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url:./treeAjax?siteMode=prod}

정축개장등록(丁丑改粧謄錄)

자료명 정축개장등록(丁丑改粧謄錄) 저자 예조(禮曹) 편(編)
자료명(이칭) 정축개장등록(丁丑改粧謄錄n1-1책) , 丁丑改粧謄錄 저자(이칭) 禮曹(朝鮮) 編 , 예조 , 예조(조선) 편(禮曹(朝鮮) 編)
청구기호 K2-3668 MF번호 MF35-2914
유형분류 고서/등록 주제분류 국왕·왕실/의례/등록
수집분류 왕실/고서/한국본 자료제공처 장서각(SJ_JSG)
서지 장서각 장서각자료센터 디지털아카이브 전자도서관 해제 장서각 장서각자료센터
원문텍스트 디지털아카이브 이미지 장서각통합뷰어* 원문이미지 디지털아카이브 PDF

· 원문이미지

닫기

· PDF서비스

닫기

· 기본정보 해제 xml

닫기

일반사항

· 사부분류 사부
· 작성시기 1637(인조 15년)
· 청구기호 K2-3668
· 마이크로필름 MF35-2914
· 소장정보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 가치정보 귀중본

작성주체 - 기관단체

역할 단체/기관명 담당자 구분
예조(禮曹) 편(編)

형태사항

· 크기(cm) 33.3 X 24.8
· 판본 필사본(筆寫本)
· 장정 선장(線裝)
· 수량 1책(冊)
· 판식 반곽(半郭) 25.9×20.8㎝
· 인장 永禧殿司, 禮曹之印

· 상세정보

닫기

내용

정의
1637년(인조 15) 영희전의 영전을 보수하는 사업에 관하여 예조가 작성한 등록이다.
서지사항
표제는 ‘丁丑改粧謄錄’이다. 책 하단에 ‘丁丑改粧謄錄 單’이 적힌 띠지가 붙어 있다. 표지 장황은 민무늬 황색 마분지로 개장하였고, 주황색 실로 선장해놓았다. 본문은 10행의 괘선을 직접 그어, 10행 19자에 맞추어 해서로 써놓았다. 지질은 일반적인 楮紙인데, 모두 배접하여 보수해놓은 상태다. 책 수는 원문서 3장과 새로 등록한 3장이 있는 1책이다. 인장은 본문 첫 면에 ‘永禧殿司’, 원문서에는 관인인 ‘禮曹之印’을 날인해놓았다.
체제 및 내용
본문 첫 장에 永禧殿司라는 圖署가 있는 것으로 보아 영희전에 봉안되었던 것으로 판단된다. 본 등록은 두 건의 문서가 합철되어 있는 형태로 구성되어 있다. 뒤에 있는 것은 筆寫本이고 앞에 있는 것은 그것을 傳寫한 것이다. 뒤에 있는 등록은 官印과 예조 관원들의 署押이 확인되나 앞에 있는 등록은 그러한 것은 없으며 正書로 쓰여 있다. 다만 앞의 등록 말미에는 禮曺着押이라고 쓰여 있다. 表紙裏面에는 을사년에 전사했다는 기록이 있어서 을사년1675년(숙종 1)으로 추정된다.
이 등록은 영희전의 영정을 보수하는 5건의 개별 사안을 기록하여 그것의 문제점과 처리 방법을 적고 있다. 또한 여기에 들어간 물자와 참여한 관원의 이름이 기재되어 있다. 처리해야 할 사안 다섯 가지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강화도의 변란으로 奉先殿이 破毁된 건, 둘째, 龍顔의 兩眉間, 턱에 약간의 破痕이 있으나 붓을 댈 수가 없으니 그대로 둘 것, 셋째, 곤룡포 아래의 사면이 모두 찢어져 있으니 보수할 것, 넷째, 용상 아래의 네 면이 모두 찢어져 있으니 보수할 것, 다섯째, 영정의 네 면의 回裝과 後褙를 새로 고칠 것 등이다.
사용된 물자는 黑長櫃 1, 鎖金 2, 開金 1, 紅紬襦衾 1, 紫的䙅 1, 紅紬甲褓 1, 紅紬單褓 1, 白紬單褓 1, 紅絲結櫃所 3이 있다.
마지막으로는 座目이 기재되어 있다. 좌목에는 담당 관원의 직명과 이름이 나열되어 있다. 堂上에는 호조판서 이경직, 동지 홍영이 있고, 都廳에는 司藝홍헌, 郎廳에는 장흥고황전이 있다. 뒤이어서 영희전 관원의 명단도 확인할 수 있다. 영희전 참봉金有⊙, 尹鴻擧, 書員 3명, 褙貼匠 1명, 書吏 3명, 庫直 1명 등의 이름도 볼 수 있다.
특성 및 가치
 본 등록은 영희전에 봉안된 영정을 고쳐 보수하는 국가 사업 중에서 인조 대에 확인할 수 있는 가장 이른 시기의 기록 중 하나이다. 영희전의 영정은 국가의 관심 대상 중 하나이므로 자료적 의미에서는 중요한 가치를 지닌다고 할 수 있다.

집필자

박범
범례
  • 인명
  • 관직명
  • 나라명
  • 건물명
  • 관청명
  • 지명
  • 연도
  • 문헌명
  • 기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