축서명을 사용하고 있는데, 이는 1634년에 작성된 『香山實錄曝曬移安赤裳山形止案』(K2-3793)의 기술 방식을 준용했다고 볼 수 있다.
「戊午年奉安」에는 1618년(광해군 10)묘향산사고에서 이안해온 『宣祖實錄』 116책과 『東國新續三綱行實』 18책이 포함되었다. 모두 9개의 궤에 소장되어 있는데, 제1~8궤에는 『선조실록』 제1~104책이 각 궤마다 13책씩 보관되어 있고, 제9궤에는 『선조실록』 제105~116책의 총 12책과 『동국신속삼강행실도』가 수장되었다. 『동국신속삼강행실도』의 서명은 『新讀三綱行實』로 誤記되어 있다. 이안과 관련된 수장전적의 변화는 1616년에 작성된 묘향산사고형지안인 『平安道香山實錄曝曬形止案』(K2-3757)과 『平安道形止案』(K2-3791) 및 1618년에 작성된 적상산사고형지안인 『全羅道形止案』(K2-3786)의 수장 목록을 비교함으로써 가늠할 수 있다.
끝으로「壬申六月十八日曝曬來」에는 1632년(인조 10) 6월 18일에 적상산사고를 포쇄하면서 묘향산사고에 있던 전적을 가져와 새로 입고한 서적이 분류되었다. 이는 『皇華集』 3책, 『擊蒙要訣』 1책, 『大學諺解』 1책, 『孝經大義』 1책, 『中庸諺解』 1책, 『孟子諺解』 7책, 『論語諺解』 4책, 『王世子嘉禮時謄錄』 1책, 『小學』 4책이 수록되어 있다. 이와 관련해서는 1632년 작성된 『宣祖大王實錄曝曬形止案謄錄』(K2-3723)을 참조할 수 있다.
이상의 서책질 다음에는 封櫃할 때에 들어간 포장과 충해물품 재활용과 관련하여 ‘紅褓甲帒 菖蒲油芚 及地衣次席子等物 前件仍用’ 등의 내용이 부기되어 있다. 권말에는 봉명포쇄사관 座目이 수록되어 있다.
특성 및 가치
 본서는 묘향산사고적상산사고에 소장되어 있던 서적의 통합 과정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자료가 된다. 또한 현재 장서각 소장본의 소종래를 파악하는 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참고문헌

宣祖大王實錄曝曬形止案謄錄』(K2-3723)
全羅道形止案』(K2-3786)
平安道香山實錄曝曬形止案』(K2-3757)
平安道形止案』(K2-3791)
香山實錄曝曬移安赤裳山形止案』(貴K2-3793)
김정미, 「장서각 소장 『적상산사고실록형지안』 연구」, 『서지학보』 38, 한국서지학회, 2011.
김정미, 「朝鮮時代 史庫形止案 硏究」,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5.
배현숙, 『朝鮮實錄 硏究序說』, 도서출판 태일사, 2002.
신병주, 「『朝鮮王朝實錄』의 奉安儀式과 관리」, 『한국사연구』 115, 한국사연구회, 2001.
안미경, 「17세기 적상산사고 『실록형지안』에 관한 연구」, 『서지학연구』 55, 한국서지학회, 2013.

집필자

김정미
범례
  • 인명
  • 관직명
  • 나라명
  • 건물명
  • 관청명
  • 지명
  • 연도
  • 문헌명
  • 기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