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url:./treeAjax?siteMode=prod}

경기감영각방중기(京畿監營各房重記)

자료명 경기감영각방중기(京畿監營各房重記) 저자 경기감영(京畿監營) 편(編)
자료명(이칭) 京畿監營各房重記 저자(이칭) 京畿監營(朝鮮) 編
청구기호 K2-3629 MF번호 MF16-308
유형분류 고서/기타 주제분류 史部/政書類/其他/官衙存案
수집분류 왕실/고서/한국본 자료제공처 장서각(SJ_JSG)
서지 장서각 전자도서관 해제 장서각
원문텍스트 이미지 장서각통합뷰어* 원문이미지 PDF

· 원문이미지

닫기

· PDF서비스

닫기

· 기본정보 해제 xml

닫기

일반사항

· 사부분류 사부
· 작성시기 1843(헌종 9년)
· 청구기호 K2-3629
· 마이크로필름 MF16-308
· 소장정보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작성주체 - 기관단체

역할 단체/기관명 담당자 구분
경기감영(京畿監營) 편(編)

형태사항

· 크기(cm) 37.3 X 25.5
· 판본 필사본(筆寫本)
· 장정 선장(線裝)
· 수량 1책(冊)
· 판식 반곽(半郭) 27.0×20.7㎝
· 인장 京畿道觀察使之印, 李王家圖書之章

· 상세정보

닫기

내용

정의
1843년(헌종 9) 10월 경기감영에서 산하 各房에 속한 각종 물품의 재고와 변동 상황을 정리한 重記 문서이다.
서지사항
본문 첫 장의 서명과 표지 서명이 ‘道光二十三年十月日京畿監營各房重記’이다. 표지 장황은 황색 종이에 斜格卍字 문양이 있는 것이고, 붉은색 실로 선장해놓았다. 본문의 판식은 13행에 四周雙邊과 上下內向二葉花紋魚尾인 인찰공책지를 사용하였다. 본문의 글씨는 13행 25~32자에 따라 반듯한 楷書로 적어놓았다. 관찰사들의 인명은 簽紙를 붙여 가려놓았다. 지질은 일반적인 楮紙를 사용하였다. 책 수는 27장 1책이다. 인장은 본문 첫 면에 ‘李王家圖書之章’을 날인하였고, 펼친 양면에 3과씩 ‘京畿道觀察使之印’을 날인하였다.
체제 및 내용
경기감영에는 營庫色·戶房色·禮房色·兵房色·刑房色·工房色·軍需庫 등으로 업무 분장이 되어 있었다. 중기의 내용도 경기감영의 체제와 동일하게 구성되었다. 영고색에는 天銀·銀盃·銀臺·銀笠飾·銀煙竹·靑鞘刀·常玳瑁·樻枝 등의 물품과 貢膳定例·營還成冊 등의 도서류, 銀 2만 냥 등을 보유하였다. 호방색에는 各邑戶籍·鍮測雨器·各年還簿査徵穀折租·賑餘租 등을 보유하였고, 예방색에는 監都事先生致賻節目冊·經國大典·國朝喪禮補編·御製戒酒綸音·新頒御製綸音·御製訓書·減布綸音冊·整理儀軌冊·鄕禮合編·華城城役儀軌 등의 문서류를 보유하였다. 병방색에서는 各驛還上查覈冊·各驛還上冊·敎諭書筒·馬牌·六驛形止案·六驛馬位分給冊·各邑地圖及都地圖 등의 물품들을 보유하였다. 병방색에는 巡牙兵軍器秩과 修補秩을 추가하여 조총과 환도 등 무기류의 수량과 보수 상황도 정리하였다.
형방색에서는 大明律·無冤錄·增修無冤錄·續大典·欽恤典則·斥邪綸音冊 등의 법전류와 刑板·架子·形機·棍杖·較正板·鍮尺 등의 물품을 보유하였다. 공방색에는 漣川柴場·鍮升·鍮燭·鍮溺江·鍮錚盤·鎖金·銀盞·銀錚盤·鍮烟爐·鍮大也·高足床·香床·紙筒樻·銀樻·兵符·印信 등의 물품을 보유하였다. 또한 공방색에는 營廨移建秩·中營新建秩·中營改建秩·中營重修秩·修補秩 등을 추가하여 관련 내용을 기록하였다. 군기고에는 放債錢·耗作錢·軍需還米·儲置米 등의 곡물과 동전의 보유 현황을 기록하였다. 마지막에는 都巡使의 수결과 중기 작성을 담당하였던 군관의 수결이 있으며, 營吏의 이름이 쓰여 있다.
특성 및 가치
 19세기 경기감영의 운영 구조와 재정 상태를 파악할 수 있는 자료이다. 특히 각 업무 분장별로 보유 물품을 상세히 기록하고 있어서 해당 色이나 창고의 역할과 규모를 가늠할 수 있다. 또한 방채전과 환곡을 운영하여 감영 재정을 보충하던 사실 등이 기록되어 있어서 19세기 경기감영의 수입 구조를 볼 수 있는 자료이다.

참고문헌

이선희, 「18세기 경기도관찰사의 업무 실태와 특징-『畿營狀啓謄錄』을 중심으로-」, 『장서각』 23, 한국학중앙연구원, 2010.

집필자

임성수
범례
  • 인명
  • 관직명
  • 나라명
  • 건물명
  • 관청명
  • 지명
  • 연도
  • 문헌명
  • 기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