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url:./treeAjax?siteMode=prod}

추쇄도감의궤(推刷都監儀軌)

자료명 추쇄도감의궤(推刷都監儀軌) 저자 추쇄도감(推刷都監) 편(編)
자료명(이칭) 推刷都監儀軌 , 추쇄도감의궤(推刷都監儀軌n1-2책) 저자(이칭) 추쇄도감(조선) 편(推刷都監(朝鮮) 編) , 推刷都監(朝鮮) 編
청구기호 K2-3671 MF번호 MF35-546
유형분류 고서/기타 주제분류 史部/政書類/其他/官衙存案
수집분류 왕실/고서/한국본 자료제공처 장서각(SJ_JSG)
서지 장서각 디지털아카이브 전자도서관 해제 장서각 디지털아카이브
원문텍스트 디지털아카이브 이미지 디지털아카이브 PDF

· PDF서비스

닫기

· 기본정보 해제 xml

닫기

일반사항

· 사부분류 사부
· 작성시기 1655(효종 6년)
· 청구기호 K2-3671
· 마이크로필름 MF35-546
· 기록시기 1655~1657年(孝宗 6~8)
· 소장정보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작성주체 - 기관단체

역할 단체/기관명 담당자 구분
추쇄도감(推刷都監) 편(編)

형태사항

· 크기(cm) 44.0 X 35.6
· 판본 필사본(筆寫本)
· 장정 선장(線裝)
· 수량 불분권(不分卷) 2책(冊)
· 판식 반곽(半郭) 36.2×29.3㎝
· 인장 奉使之印, 茂朱赤裳山史庫所藏 朝鮮總督府寄贈本, 李王家圖書之章

· 상세정보

닫기

내용

정의
1657년(효종 8) 7월에 작성된 各司의 노비를 추쇄하고 그와 관련된 제반 사항 등을 모두 기록한 추쇄도감의 의궤이다.
서지사항
내제는 ‘順治十四年七月日 推刷都監儀軌’이고, 표제와 서근제는 ‘推刷都監儀軌’이다. 앞표지 우측에 상권은 ‘順治十四年丁酉七月日’, ‘孝宗六年’이, 하권은 ‘順治十四年丁酉正月日’, ‘孝宗八年’이 적혀 있다. 표지 장황은 大正七年에 개장한 것으로 갈색 마분지를 사용하였고, 붉은색 실로 선장해놓았다. 본문의 판식은 14행의 烏絲欄, 四周單邊, 上下內向四葉花紋魚尾인 인찰공책지를 사용하였다. 글씨는 해서로 썼다. 지질은 품질은 좋으나 비교적 얇은 楮紙를 사용하였다. 책 수는 不分卷 2책이다. 인장은 본문 첫 면에 ‘李王家圖書之章’, ‘茂朱赤裳山史庫所藏 朝鮮總督府寄贈本’을 날인하였고, 각 면마다 안쪽 이음새에 ‘奉使之印’을 날인하였다.
체제 및 내용
1657년(효종 8) 7월에 작성된 추쇄도감의 의궤이다. 별도의 목록은 존재하지 않는다. 의궤의 첫머리에는 座目이 기재되어 있다. 도제조좌의정 沈之源을 비롯하여 提調는 모두 13명, 都廳은 4명, 郎廳은 16명을 기록해두었다. 좌목은 추쇄도감 직임, 본래의 직책, 성명, 임명 일자와 체직 일자가 각각 기재되어 있다. 다음으로 各道分掌에는 각 도별로 파견된 御使, 郎廳, 算員, 執吏 등의 명단이 수록되어 있다. 다만 충청도전라도, 황해도, 평안도, 함경도는 좌우도로 나누어 보내고, 경상도는 都會별로 파견했다.
본문의 대부분은 해당 기사 내용이 수록되어 있다. 1655년(효종 6) 1월 28일자 기사를 시작으로 추쇄가 마무리되는 시점까지 연대 순서로 나열되어 있다. 첫 기사를 통해 추쇄를 시행하게 된 이유를 확인할 수 있다. 추쇄 문제가 제기되자 그해 당일 추쇄도감이 설치되었다. 기사의 내용은 도감에서 왕에게 올려진 문서와 추쇄도감과 관련된 논의 사항이 기재된 내용으로 채워져 있다.
2월 17일자 기사에는 31조목의 都監事目이 수록되어 있다. 추쇄관을 어떻게 파견할 것인지, 파견된 추쇄관이 각 지방의 수령과 어떻게 유기적으로 협조할 것인지, 발견된 노비는 어떻게 처리할 것인지 등에 대한 노비 추쇄의 세세한 지침 사항이 기재되어 있다. 추쇄와 관련된 원칙들을 볼 수 있다. 8월 8일자 기사에는 32조목의 兩西咸鏡道推刷事目이 수록되어 있고 8월 7일자 기사에는 都監事目後定奪條件別單이 있다.
1656년(효종 7) 7월 23일자 기사에는 21조목으로 구성된 京中各司奴婢推刷事目이 수록되어 있다. 1657년 6월 2일자 기사에는 八道新舊奴婢摠數別單이 기재되어 있다. 이 별단은 新舊의 노비 수를 모두 기재하도록 하였다. 총수는 추쇄관이 파견된 지역별로 정리되어 있다. 별단 뒤에는 各道都案分上別單이 수록되어 있어서 都案을 어떻게 마련하고 작성했는지 알 수 있다. 6월 4일자 기사에는 京中各司新舊奴婢摠數別單을 수록해두었는데 앞의 별단과는 달리 노비 소속처별로 기재해놓았다. 마지막에는 儀軌事目을 두어서 의궤 작성 과정에 대하여 정리하였다.
특성 및 가치
 본서는 효종 연간 당시 노비 추쇄의 전 과정을 구체적으로 살펴볼 수 있는 자료이다. 노비 추쇄의 계기, 시행 과정, 시행 결과에 따른 조처, 총 노비 수의 추이 등을 실증적으로 보여준다고 볼 수 있다. 17세기 조선 정부의 노비 정책을 연구하는 데 중요한 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

참고문헌

金安淑, 「孝宗年間 奴婢推刷都監 設置의 背景과 性格」, 『嶠南史學』 2, 1986.
全炯澤, 『朝鮮後期奴婢身分硏究』, 一潮閣, 1989.
平木實, 「孝宗 6年(1655)에 설치된 奴婢推刷都監」, 『韓沽劤博士 停年紀念 史學論叢』, 1981.
平木實, 『朝鮮後期 奴婢制 硏究』, 知識産業社, 1982.

집필자

박범
범례
  • 인명
  • 관직명
  • 나라명
  • 건물명
  • 관청명
  • 지명
  • 연도
  • 문헌명
  • 기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