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url:./treeAjax?siteMode=prod}

화성성역의궤(華城城役儀軌)

자료명 화성성역의궤(華城城役儀軌) 저자 정조(正祖)
자료명(이칭) 華城城役儀軌 저자(이칭) 正祖(朝鮮王, 1752 - 1800) 命編
청구기호 K2-3604 MF번호 MF35-1896
유형분류 고서/기타 주제분류 史部/政書類/工營
수집분류 왕실/고서/한국본 자료제공처 장서각(SJ_JSG)
서지 장서각 전자도서관 해제 장서각
원문텍스트 이미지 장서각통합뷰어* 원문이미지 PDF

· 원문이미지

닫기

· PDF서비스

닫기

· 기본정보 해제 xml

닫기

일반사항

· 사부분류 사부
· 작성시기 1801(순조 1년)
· 청구기호 K2-3604
· 마이크로필름 MF35-1896
· 소장정보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작성주체 - 인물

역할 인명 설명 생몰년 신분
정조(正祖) 명편(命編)

형태사항

· 크기(cm) 34.0 X 22.0
· 판본 정리자판(整理字版)
· 장정 선장(線裝)
· 수량 전(全) 10권(卷) 9책(冊)(권수(卷首) 1책(冊), 본집(本集) 6권(卷) 6책(冊), 부편(附編) 3권(卷) 2책(冊))
· 판식 반곽(半郭) 23.8×16.6㎝
· 인장 奎章之寶

· 상세정보

닫기

내용

정의
1794~1796년(정조 18~20) 경기 화성에 성을 쌓고 새로운 도시를 건설한 일을 1801년(순조 1)에 간행한 의궤이다.
서지사항
권수제와 판심제는 ‘華城城役儀軌’이고, 표제는 ‘華城儀軌’이다. 앞표지 우측 상단에는 책마다 각각의 목록을 적어놓았다. 표지 장황은 회색 종이에 斜格卍字 문양이 있는 것이고, 주황색 실로 線裝해놓았다. 본문의 판식은 四周雙邊, 上內向黑魚尾에 12행 22자에 맞추어 찍은 것으로, 판종은 整理字版으로 찍은 금속활자본이다. 권수와 2책에는 삽도가 있다. 지질은 唐紙를 사용하였다. 책 수는 卷首, 本集 6권, 附編 3권으로 총 10권 9책이다. 인장은 범례 부분에 ‘奎章之寶’가 날인되어 있다.
체제 및 내용
본서의 체제는 1797년(정조 21) 『원행을묘정리의궤』의 예를 따르고 있다. 卷首은 1책으로 凡例·總目·卷首目錄·時日·座目·圖說로 구성되었다. 「범례」에 의하면, 時日과 圖說은 원래 附編이었으나 권수에 합쳤고 부편의 모든 그림은 아래에 설명이 없는데 대개 부편의 원문이기 때문이다. 의궤의 기록은 1794년(정조 18) 이후 축조의 자취를 기록한 것이고 城役 관련 일뿐만 아니라 工匠, 財用을 싣고 원편과 부편으로 구분하였다. 그러나 부편 중 행궁, 공해 또한 1794년 이후 것을 모아 쓴 것으로 봉수당, 강무당과 같이 正堂이 남아 있으나 단지 행각만 논하거나 新豐樓 丹雘과 같이 전체가 남았으나 단지 일단만 싣기도 하였다. 1797년 원행 시 일과 관련된 城役은 이미 정리의궤에 기록되었기 때문에 본 의궤에서는 刪闕하였으나, 御製, 御射, 操式類는 정리의궤에서 취한 것이 다수이다. 또한 紀蹟碑는 비록 당시에 刻立하지 못했으나 碑文은 이미 啓下하였으므로 실어야 했다.
「시일」은 공사의 開基, 定礎立柱, 上樑 등의 推擇日時과 1793년(정조 17) 12월 11일 감동 당상, 낭청 등이 성터를 看審한 것을 시작으로 1796년(정조 20) 10월 16일 落成宴을 행한 것까지 공사의 주요 일정을 날짜별로 기록한 各項日子가 있다. 城役所 좌목에는 총리대신 蔡濟恭, 감동당상 趙心泰를 비롯하여 낭청, 별감동, 감동, 별간역, 간역, 府監官, 府牌將, 府書吏, 府書寫, 京庫直, 府旗手, 京文書直, 府使喚軍, 京捕卒, 府捕卒 등의 이름이 나열되었고, 儀軌 좌목에는 도청 洪元燮, 별간역 金啓重, 계사 李圭鼎, 화사 嚴致郁, 서리 임치우 등 4명, 고직 조원진의 명단이 있다. 監印 좌목에는 각신 심상규, 당상 이서구, 낭청 이존수, 김근순, 김계온, 유명표, 서리 임득명 등 4명의 이름이 있다.
「도설」에는 〈화성전도〉, 〈장안문외도〉, 〈장안문내도〉, 〈팔달문외도〉, 〈팔달문내도〉, 〈창룡문외도〉, 〈창룡문내도〉, 〈화서문외도〉, 〈화서문내도〉를 양면에 걸쳐 배치하였고, 〈남암문외도〉, 〈남암문외도〉, 〈동암문도〉, 〈북암문도〉, 〈서암문외도〉, 〈서암문내도〉, 〈서남암문외도〉, 〈서남암문내도〉는 한 화면에 2단으로 나누어 그림과 도설을 함께 배치하였다. 그 밖에도 〈隱溝圖〉, 〈서장대도〉, 〈동북각루(訪花隨柳亭) 외도〉, 〈雉城圖〉, 〈中舖舍圖〉, 〈內舖舍圖〉, 〈城神祠〉 등의 그림과 도설이 차례로 실렸다. 〈행궁전도〉, 〈사직단도〉, 〈문선왕묘도〉, 〈영화정도〉, 〈영화역도〉에는 도설이 바로 실리지 않고 附編에 따로 실었고, 건물 세부에 소용되는 각종 물목을 그린 〈各物各圖(附甓窑圖)〉, 〈기계각도〉, 〈거중기분도〉, 〈녹로전도〉, 〈녹로분도〉, 〈大車全圖〉, 〈平車全圖〉 등 축성 시에 사용되는 각종 기물을 그렸다. 다음으로 군사들이 성곽을 둘러 횃불을 들고 훈련하는 〈演炬圖〉, 員役들에게 음식으로 위로하는 〈大犒饋圖〉, 낙성을 축하하는 잔치를 그린 〈落成宴圖〉가 차례로 그려졌다.
본집은 6권 6책으로 제1권은 御製城華籌略·傳敎·綸音·有旨·傳令·筵說·啓辭, 제2권은 御製·御射·頒賜·犒饋·賞典·儀註·節目·告由文·上樑文·碑文, 제3권은 狀啓·別單·移文, 제4권은 來關·甘結·稟目·事目·式例·工匠, 제5권은 財用 上, 제6권은 財用 下로 구성되었다. 본집 제2권 「頒賜」는 화원이나 화공을 예를 들면, 1794년 6월 25일 滌署丹 4千錠을 內下하여 그중 화공 5명에게 각 1정을 주었고, 1796년 7월 29일 동장대에서 호궤 시에 화공 1명은 밥 1그릇, 湯 1그릇, 魚鹽 2마리를 받았다. 8월 10일 동장대 內營堂에서 호궤 시에 畵員 9명이 밥 1그릇, 탕 1그릇, 어염 3마리를 받았다. 8월 15일 낙남헌에서 호궤 시에 화원 9명은 흰떡 3개, 북어 2마리, 술 1그릇을 받았다. 8월 19일에는 동장대에서 호궤 시 화원 9명은 흰떡 2개, 수육 6兩, 탕 1그릇, 蒸太 2합, 술 1그릇을 받았다. 賞典은 1794년 12월 17일 試射 시에 감동 이하 試射放 施賞, 1795년 윤2월 13일 幸行 시 상전, 윤2월 18일 3등 비장 시사 시상, 윤2월 27일에는 首勞府 書吏 加施賞, 3월 6일 京府吏隷 加施賞, 1796년 畢役 후 상전 등으로 세분되었다. 훈련도감 화공 嚴致郁과 閑散 화공 4명은 행행 시 상전으로 각각 쌀 9말을 받았다. 「의주」에는 開基告由祭儀, 上樑文奉安祭儀, 大犒饋儀, 城神祠奉安祭儀, 親臨西將臺城操式, 夜操式이 포함되었고, 「절목」에는 宮墻輪把城上派守절목, 附近五邑軍合屬절목, 修城庫設施절목이 정리되었다. 「式例」에 의하면 화공은 조각장, 병풍장 등과 함께 매일 1인당 錢 4錢2分을 받았다. 제4권 「工匠」에는 석수, 목수, 泥匠, 瓦甓匠, 冶匠, 蓋匠, 車匠, 畵工, 가칠장, 大引鋸匠, 小引鉅匠, 歧鋸匠, 조각장, 磨造匠, 船匠, 木鞋匠, 鞍子匠, 병풍장, 朴排匠, 浮械匠, 灰匠 등의 各工邊首만 부역소를 함께 적었고, 나머지는 부역일만 적었다. 그중 화공의 경우 총 46명으로, 서울지역은 훈련도감 소속 엄치욱이 342일, 崔鳳秀 103일, 金弼光 96일, 姜致吉 90일, 池相達 70일로 이상 4명은 閑散이었다. 수원부는 모두 승려 출신으로 敬換, 再仁 108일, 演常 86일, 有仙 80일, 敬岑 68일, 千列 67일, 宇宗이 47일을 부역하였다. 경주부 승려 性曇이 43일, 경기도는 모두 승려 출신으로 82일에서 30일을 부역하였고, 敬玉, 勝淨, 演弘, 大允, 道淨, 妙定, 宗幹, 法連, 普元, 就甘, 有淡, 大儀, 快學, 宗元, 最淳, 敬郁, 知訓, 處性, 奉旻, 旻寬, 宗淵, 祥能, 處澄, 有奉, 軌憲, 儀寬, 敬忱, 敦淸 등이 참여하였다.
제6권 「재용 하」 各所의 實入 중에는 內入 畫屛과 당상과 낭청 稧屛의 제작 비용 錢 1,430냥의 내역이 상세히 적혀 있다. 먼저 궁중에 내입한 大屛 3좌는 1좌당 150냥으로 비단에 華城全圖를 그렸고, 행궁에 배설한 中屛 2좌는 1좌당 50냥으로 비단에 화성의 春秋八景圖를 그렸다. 春八景은 花山瑞靄, 柳川晴烟, 午橋尋花, 吉野觀桑, 新豐社酒, 大有農歌, 華郵散駒, 荷汀泛鷁이고 秋八景은 虹渚素練, 石渠黃雲, 龍淵霽月, 龜巖返照, 西城羽獵, 東臺畵鵠, 閑亭品菊, 陽樓賞雪이다. 大屛 6좌는 1좌당 錢 100냥으로 비단에 화성전도를 그려 총리대신, 당상, 도청, 策應都廳, 前都廳, 雜物都廳에게 각 1좌를 分兒하였다. 府上 大屛 2좌 중 1좌는 비단에 전 100냥, 1좌는 지본에 화성전도를 그려 錢 30냥이 소용되었다. 중족자 30건은 매 건당 錢 5냥이 소용되었는데, 지본에 화성전도를 그려 別看役 2명, 看役 4명, 京監官 5명에게 분아하였다.
附編은 3권 2책으로 제1권 行宮(奉壽堂行閣, 長樂堂, 景龍館, 福內堂, 維與宅, 落南軒, 老來堂, 得中亭, 新豐樓行閣)·公廨(南北軍營行閣, 外整理所, 講武堂行閣, 修城庫, 紙所)·壇廟(社稷壇, 文宣王廟)·亭渠(迎華亭, 萬石渠)·驛館(迎華館)과 제2권 傳敎·筵說·啓辭·御製·御射·節目·告由文·上樑文·狀啓·別單·移文·來關·甘結으로 1책을, 제3권은 財用 1책으로 구성되었다.
특성 및 가치
 『원행을묘정리의궤』와 함께 정리자로 간행된 의궤로, 정조가 계획하였던 화성 성역의 축조와 관련한 전말을 모두 기록하였고, 圖說을 통해 축조된 성곽의 구조적 특성과 거기에 소용된 각종 기계 등을 함께 그려 조선 후기 성곽 축조 연구에 중요한 사료이다. 또한 인력과 물력의 재용과 참여 장인의 이름은 물론 노역소와 노역 일수를 상세히 적어 경제사적 측면에서도 의미 있는 자료이다.

집필자

정은주
범례
  • 인명
  • 관직명
  • 나라명
  • 건물명
  • 관청명
  • 지명
  • 연도
  • 문헌명
  • 기관